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산림산업 검색결과

  • 산림녹화의 주역 향산 현신규 박사의 생애를 총망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세계적인 임목육종학자 향산(香山) 현신규 박사의 유품을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소장하고 있는 사료의 목록화 작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사료집 목록화는 다양한 기록물과 자료들을 바탕으로 임목육종과 함께한 향산의 생애를 재조명하고, 우리나라 임목육종의 역사와 발전사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산 현신규 박사는 우리나라 임목육종 연구의 기틀을 다진 과학자로 리기다소나무와 미국의 테다소나무를 교잡하여 신품종인 리기테다소나무를 육성하여 세계 임목육종학의 역사에 기록될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신품종 포플러인 은수원사시나무(현사시나무)를 개발하고, 이태리포플러를 보급하여 우리나라 산림녹화와 국가 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현신규 박사는 기록이 습관화되어 편지, 노트, 일반문서 등 다양한 자료를 대규모로 남긴 최고의 기록물 보존자이며, 또한 사료의 가치도 높아 ‘국보급 과학 기술 자료’로 평가된다. 이러한 방대하고 소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향산 사료 분류작업을 실시하였다. 분류작업에는 현신규 박사의 친자인 전 서울대학교 현정호 교수, 임목육종 전문가, 향산과 함께 연구했던 원로학자 및 사료보존 전문가 등이 참여하였다.  비교적 보존적 가치가 있은 사료로 분류된 종이류(서류), 박물류, 시청각류 등의 목록 수가 2,360여 건이었으며, 그중 가장 주목받는 메모 노트류 같은 자필 기록물이 153점, 서신류가 1,093점이나 되었다.  특이한 기록물로는 한국전쟁 후 산림 재건을 위한 연구 문서는 물론 식량 등 다양한 분야의 원조 관련 서신, 임목육종연구 사업 지원 관련 등의 서신이 있었다.  특히, 임목육종재료 확보를 위해 당시에는 미수교국이었던 헝가리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 중국 등지로부터도 육종 정보와 재료 확보를 위한 노력도 서신에서 발견되어 눈길을 끌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개량연구과 이석우 과장은 “앞으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이번에 정리된 향산 사료를 디지털화하여 일반에게 공개하는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7-14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이효신 박사 ‘현신규학술상’ 수상!!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22일 전남 담양군 담양리조트에서 열린「2015년도 한국임학회 추계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에서 산림생명공학과 이효신 박사가 “제3회 현신규학술상”의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효신 박사는 생장이 빠르고 꽃이 피지 않는 3배체 포플러 신품종,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용 신품종, 새만금 간척지와 사막화 지역에 식재할 수 있는 내염·내건성 신품종 개발 등 생명공학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이번 수상은 “현신규학술상”의 주인공인 故 현신규 박사의 업적을 이어받아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연구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효신 박사가 개발한 포플러 신품종은 현신규 박사가 우리나라의 산지 조림을 목적으로 은백양나무와 수원사시나무를 교잡해 개발한 현사시나무를 이용해 수행한 연구결과로 세대를 잇는 육종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재료로 사용된 현사시나무의 원래 이름은 은수원사시나무였으나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국토 녹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현신규 박사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성을 따서 ‘현사시나무’라고 이름 지었다. 이 외에도 이효신 박사는 나라꽃 무궁화의 엽록체 유전체 DNA염기서열을 세계최초로 완전 해독하여 무궁화의 유래와 원산지, 그리고 새로운 생물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핵심자료를 제시하였다. 현신규학술상은 대한민국이 낳은 세계적 임목육종학자인 향산(香山) 현신규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3년부터 제정된 학술상이다. 일제의 산림수탈과 한국전쟁으로 헐벗은 국토를 녹화하고, 산림을 자원화하기 위해 일생을 임목육종 연구에 바친 현신규 박사는 2003년 ‘과학기술 명예의 전당’에 농업분야에서 유일하게 헌정되었으며, 올해 ‘광복 70주년기념 대한민국을 이끈 과학기술 7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5-10-23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백양로 재조성에 백양나무 복제목 지원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전통육종기법과 조직배양으로 복제된 백양나무 100여 그루를 백양로(路) 조성을 위해 연세대학교에 기증했다고 전했다. 올해 5월 초, 연세대학교 동문회보에 “백양로에 심을 백양나무를 찾는다”는 공고가 실렸다.   백양나무는 연세대학교의 교목(校木)으로, 연세대학교 백양로는 그 길이가 550미터에 이른다. 1960년대까지는 길 양쪽에 백양나무(은백양나무)가 빼곡해 백양로로 불렸다. 