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광장 검색결과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열대성 지의류 신안 가거도 분포 최초 확인
    <사진> Stigula multiformis   <사진> Strigula depressa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류태철)이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팀과 국내 섬 지역에 분포하는 미생물 다양성 연구를 통해 가거도에서 열대․아열대 기후에 서식하는 엽권지의류(Foliicolous lichen) 2종의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바위 표면이나 수목의 수피에서 생장하는 일반적인 지의류와는 달리, 엽권지의류는 수목의 잎에 착생하여 살아가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며 주로 열대지역의 상록활엽수에서 발견된다.   지난 10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신안 가거도에서 발견한 엽권지의류 청엽지의속(Strigula)은 국내에서 2009년 제주도에서 2종(S. nemathora, S. smaragdula)이 최초 보고된 이래 2013년에 4종(S. concreta, S. macrocarpa, S. melanobapha, S. subelegans), 2020년에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이 제주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가 보고되었다.    이번에 발견한 청엽지의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은 2018년 제주도에서 발견되어 2020년에 최초 보고된 신종과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엽지의가 제주도 이외의 섬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열대성 엽권지의류 국내 분포 범위의 점진적 북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추적을 위해 남해안형 기후구에 속하는 섬 지역의 생물상 변화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김창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도서생물자원연구실장은 “섬 지역 생물상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며, “향후 기후변화에 민감한 섬 지역 미생물의 변화를 추적하고 기후변화지표종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산림환경
    • 산림보호
    2023-11-23
  • 국내 첫 지의류 정원, 국립수목원에서 만나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3월 31일부터 에서 국내 첫 지의류 정원「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을 개장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이다. 지의류는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사막화 방지 활동시 토양을 안정화하는 연구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지의류는 우리나라에 1,000여종, 전세계에 2만여종이 자생. 지의류는  한자어로 [地衣], 돌옷, 땅옷 이라는 뜻을 가지며, 돌, 나지 등 드러난 땅을 덮는 생명체임.   전 세계에서 지의류 정원이 있는 곳은 지의류 연구가 시작된 영국의 에딘버러 왕립 식물원과 국립 웨일즈 식물원이다. 핀란드 헬싱키와 호주 시드니에서도 식물원․수목원내 다양한 지의류를 이용한 지의류 정원을 조성, 운영하고 있다.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 ‘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은 국립수목원 난대온실 내에 조성되었다. 이 난대온실은 1987년에 조성되어 우리나라 온대 남부(남쪽 도서 및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난대식물이 일부 공간에 식재, 관리되어 왔다. 조성 당시 식물과 함께 유입된 지의류가 30여년의 시간 동안 함께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제주도의 곶자왈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제주도 곶자왈에서는 내륙에서는 볼 수 없는 엽상지의류인 청엽지의속을 포함하여, 69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 중 난대온실에서는 사슴지의, 가지지의 등 10종을 볼 수 있음.   국립수목원 지의류 정원은 곶자왈의 생태환경에서 볼 수 있는 지의류와 쉽게 보기 힘든‘송라’,‘석이’ 등의 지의류를 한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숲의 개척자인 지의류를 눈으로 즐기고, 알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지의류연구자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을 만들게 되어 기쁘다.”라면서, “나태주 시인의 ‘풀꽃’의 한 구절처럼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풀꽃처럼 숲을 시작한 생물, 지의류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3-04-03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 가평 유명산에서 1,038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함께 8.20.∼21. 이틀간 경기도 가평군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탐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생물탐사 활동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첫 전면 대면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로 조성된 휴양림 3곳 중 하나인 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개최되어 더 의미를 더했다.   일반인과 전문가가 함께 진행한 올해 24시간의 생물종 조사에서는 식물 347종, 곤충 498종, 조류 20종 등 총 1,038종이 발견되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휴양림임에도 생물다양성이 잘 보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사에 참여한 산림청 임상섭 차장은 “벌써 13회째를 맞이하는 바이오블리츠는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행사로서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국민이 쉽게 산림생태계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는 팬데믹에서 잠시 벗어나 온 가족이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기회”라며, “내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서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8-22
  •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을 개최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로 우리나라에 1,000여 종,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알려져 있다. 특히,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며,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알려져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지의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립수목원은 10여 년간의 연구를 수행하고 여러 편의 도감 제작과 전문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준비한 특별전은 지금까지 과학의 영역으로 접근한 미개척 생물군인 지의류를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지의류를 소재로, 지의류의 형태, 색상, 조형성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김순선* 작가의 작품 31점을 전시한다.     * 김순선 작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한 지의류 회화작품 전시. 제20회 서울 강남미술대전(2018)에서 서양화 부문 대상 수상.   본 전시회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온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 “지의류는 산림생물들이 숲에 정착하기 위한 토양과 영양분을 만들어주는 숲 생태계의 시작점”이라면서, “미지의 세계인 지의류를 만나, 알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김순선 작가님의 작품들을 통해 과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한 지의류의 아름다움을 즐겨보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지의류 특별전시회 기간에 회화작품 31점과 작품 속 지의류 표본 6점을 비교 감상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7 월 12일, 19일)과 토요일(7월 16일, 23일) 각 오후 12시, 3시, 4시(3회)에 작가의 작품해설과 지의류 작품활동 체험이 진행된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7-06
  • 한국임업진흥원,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품질관리 사업 본격 추진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4월 8일 부산 기장군을 시작으로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장조사에 대한 품질관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현재 고정표본점에 대해 전국 산림의 자원과 건강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 ~ 2020)에 비하여 ▲조사 표본점 개수 증가(4,150개소 → 4,500개소)와 더불어, ▲어린나무의 부피 산출을 위한 어린나무 높이 조사 및 ▲산림의 건강성 평가 지표로 활용할 ‘지의류’에 대한 조사가 추가 도입 되는 등 조사항목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졌다. LiDAR 장비 활용 표본점 3D 모델링화   이와 같은 개편에 맞추어 진흥원은 기존의 21개 품질관리 평가 항목을 24개로 확대하고, 기존의 조사방법에서 나아가 LiDAR 장비를 활용하여 표본점을 3D 모델링화하고, 종이야장을 대체한 전자야장을 사용하여 전국 산림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강오 원장은 “국가산림자원조사의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단계를 시스템화하여 산림기본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과학적인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2021-04-20
  • 한반도 식물연구의 귀중한 역사와 함께하다
    김무열 교수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한반도 식물 기준표본을 기증받았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김무열 교수가 소장한 것으로 한반도 특산식물인 완도호랑가시나무, 위도상사화 등을 포함한 52종 71점의 기준표본이며, 이중 정기준표본은 52점이다.  기준표본은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식물의 이름과 기재의 근거가 되는 표본으로 식물연구의 기초가 되는 표본이며, 정기준표본은 전 세계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매우 중요한 표본으로 새로운 종을 발표할 때 사용된다. 완도호랑가시나무   표본을 기증한 김무열 교수는 25년간 연구를 통해 수집하고 정리한 기준표본들을 국립수목원에 기증하며 식물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서는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다.  위도상사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식물 외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총 116만4천여점의 표본이 수집되어 있으며 국내 최대 산림생물연구의 메카이기도 하다.    국립수목원 최영태 원장은“이번에 기증받은 식물 기준표본은 우리나라 식물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국제공동연구에도 이용될 것이며, 우리  식물연구의 역사와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도상사화 정기준표본     완도호랑가시나무 정기준표본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1-02-02
  • 국립수목원, 광릉숲에 사는 생물 6,251종 목록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부터 시작된 절대 보존림 광릉숲의 산림생물상 조사 결과를 모은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2012년 발간된 “변화하는 환경과 광릉숲 생물다양성” 이후 진행된 조사 내용을 추가였으며, 전체 기록 종 수는 6,251 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종 목록에는 선태류, 지의류, 식물, 고등균류, 부착조류, 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양서류, 파충류, 어류, 조류, 및 포유류와 부착조류 등 12개 생물군으로 2014년 발견된 큰원추리, 부채괴불이끼 등이 새롭게 광릉숲 생물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광릉요강꽃   광릉숲에는 특산식물인 외대의아리, 흰괭이눈, 광릉골무꽃과 희귀식물인 광릉요강꽃, 층층둥굴레, 참작약 등이 포함된 946 분류군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곤충은 3,932 분류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릉숲 지역은 오랜 기간의 보전 관리 영향뿐만 아니라 한랭온대 및 온난온대 지역의 생물이 중첩 분포할 수 있어 높은 산림생물다양성을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생물상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해서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의 김재현 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물은 산림 이용과 인위적 교란이 심한 동북아시아의 온대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저지대 낙엽활엽수 성숙림인 광릉숲의 보전 관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과학적 성과물이며,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보전 연구, 그리고 관련된 산림행정의 개선 활동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수하늘소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1-20
  • 산림청 국립수목원, ‘비대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성공적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6일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0(Bioblitz Korea 2020)*를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국립백두대간수목원 일원)에서 개최했다. * 바이오블리츠는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행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으로 1996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생물다양성 탐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세계 최초로 쌍방향 소통형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제1회 행사가 열렸던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10년 후 생물상을 재조명하였다. 이번 행사는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비대면 생물종 탐사 이야기와 토크콘서트가 이루어졌으며, 사전 신청자(375명)에 한해 분류군별 전문가와 영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소통하였다. 또한 모든 영상은 국립수목원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진행하여 많은 참가자들이 그동안 산림생물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탐사 결과 문수산 일대에서 총 1,233종의 생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0년 전 제1회 행사에서 확인된 937종 보다 약 30% 증가한 수치였다. 특히,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호)와 같은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생물도 발견되었으며, 지의류 분야에서는 신종 후보종 3종을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향후 탐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물상 변화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최경 팀장은 “앞으로도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 및 개인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오늘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행사와 같이 고품질의 산림교육 콘텐츠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9-28
