• 최종편집 2024-04-1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산림산업 검색결과

  • 믿고 보는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도해도감Ⅴ’ 발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에 대한 정보를 총 망라한 “한국식물도해도감 V”을 발간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들은 분류학적 연구가 미흡하고, 다른 식물들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거나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종식별에 어려움이 많았다. 때문에 기존의 여러 식물도감에 학명의 오용과 분류군의 오동정으로 인한 잘못된 설명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에 국립수목원은 3년에 걸쳐 한반도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들에 대한 현지 분포조사, 국내외 표본관의 소장표본조사, 형태형질조사 연구와 도해도 제작 등을 수행하여 「한국식물도해도감 Ⅴ 곡풀과·곡정초과·부들과」를 발간하였다. 한반도에는 골풀과(2속 28분류군), 곡정초과(1속 9분류군), 부들과(2속 11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미기록분류군인 두메흑삼릉의 한반도내 분포를 처음 보고하였다.    국립수목원에서는 한국식물도해도감 발간사업을 통해 한반도 자생식물 중 정보가 부족하거나 식별이 어려운 식물들에 대한 도감을 순차적으로 「한국식물도해도감Ⅰ벼과」「한국식물도해도감Ⅱ양치식물」「한국식물도해도감Ⅲ구과식물」「한국식물도해도감Ⅳ사초과」를 발간하고 있다.   「한국식물도해도감Ⅴ골풀과·곡정초과·부들과」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김동갑 박사는 “본 도해도감이 그동안 야외조사에서 동정이 어려워 소외되었던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에 대한 지식과 식별능력 배양을 위한 기초자료로 많은 분들에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4-22
  • 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Ⅲ)’ 발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한반도 자생 수목에 대한 기재, 분포정보, 생육환경 정보 등을 포함한 ‘한반도 수목지(Ⅲ)’를 발간했다.  ‘한반도 수목지(Ⅲ)’에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등 한반도 자생 구과식물 28분류군에 대한 상세한 기재, 분류학적 논의, 자생지 분포, 형태학적 특성, 형태형질 도해, 화분학적 특성, 세포학적 특성, 생육환경 특성, 용도 등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구과식물(Pinidae, Conifers):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의 3/5정도인 630여 분류군이 알려져 있으며,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한다. 국내에 분포 및 식재되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은 구과식물에 속한다.  특히,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구과식물들 중 원예종이나 조경식재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형에 따라 금강송, 반송, 처진소나무 등 품종 및 개량종들이 다양하다. 최근에는 소나무에서 항산화활성, 면역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의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  국립수목원은 2017년 층층나무과, 장미과 등의 주요 자생수목 25종을 수록한 수목지(I) 발간을 시작으로 분류군별 한반도 주요 자생수목에 대한 종합총서를 순차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한반도 수목지(Ⅲ)’은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 연구간행물에서 PDF로 누구나 내려 받아 볼 수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손동찬 박사는“우리나라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목자원은 임업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바, 본 수목지가 주요 수목자원의 활용 및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4-13
  • ‘침엽수’ 주제로 한 국립수목원 국제 심포지엄 성공적으로 마무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열린 「제3회 국립수목원 국제 심포지엄」이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에 대한 연구와 보전 방향 정립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마무리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기후변화로 쇠퇴해가는 고산 침엽수림의 보전과 이를 위한 연구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서, 17개국 31명의 국외 연구자들과 280여명의 국내 참가자들이 모여 국가별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아시아 지역 수준으로 함께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특히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이라는 특정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더욱 심도 있는 기조 강연과 주제 발표가 이루어졌다. 구과식물의 대가로 알려진 알리오스 파존(Aljos Farjon) 박사는 ‘침엽수의 자연사(自然史)’라는 주제로 구과식물 전반에 걸친 내용으로 기조 강연을 열었으며, 구상나무와 전나무의 식물 계통 지리 및 종 분화에 대한 논의는 물론, ,침엽수림 내 곤충 종 다양성, 고산 침엽수 보전 정책, 희귀식물 재도입과 복원 기술, 식물학적 정보로서 식물세밀화가 갖는 학문적 위치 등 각 분과별로 각국의 참가자들이 주제 발표를 하였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의 가장 큰 성과는 한반도 구과식물의 유전 정보를 집단 분석하여 지리적 유연관계를 파악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그 범위를 아시아 지역으로 넓히자는 제안을 받아들여 향후 한, 중, 일 3개국이 구과식물 계통 분류 공동연구를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심도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분류, 생태, 보전은 물론 식물세밀화 분야까지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의 지속가능한 연구 방향을 도출하고 공동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다.”라고 감회를 밝히며,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국가 차원을 넘어 아시아 생물다양성 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11-01