하지만 이후 꽃가루가 심하다는 이유로 큰 백양나무 세 그루만 남겨두고 모두 은행나무로 대체했다. 그런데 최근 연세대학교가 ‘백양로 재창조 사업’을 시작하면서 남아있던 세 그루의 백양나무도 경기도 고양의 삼애캠퍼스 부지로 옮겨 심어 현재 백양로에는 백양나무가 없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연세대학교가 동문들에게 백양나무 묘목을 구한다는 요청을 한 것이다. 소식을 접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유전자원부에서 포플러나무 육종(育種 : 생물을 유전적으로 개량하는 것)을 위하여 보존 중인 50년생의 어미나무(모수)를 이용하여 100여 그루의 복제 묘목을 만들어 분양하게 되었다. 이번에 사용된 복제기술은 어미나무의 뿌리에서 나온 맹아(root bud, 뿌리눈)를 새로운 나무로 키우는 전통적 무성증식 방법과 어미나무의 그루터기 줄기로부터 액아(axillary bud, 겨드랑이눈)를 분리한 다음, 조직배양을 통해 여러 개의 줄기를 유도하고 뿌리를 내려 묘목을 육성하는 생명공학방법 두 가지 기술이 사용되었다. 무성증식법으로 복제된 3년생 묘목은 7일 열리는 ‘백양로 Grand opening’ 행사에서 백양로에 식재되고 조직배양으로 복제된 1년생 묘목은 연세대학교 측에서 더 키운 뒤 식재할 계획이다. 백양나무(Populus alba)는 양버들, 미루나무와 더불어 포플러의 대표적인 나무종류로, 유럽에서 중앙아시아까지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1800년대 후반에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어 1970년대까지 마을길이나 조경수로 많이 심겨지며 국내에 토착화된 나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백양나무는 대부분이 암나무로, 수나무를 찾기가 어려웠다고 한다. 이번에 백양로에 심어진 백양나무는 이탈리아에서 도입한 수나무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암나무에서 발생되는 솜털과 같은 하얀 씨앗 털은 날리지 않을 것이다. 한편 백양나무는 고(故) 현신규 박사가 개발한 현사시나무(은수원사시나무)의 어미나무 역할을 하였다. 현사시나무는 백양나무와 우리나라 자생종인 수원사시나무의 교잡종이다. 이번에 분양된 백양나무도 현사시나무 육종에 사용된 나무다. 이번 백양나무 복제를 주도한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장경환 과장과 산림생명공학과 문흥규 과장은 “전통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전통과 역사성이 있는 나무를 복제 생산한 일은 정부 3.0 시대 협업의 좋은 사례로 남을 것”이라며 반겼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정부 3.0 시대 협업 실천으로 기관 간 칸막이를 없애고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5-10-07

포토뉴스 검색결과

  • 산림녹화의 주역 향산 현신규 박사의 생애를 총망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세계적인 임목육종학자 향산(香山) 현신규 박사의 유품을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소장하고 있는 사료의 목록화 작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사료집 목록화는 다양한 기록물과 자료들을 바탕으로 임목육종과 함께한 향산의 생애를 재조명하고, 우리나라 임목육종의 역사와 발전사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산 현신규 박사는 우리나라 임목육종 연구의 기틀을 다진 과학자로 리기다소나무와 미국의 테다소나무를 교잡하여 신품종인 리기테다소나무를 육성하여 세계 임목육종학의 역사에 기록될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신품종 포플러인 은수원사시나무(현사시나무)를 개발하고, 이태리포플러를 보급하여 우리나라 산림녹화와 국가 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현신규 박사는 기록이 습관화되어 편지, 노트, 일반문서 등 다양한 자료를 대규모로 남긴 최고의 기록물 보존자이며, 또한 사료의 가치도 높아 ‘국보급 과학 기술 자료’로 평가된다. 이러한 방대하고 소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향산 사료 분류작업을 실시하였다. 분류작업에는 현신규 박사의 친자인 전 서울대학교 현정호 교수, 임목육종 전문가, 향산과 함께 연구했던 원로학자 및 사료보존 전문가 등이 참여하였다.  비교적 보존적 가치가 있은 사료로 분류된 종이류(서류), 박물류, 시청각류 등의 목록 수가 2,360여 건이었으며, 그중 가장 주목받는 메모 노트류 같은 자필 기록물이 153점, 서신류가 1,093점이나 되었다.  특이한 기록물로는 한국전쟁 후 산림 재건을 위한 연구 문서는 물론 식량 등 다양한 분야의 원조 관련 서신, 임목육종연구 사업 지원 관련 등의 서신이 있었다.  특히, 임목육종재료 확보를 위해 당시에는 미수교국이었던 헝가리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 중국 등지로부터도 육종 정보와 재료 확보를 위한 노력도 서신에서 발견되어 눈길을 끌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개량연구과 이석우 과장은 “앞으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이번에 정리된 향산 사료를 디지털화하여 일반에게 공개하는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7-14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이효신 박사 ‘현신규학술상’ 수상!!