  • 국립자연휴양림을 실시간으로 보고 즐겨봐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이영록)는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정서 침체와 활력 저하에 도움이 되고자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휴양림 소속 산림복지전문가가 숲해설이나 체험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국민 누구나 국립자연휴양림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휴양림 숲해설 등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운영 기간은 9월 22일(화)부터 10월 20일(화)까지 약 한 달간이며, 매주 화·목 오전(10:30)·오후(14:00)로 나누어 총 16회 운영된다. 자세한 일정은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의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은 유튜브 검색창에서 “국립자연휴양림”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음 이영록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국민들에게 비대면 시대에 맞추어 국립자연휴양림을 보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으로 조금이나마 국민들의 몸과 마음의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실시간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집콕 휴양림 문화교육 프로그램’ 목록   지역팀 일자 시간 휴양림 프로그램명 비고 동부 9.22 (화) 10:30 청태산 물을 품은 숲 녹색댐 1회 14:00 청태산 나는 숲속의 해결사 2회 동부 9.24 (목) 10:30 대관령 씨앗아 놀자 3회 14:00 가리왕산 숲속에 숨겨진 감동의 METAPHOR을 찾아서 4회 동부 9.29 (화) 10:30 화천숲속 야영장 싸리나무 이야기 5회 14:00 용화산 녹색댐을 지켜라 6회 동부 10.6 (화) 10:30 삼봉 삼봉의 지의류의 보물창고 7회 14:00 미천골 자연생태계 순환고리 탐구 8회 동부 10.8 (목) 10:30 용대 내 꽃은 내눈에만 보여요! 9회 14:00 방태산 자연소재 벽걸이 만들기 10회 북부 10.13(화) 10:30 유명산 딱따구리 이야기 11회 14:00 유명산 가을맞이 자생식물원 12회 남부 10.15(목) 10:30 달음산 무당개미의 유혹 13회 14:00 달음산 좀비개미 14회 서부 10.20(화) 10:30 지리산 등나무 이야기 15회 14:00 지리산 지리산반달가슴곰 이야기 16회 * 휴양림 사정 및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2020-09-21
  • 국립수목원, 분류학 연구 문헌자료를 공유한다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생물표본관 내에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오픈하고 사전 이용신청자에 한해 개방한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 최초의 생물전문 표본관으로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 생물 2만 여종, 110만 여점의 연구용 표본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개원 후 20년간 산림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창복 전 서울대교수, 이우철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박규택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백종철 전 순천대학교 교수 등 원로 학자로부터 많은 분류학 관련 문헌을 기증받았다.   국립수목원은 공공자료 개방 정부혁신 기조에 맞춰 그동안 일반 공개하지 않았던 산림생물표본관을 리모델링하여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구축하였으며, 분류학 관련 연구자, 학생 또는 분류학을 공부하고 싶어 하는 신청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또한, 표본관 1층 로비에는 생물표본의 의미와 표본 제작도구, 방법 등을 설명하는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여 방문객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에서 이용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담당자에게 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국립수목원 오승환 산림생물다양성과장은 “국립수목원이 그동안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 왔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와 문헌 자료들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분류학과 관련된 분야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7-25
  • 국립수목원, 지의류 표본 17,892점 기증 받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오는 19일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가 소장해 온 지의류 표본을 기증 받았다.   국내 지의류 연구 분야의 권위자인 허재선 교수가 소장해 온 지의류1) 증거표본2) 1만7천 여 점을 국립수목원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증한 것이다.       1)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다.        2) 증거표본이란?  신종이나 국내 미기록종으로 학계에 발표하는 생물의 증거 자료이다. 생물연구의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기준[모식]표본(type specimen)은 전 세계에 1개만 존재하는 표본이다.    국립수목원은 순천대학교와 지난 10여 년 간 공동으로 지의류를 연구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연구의 근거가 되는 표본을 꾸준히 확보해 왔다. 이러한 표본들을 국가기관이 소장하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국내외 연구자들은 지의류 연구를 위해서라면 누구나 표본을 열람할 수 있다.    지의류 연구의 발전을 위해 표본을 기증하는 허재선 교수는 ‘보길도단추지의(Caloplaca bogilana Y. Joshi & Hur)’ 등 신종으로 기재한 53종 등 증거표본 17,892점을 선뜻 내놓았다. 국내 지의류 9,297점은 물론, 국외 지의류 표본 8,595점 중 남극과 북극에서 직접 채집한 표본도 380여점 포함되어 있다.    한편, 국립수목원은 그간의 연구 결과로 「한국산 지의류 도감 I」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한국산 지의류 중 287종의 거대지의류에 대한 설명과 사진, 종을 식별할 수 있는 분류키, 화학 성분, 분포 정보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한국산 지의류 도감 시리즈의 첫 번째 판이며 이어 미소지의류에 대한 도감을 연이어 출간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에 기증 받은 지의류 증거표본들은 국내외 지의류 분류학 연구의 기반이다. 또한 이 증거표본을 근거로 발간한 「한국산 지의류 도감」 시리즈는 지의류 연구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 뉴스광장
    • 수목/과학
    2016-12-17
  • 경남과학고, 청소년 산림대회 논문 대상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국제 청소년 산림대회 논문 공모전’에서 경남과학고의 ‘소나무재선충의 병원성에 대한 연구’를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 산림대회 논문공모전 시상식 : 8.28.(금) 14:00, 정부대전청사 이번 논문공모는 러시아에서 열리는 ‘국제 청소년 산림대회’에 참가할 우리나라 학생 대표를 선발하기 위해 산림청과 녹색사업단이 처음 개최했다. 산림을 주제로 학생들이 작성한 영문 논문과 영어 발표에 대한 심사를 통해 우수작을 선정했다. 대상은 경남과학고(김명환, 권오승, 조민지/ 지도교사 김윤동)의 ‘소나무재선충의 병원성에 대한 연구’가 선정됐고 우수상은 세종과학고(홍채영, 이의광/ 지도교사 최순규)의 ‘서울 고궁 일대 지의사막에 돌아온 지의류의 생태지도 작성’이 각각 차지했다. 경남과학고 김명환 학생은 “학교 주변에 있는 소나무들이 빨갛게 병들어 가는 것을 보고 소나무재선충병을 알게 되었다”면서 “지난해부터 관찰과 실험을 해 온 연구인데 이렇게 큰 상까지 받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경남지역은 소나무재선충병 전국 발생량의 36%를 차지하고 있어 경남과학고 학생들의 연구 활동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 대상과 우수상을 받은 학생 대표(김명환, 홍채영)는 9월8일부터 12일까지 러시아 세인트피터스버그에서 열리는 ‘제11회 러시아 국제 청소년 산림대회’에 우리나라 대표로 참가해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러시아와의 산림협력이 계기가 되어 2007년부터 러시아 초청으로 국제 청소년 산림대회에 참여하고 있다. 이 대회는 매년 30여 개국의 청소년들이 각국의 산림에 대한 연구 논문을 경연하고 있으며 올해로 11회째를 맞고 있다. 산림청 이창재 해외자원협력관은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이 산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이번 공모전을 진행하게 되었다”며 “앞으로 매년 개최해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광장
    2014-08-29
  • 2012년 제3회 임산미생물 분야 산학연 간담회 및 산림버섯 채집회 한라산에서 개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소는 산림청의 후원으로 제3회 임산 미생물 분야 산학연 간담회 및 산림버섯 채집회를 제주도 한라산 일원에서 진행하였다.  2012년 6월 21일부터 6월 23일까지 3일간 제주도 한라산 일대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충북대학교,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언론사 등 20여명이 참석하여 표고를 비롯한 30여종의 다양한 버섯 종이 조사되었으며 국립수목원 한상국 박사의 진행으로 버섯분류․동정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개최된 임산 미생물 분야 산학연 간담회에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연구되고 있는 표고 신품종 개발 및 기능성 표고 재배기술 연구, 침엽수를 이용한 버섯 재배기술 개발, 산림미생물 유전자원의 수집 및 증식보존기술 연구,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 생태계 경영 현장 적용 기술, 산불피해지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및 복구관리에 관한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하여 가강현 박사의 소개가 있었으며, 국립수목원 한상국 박사는 국립수목원의 연구현황에 대한 발표에서 산림 지의류 및 버섯류 다양성 연구와 광릉숲, 울릉도 및 점봉산 버섯상 조사에 관한 연구내용을 소개하였다.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이창표 팀장은 기후 변화에 따른 산림변화 모리터링을 통한 산림생태 환경조사 및 생장목편 DB구축에 관한 기관 설명을 통하여 유관기관간의 협조체계 구축을 강조하였으며, 충북대학교의 구창덕 교수는 저비용 고효율 톱밥표고 지면 재배 기술 원리 규명 및 균근성 버섯인 능이의 임지재배 기술 및 기능성 개발에 관한 연구내용을 발표와 함께 산학연 공동연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소의 고한규실장의 진행으로 표고산업 발전에 관한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으며 한국형 표고 톱밥 재배 표준화 모델 개발의  향후 추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또한 품질 안전성 검증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표고버섯 등에 대한 중금속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치 선정이 중요하며 친환경재배 기술교육 및 예방법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번 간담회 진행 중 제주도 선도 농가인 삼다표고 영농조합법인을 방문하여 원목 및 표고톱밥 재배 현황을 견학하였으며 삼다표고 김성건 대표는 배지와 원목 수급에 대한 애로사항을 토로하였다.  산림버섯연구소의 박흥수 소장은 이번 임산 미생물 분야 산학연 간담회 및 산림버섯 채집회를 통하여 유관기관의 연구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표고 등의 수집을 통하여 다양한 유전자원을 확보하였고 앞으로 더 많은 기관이 참여하여 산림버섯 산업이 더욱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광장
    2012-07-03
  • 국립수목원, 스마트한 생물정보 제공
     국립수목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1999년부터 생물의 다양한 정보를 DB로 구축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을 통해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포유류, 조류 등에 대한 생물자원정보를 국민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장비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언제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생물정보를 국문과 영문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바일웹사이트를 개발하였다. 본 모바일웹사이트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한 2011년 국가DB사업 ‘식물·곤충 표본정보 DB구축’ 과제의 일부로 개발되었다.   모바일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생물군은 식물, 곤충, 버섯, 야생조류, 포유류이다. 주요 서비스 내용은 식물, 곤충, 버섯류, 포유류, 조류의 종류에 대한 이름과 종합적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도감정보와, 멸종위기 동·식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보호식물과 보호곤충, 그리고 식물에 관련된 전문용어를 찾아 볼 수 있는 식물용어사전, 식물세밀화갤러리 등 12개의 메뉴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식물, 곤충, 버섯, 조류, 포유류의 교실 메뉴는 단순한 정보제공을 벗어나 능동적으로 생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공되는 정보는 식물도감을 예로 들면, 6개의 세부메뉴(기본정보, 일반정보, 상세정보, 분포도, 종자정보, 관련생물종)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정보는 학명과 국명 그리고 식물의 부위별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정보에서는 식물의 꽃피는 시기, 잎, 열매 등에 대한 특징을, 상세정보에서는 생육환경, 번식방법, 이용방법 등을 제공한다. 그 외 종자의 결실기, 발아특성, 이미지 등을 제공하는 종자정보와 식물의 자생지를 나타내는 분포도, 그리고 식물과 곤충이나 버섯 등 다른 생물종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관련생물종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식물세밀화갤러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세밀화 작품으로 미적, 정서적으로 식물에 한층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식물의 특징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면서 미적인 감각으로 표현되는 세밀화를 감상하며 식물을 자세히 이해하고 식물, 나아가 자연에 대해 감성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용방법은 스마트 장비를 이용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접속할 때는 주소창에 http://m.nature.go.kr를 직접 입력하여 접속하거나, NAVER나 DAUM, GOOGLE 등의 포털에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을 검색하면 자동으로 모바일웹사이트가 검색된다. 현재 아이폰, 아이팟(Safari 브라우저), 안드로이드(일부단말기 제외) 계열 단말기로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전에는 생물정보를 찾기 위해 시간을 들여 도서관을 찾거나 두껍고 무거운 도감을 들고 다니며 정보를 확인해야만 했으나,  이제는 그러한 수고 없이 문득 궁금한 생물이 떠올라도 그 자리에서 바로 스마트 장비를 통해 생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손 안에 생물도서관, 손 안에 생물도감이 실현된 셈이다.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일반인들이 생물정보를 보다 쉽고 흥미있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체계를 마련하는데 노력을 다 할 것이다.  
    • 뉴스광장
    2012-05-03
  • 미개척 생물자원 ‘지의류’ 지구사막화 극복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은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제10차 당사국 총회가 열리고 있는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10월 20일 사막화 방지와 황폐화된 건조지역의 생태계를 회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부대행사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국립수목원이 2006년부터 미개척 생물자원인 지의류 연구를 순천대학교(MOU 기관)와 공동으로 수행한 성과 중 지의류가 미래 생물자원으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을 알리고자 기획했다고 밝혔다.  생태계의 필수요인으로 특히, 건조지역에서 토양을 안정시키고 비옥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모양의 시아노박테리아, 지의류, 이끼 등이 있는 생물토양피막(Biological Soil Crusts; BSC)의 역할과 기능 및 보존의 필요성(Dr. Jayne Belnap 미국), 토양생물피막 인공형성유도를 통한 사막화방지 신기술 개발(Dr. Liu, Hua Jie) 및 방목지의 가축 방목 중단 후 토양생물피막의 회복성이 높고 이는 유관속식물의 증가에 기여한다(허재선 교수& Dr. Liu Yan Peng)는 내용이 소개되었다.   Dr. Jayne Belnap(미국)은 우리주변의 토양피막을 보존해야함을 강조하였고 Dr. Liu, Hua Jie은 인공적인 토양생물피막 기술이 황사 피해와 동아시아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 지의류(地衣類, lichens)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식물군으로 균류가 조류를 둘러싸고 있으며 균류는 균사로서 물을 흡수하여 보존하고, 조류는 광합성을 하여 균류와 자신이 필요한 영양분을 만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생(共生)한다고 보고 있다.   지의류는 다른 식물이 도저히 살 수 없는 추운 극지와 높은 산에서 밖으로 나온 바위면에 붙어 사는데, 특수 화학물질을 배출하여 바위면을 분해시켜서 토양을 만들므로, 다른 선태류가 들어갈 수 있는 터전을 만들고 있다. ※ 사상 시아노박테리아는 수분이 있으면 활성화 되어 토양을 통해 이동하고 뒤에 점액성피복물질을 남기는데 이물질이 바위나 토양입자 같은 표면에 붙어 섬유조직의 복잡한 띠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헐거워진 토양입자는 서로 결합하고 그 밖의 불안정하고 침식되기 쉬운 표면은 바람과 물 모두에 저항성을 갖게 된다. 