  • 국립수목원, ‘구과식물’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간 10개국 17명의 식물과 곤충 분류 및 생태 전문가를 비롯하여 관련 연구자 300여명이 모여 제 3회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로 인해 쇠퇴하고 있는 고산 침엽수림의 보전을 위해 연구 방향을 재정립하고 세계 유수의 연구자들과 함께 성과를 공유하며 논의를 통해 아시아 지역수준(Regional level)의 보전 전략을 함께 모색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총 5개의 분과로 나누어 최신 연구를 발표한다. ①침엽수의 분류와 계통, ②침엽수림과 곤충 다양성, ③변화하는 세계 속의 침엽수 보전, ④희귀식물 자생지 회복과 재도입, ⑤식물학과 식물화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의 최신 국제 연구에 대해 토론한다. 구과식물 연구에 크게 기여하여 전 세계적으로 ‘구과식물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구과식물 조사 및 보전 전략’, ‘세계의 구과식물 편람’ 등 다수의 책을 발간한 알리오스 파존(Alios Farjon) 박사* 또한 이 심포지엄에 참가하여 구과식물 전반에 걸친 내용으로 기조강연을 한다.  * 알리오스 파존 박사는 영국 Kew왕립식물원의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침엽수 관련 13권의 책과 12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고 세계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IUCN-SSC)의 구과식물 전문가 그룹에서 20년 동안 의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린네학회에서 연구하고 있다. 또한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대학의 안드레이 보치나(Andrej Bončina) 교수는 ‘기후변화가 유럽과 슬로베니아 내의 침엽수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 및 아시아 지역 침엽수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접근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보전 방향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하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국립수목원 주도 하에 공동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이라고 밝혔다.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생물다양성협약의 지구식물보전전략(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GSPC), 지구분류화사업(Global Taxonomy Initiative), 아시아-태평양 산림외래종 네트워크(Asia-Pacific Forest Invasive Species Network; APFISN)의 국가연락기관(National Focal Point; NFP)으로서, 국가 차원의 이행을 넘어 동아시아의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10-20

포토뉴스 검색결과

  • 믿고 보는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도해도감Ⅴ’ 발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에 대한 정보를 총 망라한 “한국식물도해도감 V”을 발간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들은 분류학적 연구가 미흡하고, 다른 식물들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거나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종식별에 어려움이 많았다. 때문에 기존의 여러 식물도감에 학명의 오용과 분류군의 오동정으로 인한 잘못된 설명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에 국립수목원은 3년에 걸쳐 한반도에 분포하는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들에 대한 현지 분포조사, 국내외 표본관의 소장표본조사, 형태형질조사 연구와 도해도 제작 등을 수행하여 「한국식물도해도감 Ⅴ 곡풀과·곡정초과·부들과」를 발간하였다. 한반도에는 골풀과(2속 28분류군), 곡정초과(1속 9분류군), 부들과(2속 11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미기록분류군인 두메흑삼릉의 한반도내 분포를 처음 보고하였다.    국립수목원에서는 한국식물도해도감 발간사업을 통해 한반도 자생식물 중 정보가 부족하거나 식별이 어려운 식물들에 대한 도감을 순차적으로 「한국식물도해도감Ⅰ벼과」「한국식물도해도감Ⅱ양치식물」「한국식물도해도감Ⅲ구과식물」「한국식물도해도감Ⅳ사초과」를 발간하고 있다.   「한국식물도해도감Ⅴ골풀과·곡정초과·부들과」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김동갑 박사는 “본 도해도감이 그동안 야외조사에서 동정이 어려워 소외되었던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 식물에 대한 지식과 식별능력 배양을 위한 기초자료로 많은 분들에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4-22
  • 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Ⅲ)’ 발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한반도 자생 수목에 대한 기재, 분포정보, 생육환경 정보 등을 포함한 ‘한반도 수목지(Ⅲ)’를 발간했다.  ‘한반도 수목지(Ⅲ)’에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등 한반도 자생 구과식물 28분류군에 대한 상세한 기재, 분류학적 논의, 자생지 분포, 형태학적 특성, 형태형질 도해, 화분학적 특성, 세포학적 특성, 생육환경 특성, 용도 등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구과식물(Pinidae, Conifers):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의 3/5정도인 630여 분류군이 알려져 있으며,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한다. 국내에 분포 및 식재되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은 구과식물에 속한다.  특히,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구과식물들 중 원예종이나 조경식재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형에 따라 금강송, 반송, 처진소나무 등 품종 및 개량종들이 다양하다. 