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22일 전남 담양군 담양리조트에서 열린「2015년도 한국임학회 추계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에서 산림생명공학과 이효신 박사가 “제3회 현신규학술상”의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효신 박사는 생장이 빠르고 꽃이 피지 않는 3배체 포플러 신품종,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용 신품종, 새만금 간척지와 사막화 지역에 식재할 수 있는 내염·내건성 신품종 개발 등 생명공학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이번 수상은 “현신규학술상”의 주인공인 故 현신규 박사의 업적을 이어받아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연구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효신 박사가 개발한 포플러 신품종은 현신규 박사가 우리나라의 산지 조림을 목적으로 은백양나무와 수원사시나무를 교잡해 개발한 현사시나무를 이용해 수행한 연구결과로 세대를 잇는 육종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재료로 사용된 현사시나무의 원래 이름은 은수원사시나무였으나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국토 녹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현신규 박사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성을 따서 ‘현사시나무’라고 이름 지었다. 이 외에도 이효신 박사는 나라꽃 무궁화의 엽록체 유전체 DNA염기서열을 세계최초로 완전 해독하여 무궁화의 유래와 원산지, 그리고 새로운 생물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핵심자료를 제시하였다. 현신규학술상은 대한민국이 낳은 세계적 임목육종학자인 향산(香山) 현신규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3년부터 제정된 학술상이다. 일제의 산림수탈과 한국전쟁으로 헐벗은 국토를 녹화하고, 산림을 자원화하기 위해 일생을 임목육종 연구에 바친 현신규 박사는 2003년 ‘과학기술 명예의 전당’에 농업분야에서 유일하게 헌정되었으며, 올해 ‘광복 70주년기념 대한민국을 이끈 과학기술 7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5-10-23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백양로 재조성에 백양나무 복제목 지원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전통육종기법과 조직배양으로 복제된 백양나무 100여 그루를 백양로(路) 조성을 위해 연세대학교에 기증했다고 전했다. 올해 5월 초, 연세대학교 동문회보에 “백양로에 심을 백양나무를 찾는다”는 공고가 실렸다.   백양나무는 연세대학교의 교목(校木)으로, 연세대학교 백양로는 그 길이가 550미터에 이른다. 1960년대까지는 길 양쪽에 백양나무(은백양나무)가 빼곡해 백양로로 불렸다. 하지만 이후 꽃가루가 심하다는 이유로 큰 백양나무 세 그루만 남겨두고 모두 은행나무로 대체했다. 그런데 최근 연세대학교가 ‘백양로 재창조 사업’을 시작하면서 남아있던 세 그루의 백양나무도 경기도 고양의 삼애캠퍼스 부지로 옮겨 심어 현재 백양로에는 백양나무가 없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연세대학교가 동문들에게 백양나무 묘목을 구한다는 요청을 한 것이다. 소식을 접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유전자원부에서 포플러나무 육종(育種 : 생물을 유전적으로 개량하는 것)을 위하여 보존 중인 50년생의 어미나무(모수)를 이용하여 100여 그루의 복제 묘목을 만들어 분양하게 되었다. 이번에 사용된 복제기술은 어미나무의 뿌리에서 나온 맹아(root bud, 뿌리눈)를 새로운 나무로 키우는 전통적 무성증식 방법과 어미나무의 그루터기 줄기로부터 액아(axillary bud, 겨드랑이눈)를 분리한 다음, 조직배양을 통해 여러 개의 줄기를 유도하고 뿌리를 내려 묘목을 육성하는 생명공학방법 두 가지 기술이 사용되었다. 무성증식법으로 복제된 3년생 묘목은 7일 열리는 ‘백양로 Grand opening’ 행사에서 백양로에 식재되고 조직배양으로 복제된 1년생 묘목은 연세대학교 측에서 더 키운 뒤 식재할 계획이다. 백양나무(Populus alba)는 양버들, 미루나무와 더불어 포플러의 대표적인 나무종류로, 유럽에서 중앙아시아까지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1800년대 후반에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어 1970년대까지 마을길이나 조경수로 많이 심겨지며 국내에 토착화된 나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백양나무는 대부분이 암나무로, 수나무를 찾기가 어려웠다고 한다. 이번에 백양로에 심어진 백양나무는 이탈리아에서 도입한 수나무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암나무에서 발생되는 솜털과 같은 하얀 씨앗 털은 날리지 않을 것이다. 한편 백양나무는 고(故) 현신규 박사가 개발한 현사시나무(은수원사시나무)의 어미나무 역할을 하였다. 현사시나무는 백양나무와 우리나라 자생종인 수원사시나무의 교잡종이다. 이번에 분양된 백양나무도 현사시나무 육종에 사용된 나무다. 이번 백양나무 복제를 주도한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장경환 과장과 산림생명공학과 문흥규 과장은 “전통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전통과 역사성이 있는 나무를 복제 생산한 일은 정부 3.0 시대 협업의 좋은 사례로 남을 것”이라며 반겼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정부 3.0 시대 협업 실천으로 기관 간 칸막이를 없애고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5-10-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