    • 뉴스광장
    2011-10-21
  • 국립수목원, 한반도 생물종 주권의 근거 확보 노력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은 지난 5년간(2006~2010년) 「한반도 산림생물 표본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동북 아시아지역의 생물표본 26만 여점과 우리 생물종이 처음 기록된 (원)기재문 2만 5천 여점을 수집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기준표본(type speciemen)*의 소재를 파악하여 표본 이미지 약 670여점과 곤충 모식표본 204점을 확보하였으며, 이 사업을 통해 곤충과 지의류의 신종(新種) 13종, 미기록 생물종 170종을 새롭게 보고한 바 있다. 생물자원에 대한 시·공간의 역사를 반영하는 생물표본은 우리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하는 증거자료이자 기후변화에 의한 생물상 변화를 연구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확보된 생물표본과 기재문, 기준표본 이미지 등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사이트(http://nature.go.kr)과 국가표준식물목록시스템(http:// nature.go.kr/kpni)에서 서비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반도 산림생물표본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한 표본 확보 현황> 구분 계 식물 곤충 미생물 종수 9,110 3,762 4,438 910 표본점수 268,358 124,097 139,297 4,964 생물다양성협약(COP10)과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ABS)을 위한 ‘나고야 의정서’ 채택으로 각국의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국립수목원은 우리 생물종의 주권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생물표본 확보 사업을 추진하여 2010년까지 한반도 자생식물 80%, 나비와 나방류 60%의 확증표본을 확보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딱정벌레종류의 앞털뭉뚝나무좀(가칭) 신종을 포함하여 신종후보종 13개와 그동안 한반도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던 미기록종 백운산방풀 등 170종을 발굴하여 보고하였다. 그리고 외대으아리 등 특산식물 154분류군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파초일엽 등 399분류군에 대한 석엽표본과 분포지 정보를 확보하였다. ※ 한반도 특산식물: 328종 (한반도 특산관속식물, 2005), 희귀식물: 571종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2008) 구 분 계 식물 곤충 지의류 고등균류 신 종 13 1 7 5 - 미기록 170 35 93 33 9 고유종(특산종) 324 154 170 - - 희귀종 399 399 - -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19 - 119 - - 특히,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정확한 이름을 찾는데 필요한 (원)기재문과 기준표본 등의 소재를 파악하여 미국 하버드대학 표본관 도서관, 독일 베를린 식물원 도서관 등에서 문헌자료 25,000건과 동경대학 표본관에 소장된 기준표본을 스캔한 기준표본 이미지 670여점을 확보하였다. 이는 1900년대 초반에 주로 발표되어 우리나라 자생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어려웠던 점을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밖에 사업결과를 활용한 식물학 전문서적 「한반도 관속식물 원기재문 I」,「한국식물도해도감 2 양치식물」은 물론,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별이 쉬운 나무도감」, 「우리 산과 들에서 만나는 풀 200」, 「우리 산과 들에서 만나는 나무 200」,「우리 산과 들에서 만나는 곤충 200」,「우리 산과 들에서 만나는 버섯 200」 등을 발간하였다.  국립수목원의 산림생물표본관은 2011년부터 향후 5년간 ‘한반도 산림생물표본 인프라 고도화 사업’을 확대 추진하여 아직까지 확보하지 못한 자생종에 대한 확증표본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며, 한반도 생물종의 주권을 수호할 수 있는 동북아시아 허브 표본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광장
    2011-05-02
  • 국립수목원, 순천대학교와 학술연구‧교육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과 국립 순천대학교(총장 임상규)는 3월 11일 11: 30분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국내․외 생물자원의 조사‧발굴․활용을 위한 연구 및 교육에 관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이를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엄을 13:00시부터 ‘미개척 생물자원, 지의류’라는 주제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1999년 개원한 이래 희귀·특산식물의 보존 및 복원을 포함한 국내·외 산림생물종에 대한 수집·분류·증식 및 자원탐색 등은 물론, 전시교육을 수행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산림생물종 연구기관이며, 순천대학교는 2003년 「한국 지의류연구센터」를 설립한 이후 국내 지의류 연구 인프라와 응용 연구 기반을 구축하였다.  특히, 지난 5년간(2006-2010) 국립수목원과 국립순천대학교의 지의류연구센터는 「한반도 산림생물 표본 인프라 구축」공동 연구를 통해 지의류 조사․수집․분류에 대한 체계적인 기틀을 마련하였다.  국립수목원과 순천대학교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생물자원의 조사‧발굴 및 활용을 위한 공동연구, 우수인재 양성 및 두 기관에 소장되어있는 생물자원(생물표본, 균주, 추출물 등)의 이용과 체계적인 관리 등에 대해 협력을 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외 미개척 생물자원의 연구와 활용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기관의 MOU체결 후 ‘미개척 생물자원 지의류’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국제심포지엄은 지의류 자원을 이용한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지의류 생물자원의 기초연구 및 분자적 접근, 지의류의 활용 및 천연물질의 산업화 등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국내․외전문가 8명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외국의 초청연사로는 지의류 연구와 활용분야의 우크라이나 국립과학아카데미의 Sergey Kondratyuk교수와 독일 괴팅겐대학의 Hari Datta 박사 등 4명, 국내연사로는 지의류 연구 현황과 분자분류학적 접근분야에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 서울대학교 박종선 박사 등 4명이다.  환경지표 생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지의류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신생물자원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분류군이다. 현재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치매개선제는 한국산 지의류인 Cladonia macilenta에서 유래된 Biruloqinone을 이용한 것이며, 당뇨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lobaric acid는 남극 세종기지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Stereocaulon 지의류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앞으로 지의류 유래 천연물질들은 신약개발을 포함한 생물산업을 위한 미활용 신소재로서 활용가치와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 김용하 국립수목원 원장은 “이번 MOU와 심포지엄을 계기로 지의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와 활용에서 우리나라가 국제적으로 지의류 연구의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뉴스광장
    2011-03-11
  • "산림토양 산성화 여전히 심각, 수목 스트레스도 커"
    우리나라 산림은 외관상으로는 대체로 건강해 보이지만 산림토양의 산성화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부 지역 산림에서는 기온 상승과 병해충 발생 등으로 인한 수목 스트레스가 늘어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산림청(청장 정광수)이 지난 2008년부터 5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는 산림 건강과 활력도 진단·평가를 통해 드러났다. 산림청은 2008년에는 서울 인천 대전 등 7개 광역시의 산림을 조사했고 2009년부터는 5개 생태권역으로 구분된 전국 산림에서 100여개 조사구를 선정해 조사하고 있다.  산림청은 산림생태계가 유지되는 정도를 과학적으로 조사ㆍ분석해 산림보전대책에 반영하는 한편, 국민에게 산림의 건강성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5년 주기로 이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항목은 수관활력도, 잎ㆍ줄기 피해상태, 고사목, 상ㆍ하층 식생 다양성, 임상층 두께,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지의류 등 산림의 건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21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8년 7개 광역시 산림 96곳의 대표적 산림 외관 건강지표인 수관활력도(전체 수관에서 살아있는 수관의 양적 비율)는 대체로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활력도는 산림의 외관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다. 또 2009년 전국 산림을 생태권역별로 구분해 조사한 89곳의 산림도 7개 광역시 산림보다 건강성 종합평가 점수가 더 높아 대체로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양산도는 7개 광역시의 산림토양이 모두 산성이었고 대구를 제외한 6개 시는 pH 5.0 미만이었다. 산림토양이 산성화하면 토양 속 양분 저장이 안돼 토질이 척박해지고 식물의 양분 흡수를 돕는 토양 속 미생물 서식 조건을 악화시켜 수목의 생장도 어렵게 된다. 일반적으로 국내 수목 생육에 적합한 수소이온농도(pH)는 5.5 정도인데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1980년 평균 pH 5.6에서 2008년에는 평균 pH 5.0으로 산성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 조사를 주관하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성주한 박사는 "지난 2년간의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산성화 정도가 악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금년 조사과정에서 일부지역 산림은 기후변화와 신종 병해충 발생 등으로 수목의 스트레스 요인이 급증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오기표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이같은 결과에 대해 "지난 30여년간 황폐지 복구 등 치산녹화 위주 조림정책을 추진하면서 제한된 수종 위주로 양적증가에 치중했기 때문에 산림생태계의 건강성과 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면서 "산불, 산사태, 병해충 등 외부환경에 취약한 산림생태계의 균형과 안정성을 높일 생태적 산림관리를 실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뉴스광장
    2010-08-31
  • 운문골 산림생태지도’에 미기록종과 신종후보종도 담아내
    산림관련 과학서인데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든 산림생태지도가 나왔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서울대학교 등 4개 대학교와 국립공원연구원 등 4개 연구소와 공동으로 40여명의 전문가팀을 구성해 2008년에 운문골에 대한 생태계 조사를 실시하고, 3차원 입체지도, 도표, 사진, 해설 등이 담긴 ‘운문골 산림생태지도’를 펴냈다.  운문골은 자연상태의 생태계를 자랑하는 가지산(해발 1,240m)과 운문산(해발 1,188m)을 품고 있어서 영남의 알프스로 불리는 곳이다. 이곳에서 조사팀은 희귀종과 미기록종들이 다수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는데, 북한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둥근무늬이끼밤나방을 처음 발견했다. 특히 신종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신종후보종으로 보고된 잔나비거미과와 깡충거미과의 거미를 발견해 운문골이 생물다양성의 보물창고임을 확인했다.   조사팀은 이곳에서 다양한 조류를 관찰했는데 들꿩, 산솔새, 큰유리새와 멸종위기야생동물1급종인 얼룩새코미꾸리가 살고 있어서 놀라움을 던져준다. 연구결과를 담은 책에는 낙엽에 둥지를 트는 산솔새와 바위구멍에 새끼를 치는 큰유리새의 생태 등이 생생한 사진으로 담겨 있고 분포도와 둥지비교도표, 그리고 해설 등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 책에 따르면 운문골에는 버섯종류와 지의류가 다수 발견되는데, 조사된 버섯 중 71종은 경상도에서는 처음 보고된 것이다. 사람머리 만큼 크면서도 쫄깃하고 고구마 맛이 나는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이 특히 눈길을 끈다. 아울러 지의류 4종이 경상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국내 최초로 발견된 지의류 1종(Dermatocarpon luridum)도 포함되어 있다.   식생조사 결과 운문골에는 총 41목 86과 391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것을 입체지도, 단면도, 그래픽 등으로 식생구조도를 작성했다. 그동안 연구조사 결과는 딱딱한 보고서 형태를 띠었는데 이번 ‘운문사 산림생태지도’는 시각화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해서 일반인의 이해를 돕고 있다. 
    • 뉴스광장
    2010-03-25
  • “우리나라에서 처음 밝혀지는 미기록 생물 73종 발굴”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은 2009년 우리나라의 자생생물종 조사사업을 통해 73종의 한반도 미기록 생물종을 밝혀내는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한반도 생물종 조사 사업을 매년 수행해 오고 있다. 현지조사는 생물관련 다양한 전문가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연구진과 22개 전국 주요 대학의 교수 등으로 23개 팀을 구성하여 추진해오고 있으며, 2009년 주요 결과로는 한반도에서 이제까지 발견된 적이 없거나 처음으로 실체가 확인된 73종(식물 8종, 곤충 45종, 버섯 7종, 지의류 13종)의 미기록종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이번에 처음으로 발견된 8종의 식물들 중 꽃자루에 마디가 있는 애기마디풀은 충북 제천시 한수면의 충주호 주변지역에 수 만개체가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천 영종도지역에서 발견된 비누풀은 유럽원산으로 식물체에 비누성분을 가지고 있어 이와같은 이름이 붙었는데 그 동안 재배식물로만 알려졌으나 이번에 자생지 군락을 발견하였고, 노랑도깨비바늘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꽃이 노란색으로 혀처럼 길게 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큰조뱅이는 북한과 만주지역에만 자생한다고 기록되어 있었으나 남한에 분포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 서해안의 바닷가 도서지방에서 유럽원산의 처진미꾸리광이를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하였다.  곤충은 나방류와 딱정벌레류를 중심으로 45종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다. 특히 앞털뭉뚝나무좀(가칭)은 세계에서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신종이며, 가는넉점비단벌레(가칭)와 노란줄갈고리나방(가칭)은 그동안 일본과 중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수가위벌(가칭)과 어리극동가위벌(가칭), 흰점줄수염나방(가칭)은 지금까지 일본의 고유종으로 알려져 왔으나 금번조사에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버섯에서는 7종의 미기록종이 밝혀졌는데 그중에서 애주름버섯류와  콩꼬투리버섯류는 북미와 유럽에서만 보고된 종들로 우리나라 인접지역인 일본과 중국에서도 보고된 바가 없는 종들이다. 한편 지의류는 13종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미기록종들에 대해서는 국명을 확정하고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한반도에 분포하는 생물종으로 공식 인정을 받는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산림생물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이들 생물종들에 대한 분포 및 특성 연구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생물주권의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농산촌 소득원 등으로 이용가능한 산림생물종들은 대량증식과 신품종개발 등의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기관과 농가․임가 등에 보급함으로써 생물산업의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대체 산림생물종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광장
    2010-03-06

산림행정 검색결과

  • 국내 첫 지의류 정원, 국립수목원에서 만나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3월 31일부터 에서 국내 첫 지의류 정원「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을 개장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이다. 지의류는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사막화 방지 활동시 토양을 안정화하는 연구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지의류는 우리나라에 1,000여종, 전세계에 2만여종이 자생. 지의류는  한자어로 [地衣], 돌옷, 땅옷 이라는 뜻을 가지며, 돌, 나지 등 드러난 땅을 덮는 생명체임.   전 세계에서 지의류 정원이 있는 곳은 지의류 연구가 시작된 영국의 에딘버러 왕립 식물원과 국립 웨일즈 식물원이다. 핀란드 헬싱키와 호주 시드니에서도 식물원․수목원내 다양한 지의류를 이용한 지의류 정원을 조성, 운영하고 있다.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 ‘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은 국립수목원 난대온실 내에 조성되었다. 이 난대온실은 1987년에 조성되어 우리나라 온대 남부(남쪽 도서 및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난대식물이 일부 공간에 식재, 관리되어 왔다. 조성 당시 식물과 함께 유입된 지의류가 30여년의 시간 동안 함께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제주도의 곶자왈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제주도 곶자왈에서는 내륙에서는 볼 수 없는 엽상지의류인 청엽지의속을 포함하여, 69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 중 난대온실에서는 사슴지의, 가지지의 등 10종을 볼 수 있음.   국립수목원 지의류 정원은 곶자왈의 생태환경에서 볼 수 있는 지의류와 쉽게 보기 힘든‘송라’,‘석이’ 등의 지의류를 한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숲의 개척자인 지의류를 눈으로 즐기고, 알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지의류연구자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을 만들게 되어 기쁘다.”라면서, “나태주 시인의 ‘풀꽃’의 한 구절처럼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풀꽃처럼 숲을 시작한 생물, 지의류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3-04-03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 가평 유명산에서 1,038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함께 8.20.∼21. 이틀간 경기도 가평군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탐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생물탐사 활동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첫 전면 대면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로 조성된 휴양림 3곳 중 하나인 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개최되어 더 의미를 더했다.   일반인과 전문가가 함께 진행한 올해 24시간의 생물종 조사에서는 식물 347종, 곤충 498종, 조류 20종 등 총 1,038종이 발견되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휴양림임에도 생물다양성이 잘 보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사에 참여한 산림청 임상섭 차장은 “벌써 13회째를 맞이하는 바이오블리츠는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행사로서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국민이 쉽게 산림생태계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는 팬데믹에서 잠시 벗어나 온 가족이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기회”라며, “내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서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8-22
  •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을 개최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로 우리나라에 1,000여 종,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알려져 있다. 특히,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며,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알려져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지의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립수목원은 10여 년간의 연구를 수행하고 여러 편의 도감 제작과 전문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준비한 특별전은 지금까지 과학의 영역으로 접근한 미개척 생물군인 지의류를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지의류를 소재로, 지의류의 형태, 색상, 조형성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김순선* 작가의 작품 31점을 전시한다.     * 김순선 작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한 지의류 회화작품 전시. 제20회 서울 강남미술대전(2018)에서 서양화 부문 대상 수상.   본 전시회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온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 “지의류는 산림생물들이 숲에 정착하기 위한 토양과 영양분을 만들어주는 숲 생태계의 시작점”이라면서, “미지의 세계인 지의류를 만나, 알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김순선 작가님의 작품들을 통해 과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한 지의류의 아름다움을 즐겨보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지의류 특별전시회 기간에 회화작품 31점과 작품 속 지의류 표본 6점을 비교 감상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7 월 12일, 19일)과 토요일(7월 16일, 23일) 각 오후 12시, 3시, 4시(3회)에 작가의 작품해설과 지의류 작품활동 체험이 진행된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7-06