최근에는 소나무에서 항산화활성, 면역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의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  국립수목원은 2017년 층층나무과, 장미과 등의 주요 자생수목 25종을 수록한 수목지(I) 발간을 시작으로 분류군별 한반도 주요 자생수목에 대한 종합총서를 순차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한반도 수목지(Ⅲ)’은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 연구간행물에서 PDF로 누구나 내려 받아 볼 수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손동찬 박사는“우리나라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목자원은 임업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바, 본 수목지가 주요 수목자원의 활용 및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4-13
  • ‘침엽수’ 주제로 한 국립수목원 국제 심포지엄 성공적으로 마무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열린 「제3회 국립수목원 국제 심포지엄」이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에 대한 연구와 보전 방향 정립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마무리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기후변화로 쇠퇴해가는 고산 침엽수림의 보전과 이를 위한 연구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서, 17개국 31명의 국외 연구자들과 280여명의 국내 참가자들이 모여 국가별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아시아 지역 수준으로 함께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특히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이라는 특정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더욱 심도 있는 기조 강연과 주제 발표가 이루어졌다. 구과식물의 대가로 알려진 알리오스 파존(Aljos Farjon) 박사는 ‘침엽수의 자연사(自然史)’라는 주제로 구과식물 전반에 걸친 내용으로 기조 강연을 열었으며, 구상나무와 전나무의 식물 계통 지리 및 종 분화에 대한 논의는 물론, ,침엽수림 내 곤충 종 다양성, 고산 침엽수 보전 정책, 희귀식물 재도입과 복원 기술, 식물학적 정보로서 식물세밀화가 갖는 학문적 위치 등 각 분과별로 각국의 참가자들이 주제 발표를 하였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의 가장 큰 성과는 한반도 구과식물의 유전 정보를 집단 분석하여 지리적 유연관계를 파악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그 범위를 아시아 지역으로 넓히자는 제안을 받아들여 향후 한, 중, 일 3개국이 구과식물 계통 분류 공동연구를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심도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분류, 생태, 보전은 물론 식물세밀화 분야까지 침엽수로 대표되는 구과식물의 지속가능한 연구 방향을 도출하고 공동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다.”라고 감회를 밝히며,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국가 차원을 넘어 아시아 생물다양성 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11-01
  • 국립수목원, ‘구과식물’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간 10개국 17명의 식물과 곤충 분류 및 생태 전문가를 비롯하여 관련 연구자 300여명이 모여 제 3회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로 인해 쇠퇴하고 있는 고산 침엽수림의 보전을 위해 연구 방향을 재정립하고 세계 유수의 연구자들과 함께 성과를 공유하며 논의를 통해 아시아 지역수준(Regional level)의 보전 전략을 함께 모색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총 5개의 분과로 나누어 최신 연구를 발표한다. ①침엽수의 분류와 계통, ②침엽수림과 곤충 다양성, ③변화하는 세계 속의 침엽수 보전, ④희귀식물 자생지 회복과 재도입, ⑤식물학과 식물화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의 최신 국제 연구에 대해 토론한다. 구과식물 연구에 크게 기여하여 전 세계적으로 ‘구과식물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구과식물 조사 및 보전 전략’, ‘세계의 구과식물 편람’ 등 다수의 책을 발간한 알리오스 파존(Alios Farjon) 박사* 또한 이 심포지엄에 참가하여 구과식물 전반에 걸친 내용으로 기조강연을 한다.  * 알리오스 파존 박사는 영국 Kew왕립식물원의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침엽수 관련 13권의 책과 12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고 세계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IUCN-SSC)의 구과식물 전문가 그룹에서 20년 동안 의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린네학회에서 연구하고 있다. 또한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대학의 안드레이 보치나(Andrej Bončina) 교수는 ‘기후변화가 유럽과 슬로베니아 내의 침엽수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 및 아시아 지역 침엽수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접근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보전 방향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하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국립수목원 주도 하에 공동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이라고 밝혔다.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생물다양성협약의 지구식물보전전략(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GSPC), 지구분류화사업(Global Taxonomy Initiative), 아시아-태평양 산림외래종 네트워크(Asia-Pacific Forest Invasive Species Network; APFISN)의 국가연락기관(National Focal Point; NFP)으로서, 국가 차원의 이행을 넘어 동아시아의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10-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