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산림산업 검색결과

  • 한 권으로 해결하는 약용자원 병해충 정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주요 산림약용작물의 병해충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산림약용작물 병해충 도감」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최근 약용작물은 각종 약리성과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식품, 의약품, 화장품 산업의 중요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미기록 해충과 외래 병해충 발생 피해가 높아지고 있어, 병해충 관리체계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번 연구자료는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정철의 교수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주요 산채·산약초류에서 발생하는 작물별 병해충 발생과 피해 등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향후 농약허용기준 강화제도(PLS)에 대응하여 각종 병해충 특성에 맞는 친환경 방제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천궁   이번에 발간한 자료는, 고려엉겅퀴 7종, 당귀 3종, 천궁 9종, 그리고 작약 5종 등 총 24종의 주요 병해충의 기주, 분포, 생태 및 피해증상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새롭게 확인한 고려엉겅퀴와 천궁의 미기록 병해충 정보를 추가하였다. 미기록 해충으로 고려엉겅퀴에서는 우엉바구미와 우리대벌레를 동정하였고, 천궁에서는 미국선녀벌레, 미나리총채벌레 및 시듦병을 포함했다. 당귀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주요 산림약용자원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종류와 특징을 도감 형식으로 정리하였고 소책자로 만들어 재배현장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병해충 조사를 진행하여 관련 정보를 보완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산림약용작물 병해충 도감(연구자료 824호)」은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도서관(http://know.nifos.go.kr/book/index.ax)>발간자료>연구간행물>연구자료 고려엉겅퀴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5-22
  • 국립산림과학원, 곤드레나물 미기록 해충을 밝히다!
    우엉바구미   ‘곤드레나물’은 봄철에 입맛을 돋우는 산채로, 섬유소가 많아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환경 변화로 곤드레나물(고려엉겅퀴, Crisium setidens)과 같은 산채에 기존 보고된 해충 이외의 낯선 해충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의 시행으로 등록약제가 없는 경우 적절한 방제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정철의 교수팀과 공동으로 곤드레나물의 병해충 조사 과정에서 미기록 해충인 우엉바구미(Larinus latissimus)와 우리대벌레(Ramulus koreanus)을 동정하였다고 밝혔다.  우엉바구미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바구미과(Curculion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성충으로 월동하며 4월경부터 엉겅퀴에 모여 꽃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씨방속을 파먹고 자라며 7월경 성충이 되면 우엉잎을 갉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대벌레     대벌레목(Phasmida) 대벌레과(Phasmatidae)에 속하는 대벌레류는 일반적으로 활엽수를 가해하는 산림해충으로 단위생식을 하며 서식조건이 맞으면 돌발해충이 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우리대벌레는 강원과 충북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지만, 생태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하였다. 이번 고려엉겅퀴에서 발견된 우리대벌레는 산림에서 고려엉겅퀴 재배포지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엉바구미와 우리대벌레 같은 2종 해충의 생태특성과 피해기작 등의 구명은 향후 방제의 기반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재배자들에게 병해충 예찰정보를 제공하고,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 시행에 따라 방제약제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곤드레나물’은 대표적인 건강 산채로 임업인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친환경 방제가 반드시 필요한 작물”이라며 “앞으로도 산채 등의 유용 산림자원에 해를 끼치는 미기록 해충의 생리·생태 연구와 친환경 맞춤형 방제법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9-09-03

포토뉴스 검색결과

  • 한 권으로 해결하는 약용자원 병해충 정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주요 산림약용작물의 병해충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산림약용작물 병해충 도감」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최근 약용작물은 각종 약리성과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식품, 의약품, 화장품 산업의 중요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미기록 해충과 외래 병해충 발생 피해가 높아지고 있어, 병해충 관리체계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번 연구자료는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정철의 교수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주요 산채·산약초류에서 발생하는 작물별 병해충 발생과 피해 등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향후 농약허용기준 강화제도(PLS)에 대응하여 각종 병해충 특성에 맞는 친환경 방제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천궁   이번에 발간한 자료는, 고려엉겅퀴 7종, 당귀 3종, 천궁 9종, 그리고 작약 5종 등 총 24종의 주요 병해충의 기주, 분포, 생태 및 피해증상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새롭게 확인한 고려엉겅퀴와 천궁의 미기록 병해충 정보를 추가하였다. 미기록 해충으로 고려엉겅퀴에서는 우엉바구미와 우리대벌레를 동정하였고, 천궁에서는 미국선녀벌레, 미나리총채벌레 및 시듦병을 포함했다. 당귀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주요 산림약용자원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종류와 특징을 도감 형식으로 정리하였고 소책자로 만들어 재배현장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병해충 조사를 진행하여 관련 정보를 보완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산림약용작물 병해충 도감(연구자료 824호)」은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도서관(http://know.nifos.go.kr/book/index.ax)>발간자료>연구간행물>연구자료 고려엉겅퀴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5-22
  • 국립산림과학원, 곤드레나물 미기록 해충을 밝히다!
    우엉바구미   ‘곤드레나물’은 봄철에 입맛을 돋우는 산채로, 섬유소가 많아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환경 변화로 곤드레나물(고려엉겅퀴, Crisium setidens)과 같은 산채에 기존 보고된 해충 이외의 낯선 해충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의 시행으로 등록약제가 없는 경우 적절한 방제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정철의 교수팀과 공동으로 곤드레나물의 병해충 조사 과정에서 미기록 해충인 우엉바구미(Larinus latissimus)와 우리대벌레(Ramulus koreanus)을 동정하였다고 밝혔다.  우엉바구미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바구미과(Curculion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성충으로 월동하며 4월경부터 엉겅퀴에 모여 꽃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씨방속을 파먹고 자라며 7월경 성충이 되면 우엉잎을 갉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대벌레     대벌레목(Phasmida) 대벌레과(Phasmatidae)에 속하는 대벌레류는 일반적으로 활엽수를 가해하는 산림해충으로 단위생식을 하며 서식조건이 맞으면 돌발해충이 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우리대벌레는 강원과 충북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지만, 생태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하였다. 이번 고려엉겅퀴에서 발견된 우리대벌레는 산림에서 고려엉겅퀴 재배포지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엉바구미와 우리대벌레 같은 2종 해충의 생태특성과 피해기작 등의 구명은 향후 방제의 기반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재배자들에게 병해충 예찰정보를 제공하고,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 시행에 따라 방제약제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곤드레나물’은 대표적인 건강 산채로 임업인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친환경 방제가 반드시 필요한 작물”이라며 “앞으로도 산채 등의 유용 산림자원에 해를 끼치는 미기록 해충의 생리·생태 연구와 친환경 맞춤형 방제법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9-09-0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