  • 한국임업진흥원,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품질관리 사업 본격 추진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4월 8일 부산 기장군을 시작으로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장조사에 대한 품질관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현재 고정표본점에 대해 전국 산림의 자원과 건강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 ~ 2020)에 비하여 ▲조사 표본점 개수 증가(4,150개소 → 4,500개소)와 더불어, ▲어린나무의 부피 산출을 위한 어린나무 높이 조사 및 ▲산림의 건강성 평가 지표로 활용할 ‘지의류’에 대한 조사가 추가 도입 되는 등 조사항목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졌다. LiDAR 장비 활용 표본점 3D 모델링화   이와 같은 개편에 맞추어 진흥원은 기존의 21개 품질관리 평가 항목을 24개로 확대하고, 기존의 조사방법에서 나아가 LiDAR 장비를 활용하여 표본점을 3D 모델링화하고, 종이야장을 대체한 전자야장을 사용하여 전국 산림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강오 원장은 “국가산림자원조사의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단계를 시스템화하여 산림기본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과학적인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2021-04-20
  • 한반도 식물연구의 귀중한 역사와 함께하다
    김무열 교수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한반도 식물 기준표본을 기증받았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김무열 교수가 소장한 것으로 한반도 특산식물인 완도호랑가시나무, 위도상사화 등을 포함한 52종 71점의 기준표본이며, 이중 정기준표본은 52점이다.  기준표본은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식물의 이름과 기재의 근거가 되는 표본으로 식물연구의 기초가 되는 표본이며, 정기준표본은 전 세계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매우 중요한 표본으로 새로운 종을 발표할 때 사용된다. 완도호랑가시나무   표본을 기증한 김무열 교수는 25년간 연구를 통해 수집하고 정리한 기준표본들을 국립수목원에 기증하며 식물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서는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다.  위도상사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식물 외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총 116만4천여점의 표본이 수집되어 있으며 국내 최대 산림생물연구의 메카이기도 하다.    국립수목원 최영태 원장은“이번에 기증받은 식물 기준표본은 우리나라 식물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국제공동연구에도 이용될 것이며, 우리  식물연구의 역사와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도상사화 정기준표본     완도호랑가시나무 정기준표본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1-02-02
  • 국립수목원, 광릉숲에 사는 생물 6,251종 목록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부터 시작된 절대 보존림 광릉숲의 산림생물상 조사 결과를 모은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2012년 발간된 “변화하는 환경과 광릉숲 생물다양성” 이후 진행된 조사 내용을 추가였으며, 전체 기록 종 수는 6,251 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종 목록에는 선태류, 지의류, 식물, 고등균류, 부착조류, 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양서류, 파충류, 어류, 조류, 및 포유류와 부착조류 등 12개 생물군으로 2014년 발견된 큰원추리, 부채괴불이끼 등이 새롭게 광릉숲 생물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광릉요강꽃   광릉숲에는 특산식물인 외대의아리, 흰괭이눈, 광릉골무꽃과 희귀식물인 광릉요강꽃, 층층둥굴레, 참작약 등이 포함된 946 분류군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곤충은 3,932 분류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릉숲 지역은 오랜 기간의 보전 관리 영향뿐만 아니라 한랭온대 및 온난온대 지역의 생물이 중첩 분포할 수 있어 높은 산림생물다양성을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생물상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해서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의 김재현 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물은 산림 이용과 인위적 교란이 심한 동북아시아의 온대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저지대 낙엽활엽수 성숙림인 광릉숲의 보전 관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과학적 성과물이며,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보전 연구, 그리고 관련된 산림행정의 개선 활동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수하늘소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1-20
  • 산림청 국립수목원, ‘비대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성공적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6일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0(Bioblitz Korea 2020)*를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국립백두대간수목원 일원)에서 개최했다. * 바이오블리츠는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행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으로 1996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생물다양성 탐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세계 최초로 쌍방향 소통형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제1회 행사가 열렸던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10년 후 생물상을 재조명하였다. 이번 행사는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비대면 생물종 탐사 이야기와 토크콘서트가 이루어졌으며, 사전 신청자(375명)에 한해 분류군별 전문가와 영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소통하였다. 또한 모든 영상은 국립수목원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진행하여 많은 참가자들이 그동안 산림생물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탐사 결과 문수산 일대에서 총 1,233종의 생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0년 전 제1회 행사에서 확인된 937종 보다 약 30% 증가한 수치였다. 특히,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호)와 같은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생물도 발견되었으며, 지의류 분야에서는 신종 후보종 3종을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향후 탐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물상 변화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최경 팀장은 “앞으로도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 및 개인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오늘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행사와 같이 고품질의 산림교육 콘텐츠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9-28
  • 국립자연휴양림을 실시간으로 보고 즐겨봐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이영록)는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정서 침체와 활력 저하에 도움이 되고자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휴양림 소속 산림복지전문가가 숲해설이나 체험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국민 누구나 국립자연휴양림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휴양림 숲해설 등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운영 기간은 9월 22일(화)부터 10월 20일(화)까지 약 한 달간이며, 매주 화·목 오전(10:30)·오후(14:00)로 나누어 총 16회 운영된다. 자세한 일정은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의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은 유튜브 검색창에서 “국립자연휴양림”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음 이영록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국민들에게 비대면 시대에 맞추어 국립자연휴양림을 보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으로 조금이나마 국민들의 몸과 마음의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실시간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집콕 휴양림 문화교육 프로그램’ 목록   지역팀 일자 시간 휴양림 프로그램명 비고 동부 9.22 (화) 10:30 청태산 물을 품은 숲 녹색댐 1회 14:00 청태산 나는 숲속의 해결사 2회 동부 9.24 (목) 10:30 대관령 씨앗아 놀자 3회 14:00 가리왕산 숲속에 숨겨진 감동의 METAPHOR을 찾아서 4회 동부 9.29 (화) 10:30 화천숲속 야영장 싸리나무 이야기 5회 14:00 용화산 녹색댐을 지켜라 6회 동부 10.6 (화) 10:30 삼봉 삼봉의 지의류의 보물창고 7회 14:00 미천골 자연생태계 순환고리 탐구 8회 동부 10.8 (목) 10:30 용대 내 꽃은 내눈에만 보여요! 9회 14:00 방태산 자연소재 벽걸이 만들기 10회 북부 10.13(화) 10:30 유명산 딱따구리 이야기 11회 14:00 유명산 가을맞이 자생식물원 12회 남부 10.15(목) 10:30 달음산 무당개미의 유혹 13회 14:00 달음산 좀비개미 14회 서부 10.20(화) 10:30 지리산 등나무 이야기 15회 14:00 지리산 지리산반달가슴곰 이야기 16회 * 휴양림 사정 및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2020-09-21

산림산업 검색결과

  • 국내 첫 지의류 정원, 국립수목원에서 만나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3월 31일부터 에서 국내 첫 지의류 정원「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을 개장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이다. 지의류는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사막화 방지 활동시 토양을 안정화하는 연구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지의류는 우리나라에 1,000여종, 전세계에 2만여종이 자생. 지의류는  한자어로 [地衣], 돌옷, 땅옷 이라는 뜻을 가지며, 돌, 나지 등 드러난 땅을 덮는 생명체임.   전 세계에서 지의류 정원이 있는 곳은 지의류 연구가 시작된 영국의 에딘버러 왕립 식물원과 국립 웨일즈 식물원이다. 핀란드 헬싱키와 호주 시드니에서도 식물원․수목원내 다양한 지의류를 이용한 지의류 정원을 조성, 운영하고 있다.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 ‘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은 국립수목원 난대온실 내에 조성되었다. 이 난대온실은 1987년에 조성되어 우리나라 온대 남부(남쪽 도서 및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난대식물이 일부 공간에 식재, 관리되어 왔다. 조성 당시 식물과 함께 유입된 지의류가 30여년의 시간 동안 함께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제주도의 곶자왈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제주도 곶자왈에서는 내륙에서는 볼 수 없는 엽상지의류인 청엽지의속을 포함하여, 69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 중 난대온실에서는 사슴지의, 가지지의 등 10종을 볼 수 있음.   국립수목원 지의류 정원은 곶자왈의 생태환경에서 볼 수 있는 지의류와 쉽게 보기 힘든‘송라’,‘석이’ 등의 지의류를 한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숲의 개척자인 지의류를 눈으로 즐기고, 알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지의류연구자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을 만들게 되어 기쁘다.”라면서, “나태주 시인의 ‘풀꽃’의 한 구절처럼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풀꽃처럼 숲을 시작한 생물, 지의류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3-04-03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 가평 유명산에서 1,038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함께 8.20.∼21. 이틀간 경기도 가평군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탐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생물탐사 활동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첫 전면 대면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로 조성된 휴양림 3곳 중 하나인 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개최되어 더 의미를 더했다.   일반인과 전문가가 함께 진행한 올해 24시간의 생물종 조사에서는 식물 347종, 곤충 498종, 조류 20종 등 총 1,038종이 발견되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휴양림임에도 생물다양성이 잘 보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사에 참여한 산림청 임상섭 차장은 “벌써 13회째를 맞이하는 바이오블리츠는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행사로서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국민이 쉽게 산림생태계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는 팬데믹에서 잠시 벗어나 온 가족이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기회”라며, “내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서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8-22
  •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을 개최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로 우리나라에 1,000여 종,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알려져 있다. 특히,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며,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알려져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지의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립수목원은 10여 년간의 연구를 수행하고 여러 편의 도감 제작과 전문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준비한 특별전은 지금까지 과학의 영역으로 접근한 미개척 생물군인 지의류를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지의류를 소재로, 지의류의 형태, 색상, 조형성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김순선* 작가의 작품 31점을 전시한다.     * 김순선 작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한 지의류 회화작품 전시. 제20회 서울 강남미술대전(2018)에서 서양화 부문 대상 수상.   본 전시회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온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 “지의류는 산림생물들이 숲에 정착하기 위한 토양과 영양분을 만들어주는 숲 생태계의 시작점”이라면서, “미지의 세계인 지의류를 만나, 알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김순선 작가님의 작품들을 통해 과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한 지의류의 아름다움을 즐겨보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지의류 특별전시회 기간에 회화작품 31점과 작품 속 지의류 표본 6점을 비교 감상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7 월 12일, 19일)과 토요일(7월 16일, 23일) 각 오후 12시, 3시, 4시(3회)에 작가의 작품해설과 지의류 작품활동 체험이 진행된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7-06
  • 한국임업진흥원,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품질관리 사업 본격 추진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4월 8일 부산 기장군을 시작으로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장조사에 대한 품질관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현재 고정표본점에 대해 전국 산림의 자원과 건강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 ~ 2020)에 비하여 ▲조사 표본점 개수 증가(4,150개소 → 4,500개소)와 더불어, ▲어린나무의 부피 산출을 위한 어린나무 높이 조사 및 ▲산림의 건강성 평가 지표로 활용할 ‘지의류’에 대한 조사가 추가 도입 되는 등 조사항목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졌다. LiDAR 장비 활용 표본점 3D 모델링화   이와 같은 개편에 맞추어 진흥원은 기존의 21개 품질관리 평가 항목을 24개로 확대하고, 기존의 조사방법에서 나아가 LiDAR 장비를 활용하여 표본점을 3D 모델링화하고, 종이야장을 대체한 전자야장을 사용하여 전국 산림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강오 원장은 “국가산림자원조사의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단계를 시스템화하여 산림기본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과학적인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2021-04-20
  • 한반도 식물연구의 귀중한 역사와 함께하다
    김무열 교수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한반도 식물 기준표본을 기증받았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김무열 교수가 소장한 것으로 한반도 특산식물인 완도호랑가시나무, 위도상사화 등을 포함한 52종 71점의 기준표본이며, 이중 정기준표본은 52점이다.  기준표본은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식물의 이름과 기재의 근거가 되는 표본으로 식물연구의 기초가 되는 표본이며, 정기준표본은 전 세계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매우 중요한 표본으로 새로운 종을 발표할 때 사용된다. 완도호랑가시나무   표본을 기증한 김무열 교수는 25년간 연구를 통해 수집하고 정리한 기준표본들을 국립수목원에 기증하며 식물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서는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다.  위도상사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식물 외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총 116만4천여점의 표본이 수집되어 있으며 국내 최대 산림생물연구의 메카이기도 하다.    국립수목원 최영태 원장은“이번에 기증받은 식물 기준표본은 우리나라 식물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국제공동연구에도 이용될 것이며, 우리  식물연구의 역사와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도상사화 정기준표본     완도호랑가시나무 정기준표본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1-02-02
  • 국립수목원, 광릉숲에 사는 생물 6,251종 목록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부터 시작된 절대 보존림 광릉숲의 산림생물상 조사 결과를 모은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2012년 발간된 “변화하는 환경과 광릉숲 생물다양성” 이후 진행된 조사 내용을 추가였으며, 전체 기록 종 수는 6,251 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종 목록에는 선태류, 지의류, 식물, 고등균류, 부착조류, 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양서류, 파충류, 어류, 조류, 및 포유류와 부착조류 등 12개 생물군으로 2014년 발견된 큰원추리, 부채괴불이끼 등이 새롭게 광릉숲 생물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광릉요강꽃   광릉숲에는 특산식물인 외대의아리, 흰괭이눈, 광릉골무꽃과 희귀식물인 광릉요강꽃, 층층둥굴레, 참작약 등이 포함된 946 분류군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곤충은 3,932 분류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릉숲 지역은 오랜 기간의 보전 관리 영향뿐만 아니라 한랭온대 및 온난온대 지역의 생물이 중첩 분포할 수 있어 높은 산림생물다양성을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생물상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해서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의 김재현 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물은 산림 이용과 인위적 교란이 심한 동북아시아의 온대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저지대 낙엽활엽수 성숙림인 광릉숲의 보전 관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과학적 성과물이며,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보전 연구, 그리고 관련된 산림행정의 개선 활동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수하늘소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1-20
  • 산림청 국립수목원, ‘비대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성공적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6일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0(Bioblitz Korea 2020)*를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국립백두대간수목원 일원)에서 개최했다. * 바이오블리츠는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행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으로 1996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생물다양성 탐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세계 최초로 쌍방향 소통형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제1회 행사가 열렸던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10년 후 생물상을 재조명하였다. 이번 행사는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비대면 생물종 탐사 이야기와 토크콘서트가 이루어졌으며, 사전 신청자(375명)에 한해 분류군별 전문가와 영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소통하였다. 또한 모든 영상은 국립수목원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진행하여 많은 참가자들이 그동안 산림생물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탐사 결과 문수산 일대에서 총 1,233종의 생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0년 전 제1회 행사에서 확인된 937종 보다 약 30% 증가한 수치였다. 특히,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호)와 같은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생물도 발견되었으며, 지의류 분야에서는 신종 후보종 3종을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향후 탐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물상 변화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최경 팀장은 “앞으로도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 및 개인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오늘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행사와 같이 고품질의 산림교육 콘텐츠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9-28
  • 국립수목원 생물이야기 ‘알쓸국생’ 유튜브로 본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알아두면 쓸모있는 국립수목원 생물이야기 : 알쓸국생”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na99524)을 개설하고, “미선나무를 아시나요?”, “지의류를 아시나요?” 등 총 11편의 영상을 선보였다.  국립수목원은 연구 결과를 간행물 형태로 발간하여 정보를 공유하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좀 더 많은 분들이 재미있게 보고, 듣고, 공감할 수 있도록 영상 콘텐츠를 자체 제작하였다. 알쓸국생은 국가대표 산림생물종연구기관인 국립수목원 연구진이 직접 출연하여,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종 관련 연구와 전시원의 생생한 이야기로 구독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다양한 생물종에 대한 정보전달과 함께 출연하는 연구원들의 ‘진짜’연구 과정 속 이야기로 진행되며, 이외에도 웹진을 들려주는 ‘들국화(話)’, ‘수목특식: 수요일 목요일엔 특산식물이야기’등 새로운 영상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온라인 소통 강화를 위한 유튜브 구독 이벤트를 시행한다. “알쓸국생”구독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영상 중간 “마루(장수하늘소 대표 캐릭터)”의 스크린샷을 찍어 페이스북 댓글로 달면 된다.  매달 추첨을 통해 30명에게 모바일 음료 교환권을 제공할 계획이며, 자세한 참여 방법 국립수목원 페이스북(www.facebook.com/kna99052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알쓸국생을 통해 국립수목원의 연구성과를 재미있게 즐기시길 바라며, 이와 함께 산림생물종 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2-13
  • 국립수목원, 분류학 연구 문헌자료를 공유한다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생물표본관 내에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오픈하고 사전 이용신청자에 한해 개방한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 최초의 생물전문 표본관으로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 생물 2만 여종, 110만 여점의 연구용 표본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개원 후 20년간 산림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창복 전 서울대교수, 이우철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박규택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백종철 전 순천대학교 교수 등 원로 학자로부터 많은 분류학 관련 문헌을 기증받았다.   국립수목원은 공공자료 개방 정부혁신 기조에 맞춰 그동안 일반 공개하지 않았던 산림생물표본관을 리모델링하여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구축하였으며, 분류학 관련 연구자, 학생 또는 분류학을 공부하고 싶어 하는 신청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또한, 표본관 1층 로비에는 생물표본의 의미와 표본 제작도구, 방법 등을 설명하는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여 방문객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에서 이용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담당자에게 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국립수목원 오승환 산림생물다양성과장은 “국립수목원이 그동안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 왔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와 문헌 자료들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분류학과 관련된 분야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7-25
  • 국립수목원, 한국일보, 2019년 7월 9일자 보도에 대하여 해명
    국립수목원은 한국일보 7월 9일자 <“광릉숲 인근 소각장에 왜 침묵하나” 국립수목원으로 향하는 주민 비판> 보도에 대해 해명하였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보전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예측 분석을 통해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며 소각장 건립과 관련하여 각 생물군별로 미치는 영향 예측을 위한 TF를 구성하였으며, 관련 논문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보도내용>  □ 광릉숲 인근의 쓰레기 소각장 건립 추진과 관련하여, 광릉숲의 동식물 연구와 보전 책무를 지닌 국립수목원이 반대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하고 있음     <산림청 국립수목원 입장>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인근의 쓰레기 소각장 및 가구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광릉숲에 주는 피해 방지 및 예방을 위해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 협의대상인 완충지역에 해당되지 않아 법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근거는 없습니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생물상 보전을 위하여 소각장 관련 주민설명회 참석 후 이를 대응하기 위해 법률적 검토, 학술적 검토, 의정부시 장암동 소각장 방문 등 적극적 대응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대표, 도의원, 국회의원의 요구 자료에 성실히 답하였습니다.  또한, 국립수목원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생물군별로 미치는 영향 예측을 위한 TF를 구성하였으며, 관련 논문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입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7-11
  • 국립수목원, 표본의 새로운 가치를 더하다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개원 20주년을 기념하여, 27일 산림생물표본관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산림생물표본의 관리와 이용(Expanding the Value of Natural Science Collections”이다.   미국 LA 자연사박물관의 엘리자베스 엘우드(Elizabeth R. ELLWOOD)박사의 “산림생물표본을 대상으로 한 자연과학연구의 향상과 연구자들 간의 연결을 위한 생물표본의 디지털화”라는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교 프릭 베커(Freek T. BAKKER )교수의 “식물표본 유전체학: 연구를 위한 식물체 기록의 DNA 확보”, 영국 자연사박물관 데이빗 리스(David C. LEES) 박사의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나비목 표본수집: 분류학과 침입 외래종 역사의 재조명” 등 5가지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 최초의 산림생물전문 표본관으로,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 생물 2만 여종, 110만 여점의 연구용 표본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2014년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 발표 전후인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신종(新種, new species) 169종, 미기록종(未記錄種, newly recorded species) 329종을 발굴하고 관련학계에 보고하였으며, 기준표본은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의 기본정보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 볼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국립수목원은 한반도 산림생물자원의 현황과 중요성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이용한 생물자원 연구, 활용 가능성과 부가 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 표본관들의 운영관리 선진화와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6-25
  • 절대보존림 광릉숲, 멸종위기 작은관코박쥐, 천연기념물 올빼미 등 생물다양성 천국
    작은관코박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5월 25일-26일 이틀 간 경기도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BioBlitz Korea 2019」 ‘생물다양성을 품은 광릉숲의 생물이야기를 들어보자!’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서 24시간 동안 국립수목원 광릉숲 생물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424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은 총 612종이 조사되었으며, 최근 화성에서 발견되어 보고된 민은난초가 광릉숲에도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곤충은 전세계에서 광릉숲에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10년 만에 발견되어 최근 보고된 광릉왕맵시방아벌레를 포함하여 427종이 발견되었다. 버섯으로는 약용으로 널리 알려진 차가버섯과, 검은비늘버섯, 새잣버섯 등 총 54종과 나무 수피나 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촛농지의 등 지의류 47종을 발견하였다. 어류는 참갈겨니, 긴몰개 등 한국특산종 5종을 포함하여 전체 14종을 확인하였으며, 배스, 불루길 등의 외래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로는 전통적인 주거형태가 현대화 되면서 사라진 구렁이와, 산림과 자연성이 우수한 곳에서 서식하는 대륙유혈목이 발견되었다. 조류로는 천연기념물 까막딱다구리, 올빼미, 팔색조, 소쩍새, 솔부엉이, 원앙 6종을 포함하여 총 55종을 발견하였다. 조류조사 결과 같은 기간에 조사한 다른 산지에 비해 약 15종 이상 많이 출현한 것으로 광릉숲의 풍부한 종다양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다. 박쥐는 멸종위기 Ⅰ급 작은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관박쥐가 확인되었다. 포유류로는 멸종위기 Ⅱ급 담비와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 삵, 오소리와 멧돼지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인 등각류 중 개미와 공생하는 개미부치쥐며느리는 제주도, 창원 비음산에 이어 국내에서 3번째로 확인되었고, 원생동물 22종, 규조류 25종이 발견되었다. 특히, 작은관코박쥐는 국내에서 2012년 첫 관찰된 이후, 지리산, 소백산, 오대산, 점봉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광릉숲 성숙림에서 발견되었다. 광릉숲은 산림성박쥐가 잠자리로 이용하는 고목의 수동이나 수피 틈, 나뭇잎이 풍부하여 잠재적 잠자리를 충분히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운영 10년째가 되는 올해는, 국립수목원 개원20주년을 맞아 세계가 인정한 생물다양성의 보고 광릉숲에서 개최하게 된 것이 매우 의미 깊고”  또한,  “내년에는 제1회 개최지였던, 경북 봉화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지난 10년간의 생물다양성 변화를 탐사할 예정으로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5-27
  •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나자!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오는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 간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에 있는 만인산푸른학습원에서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나자!「BioBlitz Korea 2018」’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인 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생물분야 전문가들과 아마추어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동안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참여형 과학 활동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는 2010년 경상북도 봉화를 시작으로 경기도(가평), 강원도(대관령, 청태산, 양구군 DMZ펀치볼둘레길), 서울시(서울숲), 울산시(태화강대공원), 전라북도(고창 선운산생태숲)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2017년 선운산생태숲에서 개최 시 24시간 만에 신종으로 추정되는 식물과, 곤충, 지의류 등 총 836종을 발견하였으며 천연기념물(제204호)로 보호받고 있는 여름철새인‘팔색조’와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삵’이 서식하는 흔적을 발견했다. 이번「BioBlitz Korea 2018」행사는 산림청과 대전광역시청이 공동 주최하며,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가 대표로 주관하고, 동아사이언스, 한겨레신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내셔널지오그래픽이 행사를 후원한다. 참가자 신청은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홈페이지(www.bioblitz.or.kr)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02-575-6443)로 문의 가능하다. 주요 행사는 생물학자들과 함께하는 워크(Walk) 프로그램, 토크(Talk) 프로그램과 생물다양성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참여 가능한「생물다양성 한마당」을 전문가와 함께 운영한다. 참가자들에게는 공식 티셔츠를 비롯하여 에코백 등 탐사활동에 필요한 기념품이 제공된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생물전문가와 온가족이 함께 생물다양성의 여행을 함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히며,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아빠, 어린이 등 온 가족이 함께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 많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4-20
  • 국립수목원, 국내 최초로 석조문화재에 발생하는 지의류상 조사 시작해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5년(’17~’21) 간 석조문화재에 발생, 서식하는 지의류상을 조사하는 중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밝혔다.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이, 송라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문화재 보존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하면, 지의류는 암석에 서식하는 곰팡이로 재질을 전반적으로 약화시켜 박리(剝離, 벗겨짐 현상)와 박락(剝落, 긁힘 또는 깎임 현상), 마모(磨耗, 닳아 없어짐 현상), 크랙(Crack, 갈라짐 현상) 등을 생기게 하므로 석조물 보존처리를 하고 있으나 처리 이후에 오히려 지의류의 기생주기가 더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어 보존처리 전문가들 사이에 보존처리 방법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그동안 석조문화재 보존에 있어 지의류에 대한 전문 자료가 부족하여 관리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의류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매년 각 도별로 지정되어 있는 석조문화재를 선정하여 지의류상을 조사하여 지의류 가이드북 발간, 배포 등을 통해 그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2017년 첫 조사지는 경상도 지역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의 국각지정 사적 제444호 성주 세종대왕왕자태실과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내의 국보 제290호 금강계단, 보물 제471호 봉발탑, 보물 제1471호 삼층석탑에 발생하는 지의류에 대한 조사하였으며, 올 해 2018년에는 경기도 지역이 조사 대상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석조문화재에 발생하는 지의류상에 대한 조사가 우리나라에서 대대적으로 처음 이루어지는 만큼 연구원들의 노고가 많을 것이나, 그 활용도가 높은 생물조사인 만큼 문화재보존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2-22
  • 광릉숲 지키는 국립수목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보전 워크숍 열어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지난 1월 30일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에서 생물권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관계자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는 국립생태원을 비롯한 생물다양성 평가 전문가들과 생물권보전지역 관계자 약 40명이 참가하였고, 다양한 전문가 강의와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번 워크숍은 전문가들과 관리자들이 생물권보전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조사를 비롯하여 미래 보전 방향을 고민하기 위해 모인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자리가 되었다. 국립생태원을 비롯한 식물, 곤충, 지의류, 양서파충류, 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전문가, 그리고 경기도 및 신안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자들이 자리를 함께 하였다. 워크숍은 생물다양성 현황을 비롯하여 광릉숲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물권보전지역의 장기 변화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찰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강의와 참석자들의 질문 및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이 워크샵의 중심 사례 지역으로서 지속적인 대기 오염과 산성비로 인한 토양 산성화, 그리고 높은 개발 압력의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광릉숲의 식물다양성 변화 추세를 비롯하여, 서울과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토양 산성화, 지역 개발에 의한 식생 변화에 대한 내용들도 공유되었다. 참석자들은 국내 생물권보전지역의 운영에 있어, 지역 사회와 생물다양성의 연계성이 부족함에 공감하고 그러한 지역 시민이 참여하는 광릉숲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희귀 식물인 ‘광릉요강꽃’과 한국 특산 어류 ‘참갈겨니’의 복원을 비롯한 다양한 보전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변화 모니터링 체계와 함께 추진할 수 있는 협력지역(구 전이지역)의 산림 관리 방향, 그리고 DMZ와 같은 국가 핵심 생태축과의 연결성 확대와 같은 장기적이고 거시적 보전 전략들 역시 공유되었다. 이번 워크샵을 주관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장 이철호 박사는 “국내에서 가장 밀도 높은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변화 모니터링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 ‘광릉숲’이다”라고 하며, “국립수목원에서는 국내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관리,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성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1-31
  • 부전투구꽃 등 북한 식물의 남한 자생지 최초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남한에서 자생지가 보고되지 않았던 북한 식물인 부전투구꽃, 개마투구꽃, 물뱀고사리 3종의 남한 자생지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전투구꽃(Aconitum puchonroenicum Uyeki & Sakata)과 개마투구꽃(Aconitum kaimaense Uyeki et Sakata)은 1930년대 함경남도 신흥군 부전령, 장진군과 강원도 금강산 비로봉 등에서 채집된 표본을 기준으로 1938년 한반도에서 최초로 기록된 식물이며, 물뱀고사리(Athyrium fallaciosum Milde)는 그 동안 중국과 북한의 함경북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3종에 대한 남한 자생지 발견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 소장 표본 연구 과정에서 나온 결과이다. 식물 표본으로 실체를 확인한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강원도 정선, 태백, 평창, 홍천 일대를 조사하여 남한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북한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들은 남북 단절로 인하여 정확한 실체와 생육정보 확인에 한계가 있어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번에 북한 자생식물의 남한 자생지 확인은 한반도의 자생식물에 대한 이해를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 포천 소재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03년에 국립표본관으로서 ‘산림생물표본관’을 개관하여 한반도를 비롯한 인접 국가들의 식물, 곤충, 버섯 및 지의류 표본 약 100만점을 소장하고 있다. 관속식물의 경우 한반도 자생식물 4,172종 중 92%에 해당하는 표본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1999년 개원 이후부터 한반도 식물에 대한 정확하고 영구적인 기록을 위하여 전국 식물상을 직접 조사하여 증거 자료로서의 식물 표본을 제작하고 국내외 흩어져 있는 한반도 표본과 식물상 자료들을 모아 연구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 3종의 식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자생지에 대한 추가 조사 및 현지 생육지 특성 분석, 분류적으로 유사한 종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이 식물들을 보전 가치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북한 식물의 남한 자생지 발견은 산림과 생태계 훼손이 심각한 북한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북한 산림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한반도 자생식물의 분류학적 규명과 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8-25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7」, 고창 선운산에서 836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청, 고창군과 함께 5. 27.∼28. 이틀 간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있는 선운산 생태숲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7」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란?     -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인「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생물분야 권위자들과 아마추어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 한국에서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되어, 경기도 가평, 강원도 대관령, 강원도 청태산, 서울시 서울숲, 울산시 태화강대공원, 양구군 DMZ둘레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올해로 8회째를 맞는다. 선운산 생태숲이 있는 고창군은 2013년도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된 곳으로서, 자연생태환경이 잘 보전되고 있는 곳이다.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은 고인돌 세계문화유산을 포함하여 운곡 람사르습지, 고창 갯벌 람사르습지, 동림 저수지 야생동식물보호구역 등이 있어 철새와 저서생물의 천국으로 불리고 있다.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서 24시간 동안 생물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836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은 습지에서만 사는 희귀식물인 ‘끈끈이주걱’과 ‘큰방울새란’이 발견되었으며 총 319종을 발견하였다. 곤충은 국내 미기록 파리과 ‘Keroplatidae(케로플라티데)’를 포함하여 269종이 발견되었다. 이번에 발견한 미기록 파리과에 대해서는 국립수목원에서 본격적인 분류 연구를 거쳐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어류로는 1급수 어종인 ‘갈겨니’와 ‘긴몰개’를 발견하였다. 버섯으로는 식재료로 많이 쓰이는 ‘목이버섯’이 다량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의류로는 주로 벚나무 수피에 많이 서식하는 ‘매화지의’를 발견하였다. 양서파충류로는 수온이 낮고 깨끗한 물에만 서식하는 ‘도룡뇽’을 발견하였으며, 멸종위기종인 ‘황구렁이’도 허물을 벗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조류로는 종과 번식지 모두 천연기념물(제204호)로 보호받고 있는 여름철새인 ‘팔색조’를 발견하였으며, 포유류로는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 ‘삵’이 약 3마리 정도 서식하는 것으로 그 흔적을 발견하였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가 열린 선운산 생태숲은 도심에서도 가까우면서도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고 동백나무 숲 등 천연기념물과 선운사의 문화재까지 포함하고 있는 곳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었으며, 특히 미기록 파리과를 발견한 것이 분류학적으로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전국을 돌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를 운영한지 처음으로 호남 지역에서 개최하게 되어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내년에는 대전 지역에서 개최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5-30
  • 산림청 국립수목원, 국내 최초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 개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22일부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을 통해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를 개시한다.    *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이, 송라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10여 년 간 국내에서는 미개척 분야인 ‘지의류’를 대상으로 연구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얻은 문헌자료와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979종에 달하는 국내 지의류 목록을 작성했다. 생물다양성협약으로 생물자원에 대한 배타적 국가주권이 인정됨에 따라 국제적으로 자국 생물종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추세에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의 온라인 서비스는 생물종에 대한 국가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누리집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엑셀 파일 형태로 제공되며 국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는 국내 분포 지의류 979종의 정확한 국명, 학명, 명명자 등의 표준화된 이름과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지의류 증거표본 정보, 지의류 전자도감 등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을 작성하고 공개하는 것은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하며,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의 온라인 서비스와 대국민 개방을 통해 관련 학계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나고야의정서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은 생물자원의 처음 유래지와 상호 합의된 계약에 따라 공유해야한다는 내용의 국제 협약이다. 자국의 생물자원목록에 없는 종을 함부로 활용할 수 없으며, 활용하려면 그 이익을 분배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자국의 생물종목록의 파악은 생물주권 주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2-24
  • 산림청 국립수목원, 희귀 지의류 ‘송라’, 한라산 분포 최초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의 연구팀이 지난달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에서 희귀 지의류인 ‘송라’를 최초로 발견하였다. ‘송라’는 우리나라에서는 3종만 발견된 희귀한 지의류이다.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지리산과 오대산에 주로 서식한다.   ‘송라’는 고가의 한약재로 소나무겨우살이, 송라버섯 등의 이름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인 지의류이다.   안개가 많이 끼는 절벽이나 나무(침엽수, 진달래 등)에 착생하며 가느다란 실가닥 모양으로 자란다.   ‘송라’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30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문헌에는 13종이 보고 되어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채집을 통해 실체를 확인한 것은 3종*에 불과하다.     * 송라(Usnea diffracta), 붉은수염송라(Usnea rubrotincta), 솔송라(Usnea hakonensis) 이번에 발견된 지의류의 학명은 Usnea diffracta Vain.로 정식 국명은 ‘송라’이다.   2001년 제주도 천아오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15년 만에 다시 발견된 것이며, 한라산에서 생육하는 것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은 제주세계유산센터 한라산연구부와 협업으로 지난 4월부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버섯상과 지의류상을 연구하고 있다. 2019년까지 총 4년간 연구를 함께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희귀지의류인 ‘송라’가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는 것은 한라산이 세계유산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생물다양성의 보고임이 확인된 것이다.”라고 감회를 표하며, “앞으로도 국립수목원과 제주세계유산센터 한라산연구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산림생물자원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6-08-17
  • 산림청 국립수목원, 24시간 만에 신종ㆍ미기록종 발견! 2016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청, 양구군과 함께 6. 25.∼26. 이틀 간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DMZ 펀치볼*둘레길 등에서 「BioBlitz* Korea 2016」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란?      -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인 「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생물분야 권위자들과 아마추어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 한국에서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되어, 경기도 가평, 강원도 대관령, 강원도 청태산, 서울시 서울숲, 울산시 태화강대공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올해로 7회째를 맞는다.     * 펀치볼(Punch Bowl)이란?      - 해안면 일원을 상징하는 펀치볼은 6.25 전쟁을 취재하던 외국인 종군가지가 해안 분지의 아름다운 풍경과 형상이 화채그릇(Punch Bowl)처럼 생겼다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 양구군 해안면은 분지 하나가 1개 면을 이루는 지역으로 지금까지 전행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는 우리나라 생물의 보고(寶庫)로 알려져 있는 DMZ(비무장지대)* 지역에 대한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서 열렸다. 특히 올해는 바이오블리츠의 원조 격인 ‘미국 내셔널 지오그래픽’ 소속의 ‘내셔널 바이오블리츠’ 국장이 직접 참가하여 한국과 미국의 공동 개최를 논의하였다.     * DMZ란?      -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비무장지대, 즉 군사 시설이나 인원을 배치해 놓지 않은 지대를 뜻하는 말. 주로 한반도 비무장 지대를 일컫는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 남북의 경계인 군사분계선(MDL)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km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강원도 양구군 태안면 일대 DMZ 접경지역에서 24시간 동안 생물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541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은 신종으로 추정되는 ‘야생자두류’를 비롯하여 482종을 발견하였으며, 곤충은 한국 미기록종 ‘무당벌레붙이류’와 ‘꼬마꽃벌류’를 두 종을 포함하여 822종이 발견되었다. 신종과 미기록종에 대해서는 국립수목원에서 본격적인 분류 연구를 거쳐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저서무척추동물로는 맑고 차고 깨끗한 곳에서 사는 1급수 지표생물인 ‘민강도래’와, 어류로는 산 상류 계곡의 차가운 물에서 사는 ‘버들치’를 발견하였다.   버섯으로는 매우 희귀한 ‘분홍애주름버섯’, 지의류로는 우리나라에 1종 밖에 없는 ‘촛농지의’를 발견하였다.   양서파충류로는 양구 지역 우점종인 ‘무당개구리’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뱀인 ‘유혈목이(꽃뱀)’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조류로는 국내에서는 흔치 않은 여름철새인 ‘칡때까치’를 발견하였으며, 포유류로는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 ‘삵’과 천연기념물 제217호인 ‘산양’도 발견하였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는 발견된 종수도 예년에 비해 많았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 자연환경에서 볼 수 있는 희귀종을 찾아낸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신종으로 추정되는 식물 1종과 미기록종 곤충 2종을 발견한 것이 분류학적으로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가 6‧25 전쟁일을 맞아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온대지역에서 인위적인 간섭이 최소화 된 채로 60년 이상을 유지해 온 248km의 생태벨트 DMZ 일대에서 개최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라고 하며, “특히 신종, 미기록종까지 발견하여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감회를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6-06-27

산림복지 검색결과

  • 국립자연휴양림을 실시간으로 보고 즐겨봐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이영록)는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정서 침체와 활력 저하에 도움이 되고자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휴양림 소속 산림복지전문가가 숲해설이나 체험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국민 누구나 국립자연휴양림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휴양림 숲해설 등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운영 기간은 9월 22일(화)부터 10월 20일(화)까지 약 한 달간이며, 매주 화·목 오전(10:30)·오후(14:00)로 나누어 총 16회 운영된다. 자세한 일정은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의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은 유튜브 검색창에서 “국립자연휴양림”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음 이영록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국민들에게 비대면 시대에 맞추어 국립자연휴양림을 보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으로 조금이나마 국민들의 몸과 마음의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실시간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집콕 휴양림 문화교육 프로그램’ 목록   지역팀 일자 시간 휴양림 프로그램명 비고 동부 9.22 (화) 10:30 청태산 물을 품은 숲 녹색댐 1회 14:00 청태산 나는 숲속의 해결사 2회 동부 9.24 (목) 10:30 대관령 씨앗아 놀자 3회 14:00 가리왕산 숲속에 숨겨진 감동의 METAPHOR을 찾아서 4회 동부 9.29 (화) 10:30 화천숲속 야영장 싸리나무 이야기 5회 14:00 용화산 녹색댐을 지켜라 6회 동부 10.6 (화) 10:30 삼봉 삼봉의 지의류의 보물창고 7회 14:00 미천골 자연생태계 순환고리 탐구 8회 동부 10.8 (목) 10:30 용대 내 꽃은 내눈에만 보여요! 9회 14:00 방태산 자연소재 벽걸이 만들기 10회 북부 10.13(화) 10:30 유명산 딱따구리 이야기 11회 14:00 유명산 가을맞이 자생식물원 12회 남부 10.15(목) 10:30 달음산 무당개미의 유혹 13회 14:00 달음산 좀비개미 14회 서부 10.20(화) 10:30 지리산 등나무 이야기 15회 14:00 지리산 지리산반달가슴곰 이야기 16회 * 휴양림 사정 및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2020-09-21

산림환경 검색결과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열대성 지의류 신안 가거도 분포 최초 확인
    <사진> Stigula multiformis   <사진> Strigula depressa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류태철)이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팀과 국내 섬 지역에 분포하는 미생물 다양성 연구를 통해 가거도에서 열대․아열대 기후에 서식하는 엽권지의류(Foliicolous lichen) 2종의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바위 표면이나 수목의 수피에서 생장하는 일반적인 지의류와는 달리, 엽권지의류는 수목의 잎에 착생하여 살아가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며 주로 열대지역의 상록활엽수에서 발견된다.   지난 10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신안 가거도에서 발견한 엽권지의류 청엽지의속(Strigula)은 국내에서 2009년 제주도에서 2종(S. nemathora, S. smaragdula)이 최초 보고된 이래 2013년에 4종(S. concreta, S. macrocarpa, S. melanobapha, S. subelegans), 2020년에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이 제주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가 보고되었다.    이번에 발견한 청엽지의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은 2018년 제주도에서 발견되어 2020년에 최초 보고된 신종과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엽지의가 제주도 이외의 섬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열대성 엽권지의류 국내 분포 범위의 점진적 북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추적을 위해 남해안형 기후구에 속하는 섬 지역의 생물상 변화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김창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도서생물자원연구실장은 “섬 지역 생물상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며, “향후 기후변화에 민감한 섬 지역 미생물의 변화를 추적하고 기후변화지표종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산림환경
    • 산림보호
    2023-11-23

포토뉴스 검색결과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열대성 지의류 신안 가거도 분포 최초 확인
    <사진> Stigula multiformis   <사진> Strigula depressa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류태철)이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팀과 국내 섬 지역에 분포하는 미생물 다양성 연구를 통해 가거도에서 열대․아열대 기후에 서식하는 엽권지의류(Foliicolous lichen) 2종의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바위 표면이나 수목의 수피에서 생장하는 일반적인 지의류와는 달리, 엽권지의류는 수목의 잎에 착생하여 살아가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며 주로 열대지역의 상록활엽수에서 발견된다.   지난 10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신안 가거도에서 발견한 엽권지의류 청엽지의속(Strigula)은 국내에서 2009년 제주도에서 2종(S. nemathora, S. smaragdula)이 최초 보고된 이래 2013년에 4종(S. concreta, S. macrocarpa, S. melanobapha, S. subelegans), 2020년에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이 제주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가 보고되었다.    이번에 발견한 청엽지의 2종(S. depressa, S. multiformis)은 2018년 제주도에서 발견되어 2020년에 최초 보고된 신종과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엽지의가 제주도 이외의 섬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열대성 엽권지의류 국내 분포 범위의 점진적 북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추적을 위해 남해안형 기후구에 속하는 섬 지역의 생물상 변화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김창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도서생물자원연구실장은 “섬 지역 생물상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며, “향후 기후변화에 민감한 섬 지역 미생물의 변화를 추적하고 기후변화지표종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산림환경
    • 산림보호
    2023-11-23
  • 국내 첫 지의류 정원, 국립수목원에서 만나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3월 31일부터 에서 국내 첫 지의류 정원「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을 개장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이다. 지의류는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사막화 방지 활동시 토양을 안정화하는 연구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지의류는 우리나라에 1,000여종, 전세계에 2만여종이 자생. 지의류는  한자어로 [地衣], 돌옷, 땅옷 이라는 뜻을 가지며, 돌, 나지 등 드러난 땅을 덮는 생명체임.   전 세계에서 지의류 정원이 있는 곳은 지의류 연구가 시작된 영국의 에딘버러 왕립 식물원과 국립 웨일즈 식물원이다. 핀란드 헬싱키와 호주 시드니에서도 식물원․수목원내 다양한 지의류를 이용한 지의류 정원을 조성, 운영하고 있다.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 ‘숲의 옷, 지의류 정원(Lichen Garden)’은 국립수목원 난대온실 내에 조성되었다. 이 난대온실은 1987년에 조성되어 우리나라 온대 남부(남쪽 도서 및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난대식물이 일부 공간에 식재, 관리되어 왔다. 조성 당시 식물과 함께 유입된 지의류가 30여년의 시간 동안 함께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제주도의 곶자왈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제주도 곶자왈에서는 내륙에서는 볼 수 없는 엽상지의류인 청엽지의속을 포함하여, 69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 중 난대온실에서는 사슴지의, 가지지의 등 10종을 볼 수 있음.   국립수목원 지의류 정원은 곶자왈의 생태환경에서 볼 수 있는 지의류와 쉽게 보기 힘든‘송라’,‘석이’ 등의 지의류를 한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숲의 개척자인 지의류를 눈으로 즐기고, 알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지의류연구자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최초 지의류 정원을 만들게 되어 기쁘다.”라면서, “나태주 시인의 ‘풀꽃’의 한 구절처럼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풀꽃처럼 숲을 시작한 생물, 지의류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3-04-03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 가평 유명산에서 1,038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함께 8.20.∼21. 이틀간 경기도 가평군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탐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생물탐사 활동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2’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첫 전면 대면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로 조성된 휴양림 3곳 중 하나인 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개최되어 더 의미를 더했다.   일반인과 전문가가 함께 진행한 올해 24시간의 생물종 조사에서는 식물 347종, 곤충 498종, 조류 20종 등 총 1,038종이 발견되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휴양림임에도 생물다양성이 잘 보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사에 참여한 산림청 임상섭 차장은 “벌써 13회째를 맞이하는 바이오블리츠는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행사로서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국민이 쉽게 산림생태계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는 팬데믹에서 잠시 벗어나 온 가족이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기회”라며, “내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서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8-22
  •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예술작품으로 만나는 지의류 특별전」을 개최한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Algae)가 공생을 유지하는 독특한 복합생명체로 우리나라에 1,000여 종,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알려져 있다. 특히, 극지, 고산, 사막 등 극한의 환경에도 잘 적응하며, 환경오염에 취약하여 대기오염 지표생물로도 알려져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지의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립수목원은 10여 년간의 연구를 수행하고 여러 편의 도감 제작과 전문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준비한 특별전은 지금까지 과학의 영역으로 접근한 미개척 생물군인 지의류를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지의류를 소재로, 지의류의 형태, 색상, 조형성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김순선* 작가의 작품 31점을 전시한다.     * 김순선 작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한 지의류 회화작품 전시. 제20회 서울 강남미술대전(2018)에서 서양화 부문 대상 수상.   본 전시회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온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순옥 연구사는 “지의류는 산림생물들이 숲에 정착하기 위한 토양과 영양분을 만들어주는 숲 생태계의 시작점”이라면서, “미지의 세계인 지의류를 만나, 알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김순선 작가님의 작품들을 통해 과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한 지의류의 아름다움을 즐겨보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지의류 특별전시회 기간에 회화작품 31점과 작품 속 지의류 표본 6점을 비교 감상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7 월 12일, 19일)과 토요일(7월 16일, 23일) 각 오후 12시, 3시, 4시(3회)에 작가의 작품해설과 지의류 작품활동 체험이 진행된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2-07-06
  • 한국임업진흥원,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품질관리 사업 본격 추진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4월 8일 부산 기장군을 시작으로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장조사에 대한 품질관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현재 고정표본점에 대해 전국 산림의 자원과 건강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8차 국가산림자원조사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 ~ 2020)에 비하여 ▲조사 표본점 개수 증가(4,150개소 → 4,500개소)와 더불어, ▲어린나무의 부피 산출을 위한 어린나무 높이 조사 및 ▲산림의 건강성 평가 지표로 활용할 ‘지의류’에 대한 조사가 추가 도입 되는 등 조사항목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졌다. LiDAR 장비 활용 표본점 3D 모델링화   이와 같은 개편에 맞추어 진흥원은 기존의 21개 품질관리 평가 항목을 24개로 확대하고, 기존의 조사방법에서 나아가 LiDAR 장비를 활용하여 표본점을 3D 모델링화하고, 종이야장을 대체한 전자야장을 사용하여 전국 산림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강오 원장은 “국가산림자원조사의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단계를 시스템화하여 산림기본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과학적인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2021-04-20
  • 한반도 식물연구의 귀중한 역사와 함께하다
    김무열 교수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한반도 식물 기준표본을 기증받았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김무열 교수가 소장한 것으로 한반도 특산식물인 완도호랑가시나무, 위도상사화 등을 포함한 52종 71점의 기준표본이며, 이중 정기준표본은 52점이다.  기준표본은 국제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식물의 이름과 기재의 근거가 되는 표본으로 식물연구의 기초가 되는 표본이며, 정기준표본은 전 세계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매우 중요한 표본으로 새로운 종을 발표할 때 사용된다. 완도호랑가시나무   표본을 기증한 김무열 교수는 25년간 연구를 통해 수집하고 정리한 기준표본들을 국립수목원에 기증하며 식물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에 기증받은 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서는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다.  위도상사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식물 외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총 116만4천여점의 표본이 수집되어 있으며 국내 최대 산림생물연구의 메카이기도 하다.    국립수목원 최영태 원장은“이번에 기증받은 식물 기준표본은 우리나라 식물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국제공동연구에도 이용될 것이며, 우리  식물연구의 역사와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도상사화 정기준표본     완도호랑가시나무 정기준표본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1-02-02
  • 국립수목원, 광릉숲에 사는 생물 6,251종 목록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부터 시작된 절대 보존림 광릉숲의 산림생물상 조사 결과를 모은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2012년 발간된 “변화하는 환경과 광릉숲 생물다양성” 이후 진행된 조사 내용을 추가였으며, 전체 기록 종 수는 6,251 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종 목록에는 선태류, 지의류, 식물, 고등균류, 부착조류, 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양서류, 파충류, 어류, 조류, 및 포유류와 부착조류 등 12개 생물군으로 2014년 발견된 큰원추리, 부채괴불이끼 등이 새롭게 광릉숲 생물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광릉숲 생물상 조사 보고서」는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 (www.kna.go.kr)을 통해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광릉요강꽃   광릉숲에는 특산식물인 외대의아리, 흰괭이눈, 광릉골무꽃과 희귀식물인 광릉요강꽃, 층층둥굴레, 참작약 등이 포함된 946 분류군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곤충은 3,932 분류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릉숲 지역은 오랜 기간의 보전 관리 영향뿐만 아니라 한랭온대 및 온난온대 지역의 생물이 중첩 분포할 수 있어 높은 산림생물다양성을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생물상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해서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의 김재현 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물은 산림 이용과 인위적 교란이 심한 동북아시아의 온대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저지대 낙엽활엽수 성숙림인 광릉숲의 보전 관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과학적 성과물이며,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보전 연구, 그리고 관련된 산림행정의 개선 활동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수하늘소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1-20
  • 산림청 국립수목원, ‘비대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성공적 개최!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6일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20(Bioblitz Korea 2020)*를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국립백두대간수목원 일원)에서 개최했다. * 바이오블리츠는 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행사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으로 1996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생물다양성 탐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세계 최초로 쌍방향 소통형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제1회 행사가 열렸던 경북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10년 후 생물상을 재조명하였다. 이번 행사는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비대면 생물종 탐사 이야기와 토크콘서트가 이루어졌으며, 사전 신청자(375명)에 한해 분류군별 전문가와 영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소통하였다. 또한 모든 영상은 국립수목원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진행하여 많은 참가자들이 그동안 산림생물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탐사 결과 문수산 일대에서 총 1,233종의 생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0년 전 제1회 행사에서 확인된 937종 보다 약 30% 증가한 수치였다. 특히,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호)와 같은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생물도 발견되었으며, 지의류 분야에서는 신종 후보종 3종을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향후 탐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물상 변화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최경 팀장은 “앞으로도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 및 개인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오늘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행사와 같이 고품질의 산림교육 콘텐츠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9-28
  • 국립자연휴양림을 실시간으로 보고 즐겨봐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이영록)는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정서 침체와 활력 저하에 도움이 되고자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집콕 휴양림 문화 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휴양림 소속 산림복지전문가가 숲해설이나 체험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국민 누구나 국립자연휴양림 유튜브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휴양림 숲해설 등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운영 기간은 9월 22일(화)부터 10월 20일(화)까지 약 한 달간이며, 매주 화·목 오전(10:30)·오후(14:00)로 나누어 총 16회 운영된다. 자세한 일정은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의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유튜브 채널은 유튜브 검색창에서 “국립자연휴양림”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음 이영록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국민들에게 비대면 시대에 맞추어 국립자연휴양림을 보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으로 조금이나마 국민들의 몸과 마음의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실시간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집콕 휴양림 문화교육 프로그램’ 목록   지역팀 일자 시간 휴양림 프로그램명 비고 동부 9.22 (화) 10:30 청태산 물을 품은 숲 녹색댐 1회 14:00 청태산 나는 숲속의 해결사 2회 동부 9.24 (목) 10:30 대관령 씨앗아 놀자 3회 14:00 가리왕산 숲속에 숨겨진 감동의 METAPHOR을 찾아서 4회 동부 9.29 (화) 10:30 화천숲속 야영장 싸리나무 이야기 5회 14:00 용화산 녹색댐을 지켜라 6회 동부 10.6 (화) 10:30 삼봉 삼봉의 지의류의 보물창고 7회 14:00 미천골 자연생태계 순환고리 탐구 8회 동부 10.8 (목) 10:30 용대 내 꽃은 내눈에만 보여요! 9회 14:00 방태산 자연소재 벽걸이 만들기 10회 북부 10.13(화) 10:30 유명산 딱따구리 이야기 11회 14:00 유명산 가을맞이 자생식물원 12회 남부 10.15(목) 10:30 달음산 무당개미의 유혹 13회 14:00 달음산 좀비개미 14회 서부 10.20(화) 10:30 지리산 등나무 이야기 15회 14:00 지리산 지리산반달가슴곰 이야기 16회 * 휴양림 사정 및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숲나들e 누리집(http://foresttrip.go.kr)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2020-09-21
  • 국립수목원 생물이야기 ‘알쓸국생’ 유튜브로 본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알아두면 쓸모있는 국립수목원 생물이야기 : 알쓸국생”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na99524)을 개설하고, “미선나무를 아시나요?”, “지의류를 아시나요?” 등 총 11편의 영상을 선보였다.  국립수목원은 연구 결과를 간행물 형태로 발간하여 정보를 공유하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좀 더 많은 분들이 재미있게 보고, 듣고, 공감할 수 있도록 영상 콘텐츠를 자체 제작하였다. 알쓸국생은 국가대표 산림생물종연구기관인 국립수목원 연구진이 직접 출연하여,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종 관련 연구와 전시원의 생생한 이야기로 구독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다양한 생물종에 대한 정보전달과 함께 출연하는 연구원들의 ‘진짜’연구 과정 속 이야기로 진행되며, 이외에도 웹진을 들려주는 ‘들국화(話)’, ‘수목특식: 수요일 목요일엔 특산식물이야기’등 새로운 영상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온라인 소통 강화를 위한 유튜브 구독 이벤트를 시행한다. “알쓸국생”구독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영상 중간 “마루(장수하늘소 대표 캐릭터)”의 스크린샷을 찍어 페이스북 댓글로 달면 된다.  매달 추첨을 통해 30명에게 모바일 음료 교환권을 제공할 계획이며, 자세한 참여 방법 국립수목원 페이스북(www.facebook.com/kna99052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알쓸국생을 통해 국립수목원의 연구성과를 재미있게 즐기시길 바라며, 이와 함께 산림생물종 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02-13
  • 국립수목원, 분류학 연구 문헌자료를 공유한다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생물표본관 내에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오픈하고 사전 이용신청자에 한해 개방한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 최초의 생물전문 표본관으로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 생물 2만 여종, 110만 여점의 연구용 표본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개원 후 20년간 산림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창복 전 서울대교수, 이우철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박규택 전 강원대학교 교수, 백종철 전 순천대학교 교수 등 원로 학자로부터 많은 분류학 관련 문헌을 기증받았다.   국립수목원은 공공자료 개방 정부혁신 기조에 맞춰 그동안 일반 공개하지 않았던 산림생물표본관을 리모델링하여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구축하였으며, 분류학 관련 연구자, 학생 또는 분류학을 공부하고 싶어 하는 신청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또한, 표본관 1층 로비에는 생물표본의 의미와 표본 제작도구, 방법 등을 설명하는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여 방문객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림생물분류연구자료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에서 이용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담당자에게 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국립수목원 오승환 산림생물다양성과장은 “국립수목원이 그동안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 왔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와 문헌 자료들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분류학과 관련된 분야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7-25
  • 국립수목원, 한국일보, 2019년 7월 9일자 보도에 대하여 해명
    국립수목원은 한국일보 7월 9일자 <“광릉숲 인근 소각장에 왜 침묵하나” 국립수목원으로 향하는 주민 비판> 보도에 대해 해명하였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보전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예측 분석을 통해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며 소각장 건립과 관련하여 각 생물군별로 미치는 영향 예측을 위한 TF를 구성하였으며, 관련 논문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보도내용>  □ 광릉숲 인근의 쓰레기 소각장 건립 추진과 관련하여, 광릉숲의 동식물 연구와 보전 책무를 지닌 국립수목원이 반대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하고 있음     <산림청 국립수목원 입장>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인근의 쓰레기 소각장 및 가구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광릉숲에 주는 피해 방지 및 예방을 위해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 협의대상인 완충지역에 해당되지 않아 법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근거는 없습니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생물상 보전을 위하여 소각장 관련 주민설명회 참석 후 이를 대응하기 위해 법률적 검토, 학술적 검토, 의정부시 장암동 소각장 방문 등 적극적 대응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대표, 도의원, 국회의원의 요구 자료에 성실히 답하였습니다.  또한, 국립수목원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생물군별로 미치는 영향 예측을 위한 TF를 구성하였으며, 관련 논문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입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7-11
  • 절대보존림 광릉숲, 멸종위기 작은관코박쥐, 천연기념물 올빼미 등 생물다양성 천국
    작은관코박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5월 25일-26일 이틀 간 경기도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BioBlitz Korea 2019」 ‘생물다양성을 품은 광릉숲의 생물이야기를 들어보자!’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서 24시간 동안 국립수목원 광릉숲 생물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424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은 총 612종이 조사되었으며, 최근 화성에서 발견되어 보고된 민은난초가 광릉숲에도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곤충은 전세계에서 광릉숲에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10년 만에 발견되어 최근 보고된 광릉왕맵시방아벌레를 포함하여 427종이 발견되었다. 버섯으로는 약용으로 널리 알려진 차가버섯과, 검은비늘버섯, 새잣버섯 등 총 54종과 나무 수피나 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촛농지의 등 지의류 47종을 발견하였다. 어류는 참갈겨니, 긴몰개 등 한국특산종 5종을 포함하여 전체 14종을 확인하였으며, 배스, 불루길 등의 외래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로는 전통적인 주거형태가 현대화 되면서 사라진 구렁이와, 산림과 자연성이 우수한 곳에서 서식하는 대륙유혈목이 발견되었다. 조류로는 천연기념물 까막딱다구리, 올빼미, 팔색조, 소쩍새, 솔부엉이, 원앙 6종을 포함하여 총 55종을 발견하였다. 조류조사 결과 같은 기간에 조사한 다른 산지에 비해 약 15종 이상 많이 출현한 것으로 광릉숲의 풍부한 종다양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다. 박쥐는 멸종위기 Ⅰ급 작은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관박쥐가 확인되었다. 포유류로는 멸종위기 Ⅱ급 담비와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 삵, 오소리와 멧돼지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인 등각류 중 개미와 공생하는 개미부치쥐며느리는 제주도, 창원 비음산에 이어 국내에서 3번째로 확인되었고, 원생동물 22종, 규조류 25종이 발견되었다. 특히, 작은관코박쥐는 국내에서 2012년 첫 관찰된 이후, 지리산, 소백산, 오대산, 점봉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광릉숲 성숙림에서 발견되었다. 광릉숲은 산림성박쥐가 잠자리로 이용하는 고목의 수동이나 수피 틈, 나뭇잎이 풍부하여 잠재적 잠자리를 충분히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운영 10년째가 되는 올해는, 국립수목원 개원20주년을 맞아 세계가 인정한 생물다양성의 보고 광릉숲에서 개최하게 된 것이 매우 의미 깊고”  또한,  “내년에는 제1회 개최지였던, 경북 봉화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지난 10년간의 생물다양성 변화를 탐사할 예정으로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9-05-27
  •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나자!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오는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 간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에 있는 만인산푸른학습원에서 ‘생물다양성 여행을 떠나자!「BioBlitz Korea 2018」’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인 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생물분야 전문가들과 아마추어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동안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참여형 과학 활동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는 2010년 경상북도 봉화를 시작으로 경기도(가평), 강원도(대관령, 청태산, 양구군 DMZ펀치볼둘레길), 서울시(서울숲), 울산시(태화강대공원), 전라북도(고창 선운산생태숲)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2017년 선운산생태숲에서 개최 시 24시간 만에 신종으로 추정되는 식물과, 곤충, 지의류 등 총 836종을 발견하였으며 천연기념물(제204호)로 보호받고 있는 여름철새인‘팔색조’와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삵’이 서식하는 흔적을 발견했다. 이번「BioBlitz Korea 2018」행사는 산림청과 대전광역시청이 공동 주최하며,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가 대표로 주관하고, 동아사이언스, 한겨레신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내셔널지오그래픽이 행사를 후원한다. 참가자 신청은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홈페이지(www.bioblitz.or.kr)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02-575-6443)로 문의 가능하다. 주요 행사는 생물학자들과 함께하는 워크(Walk) 프로그램, 토크(Talk) 프로그램과 생물다양성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참여 가능한「생물다양성 한마당」을 전문가와 함께 운영한다. 참가자들에게는 공식 티셔츠를 비롯하여 에코백 등 탐사활동에 필요한 기념품이 제공된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생물전문가와 온가족이 함께 생물다양성의 여행을 함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히며,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아빠, 어린이 등 온 가족이 함께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 많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4-20
  • 국립수목원, 국내 최초로 석조문화재에 발생하는 지의류상 조사 시작해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5년(’17~’21) 간 석조문화재에 발생, 서식하는 지의류상을 조사하는 중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밝혔다.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이, 송라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문화재 보존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하면, 지의류는 암석에 서식하는 곰팡이로 재질을 전반적으로 약화시켜 박리(剝離, 벗겨짐 현상)와 박락(剝落, 긁힘 또는 깎임 현상), 마모(磨耗, 닳아 없어짐 현상), 크랙(Crack, 갈라짐 현상) 등을 생기게 하므로 석조물 보존처리를 하고 있으나 처리 이후에 오히려 지의류의 기생주기가 더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어 보존처리 전문가들 사이에 보존처리 방법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그동안 석조문화재 보존에 있어 지의류에 대한 전문 자료가 부족하여 관리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의류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매년 각 도별로 지정되어 있는 석조문화재를 선정하여 지의류상을 조사하여 지의류 가이드북 발간, 배포 등을 통해 그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2017년 첫 조사지는 경상도 지역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의 국각지정 사적 제444호 성주 세종대왕왕자태실과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내의 국보 제290호 금강계단, 보물 제471호 봉발탑, 보물 제1471호 삼층석탑에 발생하는 지의류에 대한 조사하였으며, 올 해 2018년에는 경기도 지역이 조사 대상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석조문화재에 발생하는 지의류상에 대한 조사가 우리나라에서 대대적으로 처음 이루어지는 만큼 연구원들의 노고가 많을 것이나, 그 활용도가 높은 생물조사인 만큼 문화재보존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2-22
  • 광릉숲 지키는 국립수목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보전 워크숍 열어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지난 1월 30일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에서 생물권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관계자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는 국립생태원을 비롯한 생물다양성 평가 전문가들과 생물권보전지역 관계자 약 40명이 참가하였고, 다양한 전문가 강의와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번 워크숍은 전문가들과 관리자들이 생물권보전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조사를 비롯하여 미래 보전 방향을 고민하기 위해 모인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자리가 되었다. 국립생태원을 비롯한 식물, 곤충, 지의류, 양서파충류, 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전문가, 그리고 경기도 및 신안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자들이 자리를 함께 하였다. 워크숍은 생물다양성 현황을 비롯하여 광릉숲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물권보전지역의 장기 변화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찰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강의와 참석자들의 질문 및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이 워크샵의 중심 사례 지역으로서 지속적인 대기 오염과 산성비로 인한 토양 산성화, 그리고 높은 개발 압력의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광릉숲의 식물다양성 변화 추세를 비롯하여, 서울과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토양 산성화, 지역 개발에 의한 식생 변화에 대한 내용들도 공유되었다. 참석자들은 국내 생물권보전지역의 운영에 있어, 지역 사회와 생물다양성의 연계성이 부족함에 공감하고 그러한 지역 시민이 참여하는 광릉숲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희귀 식물인 ‘광릉요강꽃’과 한국 특산 어류 ‘참갈겨니’의 복원을 비롯한 다양한 보전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변화 모니터링 체계와 함께 추진할 수 있는 협력지역(구 전이지역)의 산림 관리 방향, 그리고 DMZ와 같은 국가 핵심 생태축과의 연결성 확대와 같은 장기적이고 거시적 보전 전략들 역시 공유되었다. 이번 워크샵을 주관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장 이철호 박사는 “국내에서 가장 밀도 높은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변화 모니터링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 ‘광릉숲’이다”라고 하며, “국립수목원에서는 국내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관리,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성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8-01-31
  • 부전투구꽃 등 북한 식물의 남한 자생지 최초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남한에서 자생지가 보고되지 않았던 북한 식물인 부전투구꽃, 개마투구꽃, 물뱀고사리 3종의 남한 자생지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전투구꽃(Aconitum puchonroenicum Uyeki & Sakata)과 개마투구꽃(Aconitum kaimaense Uyeki et Sakata)은 1930년대 함경남도 신흥군 부전령, 장진군과 강원도 금강산 비로봉 등에서 채집된 표본을 기준으로 1938년 한반도에서 최초로 기록된 식물이며, 물뱀고사리(Athyrium fallaciosum Milde)는 그 동안 중국과 북한의 함경북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3종에 대한 남한 자생지 발견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 소장 표본 연구 과정에서 나온 결과이다. 식물 표본으로 실체를 확인한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강원도 정선, 태백, 평창, 홍천 일대를 조사하여 남한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북한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들은 남북 단절로 인하여 정확한 실체와 생육정보 확인에 한계가 있어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번에 북한 자생식물의 남한 자생지 확인은 한반도의 자생식물에 대한 이해를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 포천 소재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03년에 국립표본관으로서 ‘산림생물표본관’을 개관하여 한반도를 비롯한 인접 국가들의 식물, 곤충, 버섯 및 지의류 표본 약 100만점을 소장하고 있다. 관속식물의 경우 한반도 자생식물 4,172종 중 92%에 해당하는 표본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1999년 개원 이후부터 한반도 식물에 대한 정확하고 영구적인 기록을 위하여 전국 식물상을 직접 조사하여 증거 자료로서의 식물 표본을 제작하고 국내외 흩어져 있는 한반도 표본과 식물상 자료들을 모아 연구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 3종의 식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자생지에 대한 추가 조사 및 현지 생육지 특성 분석, 분류적으로 유사한 종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이 식물들을 보전 가치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북한 식물의 남한 자생지 발견은 산림과 생태계 훼손이 심각한 북한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북한 산림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한반도 자생식물의 분류학적 규명과 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하였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8-25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7」, 고창 선운산에서 836종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청, 고창군과 함께 5. 27.∼28. 이틀 간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있는 선운산 생태숲에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7」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바이오블리츠(BioBlitz)란?     -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인「바이오블리츠(BioBlitz)」는 생물분야 권위자들과 아마추어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 한국에서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되어, 경기도 가평, 강원도 대관령, 강원도 청태산, 서울시 서울숲, 울산시 태화강대공원, 양구군 DMZ둘레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올해로 8회째를 맞는다. 선운산 생태숲이 있는 고창군은 2013년도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된 곳으로서, 자연생태환경이 잘 보전되고 있는 곳이다.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은 고인돌 세계문화유산을 포함하여 운곡 람사르습지, 고창 갯벌 람사르습지, 동림 저수지 야생동식물보호구역 등이 있어 철새와 저서생물의 천국으로 불리고 있다. 이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서 24시간 동안 생물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836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은 습지에서만 사는 희귀식물인 ‘끈끈이주걱’과 ‘큰방울새란’이 발견되었으며 총 319종을 발견하였다. 곤충은 국내 미기록 파리과 ‘Keroplatidae(케로플라티데)’를 포함하여 269종이 발견되었다. 이번에 발견한 미기록 파리과에 대해서는 국립수목원에서 본격적인 분류 연구를 거쳐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어류로는 1급수 어종인 ‘갈겨니’와 ‘긴몰개’를 발견하였다. 버섯으로는 식재료로 많이 쓰이는 ‘목이버섯’이 다량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의류로는 주로 벚나무 수피에 많이 서식하는 ‘매화지의’를 발견하였다. 양서파충류로는 수온이 낮고 깨끗한 물에만 서식하는 ‘도룡뇽’을 발견하였으며, 멸종위기종인 ‘황구렁이’도 허물을 벗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조류로는 종과 번식지 모두 천연기념물(제204호)로 보호받고 있는 여름철새인 ‘팔색조’를 발견하였으며, 포유류로는 IUCN이 지정한 ‘적색 목록(Red List)’의 관심대상종인 ‘삵’이 약 3마리 정도 서식하는 것으로 그 흔적을 발견하였다.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가 열린 선운산 생태숲은 도심에서도 가까우면서도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고 동백나무 숲 등 천연기념물과 선운사의 문화재까지 포함하고 있는 곳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었으며, 특히 미기록 파리과를 발견한 것이 분류학적으로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한국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전국을 돌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를 운영한지 처음으로 호남 지역에서 개최하게 되어 그 의미가 크다.”라고 밝히며, “내년에는 대전 지역에서 개최할 예정이므로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5-30
  • 산림청 국립수목원, 국내 최초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 개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22일부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을 통해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를 개시한다.    *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석이, 송라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10여 년 간 국내에서는 미개척 분야인 ‘지의류’를 대상으로 연구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얻은 문헌자료와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979종에 달하는 국내 지의류 목록을 작성했다. 생물다양성협약으로 생물자원에 대한 배타적 국가주권이 인정됨에 따라 국제적으로 자국 생물종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추세에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의 온라인 서비스는 생물종에 대한 국가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누리집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엑셀 파일 형태로 제공되며 국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서비스는 국내 분포 지의류 979종의 정확한 국명, 학명, 명명자 등의 표준화된 이름과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지의류 증거표본 정보, 지의류 전자도감 등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국가표준지의류목록」을 작성하고 공개하는 것은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하며,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의 온라인 서비스와 대국민 개방을 통해 관련 학계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나고야의정서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은 생물자원의 처음 유래지와 상호 합의된 계약에 따라 공유해야한다는 내용의 국제 협약이다. 자국의 생물자원목록에 없는 종을 함부로 활용할 수 없으며, 활용하려면 그 이익을 분배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자국의 생물종목록의 파악은 생물주권 주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17-02-24
  • 국립수목원, 지의류 표본 17,892점 기증 받아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오는 19일 순천대학교 허재선 교수가 소장해 온 지의류 표본을 기증 받았다.   국내 지의류 연구 분야의 권위자인 허재선 교수가 소장해 온 지의류1) 증거표본2) 1만7천 여 점을 국립수목원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증한 것이다.       1) 지의류란?  돌이나 나무 표면에 얼룩덜룩하게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식물군. 언뜻 이끼와 닮았는데 식물인 이끼와는 달리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다.        2) 증거표본이란?  신종이나 국내 미기록종으로 학계에 발표하는 생물의 증거 자료이다. 생물연구의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기준[모식]표본(type specimen)은 전 세계에 1개만 존재하는 표본이다.    국립수목원은 순천대학교와 지난 10여 년 간 공동으로 지의류를 연구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연구의 근거가 되는 표본을 꾸준히 확보해 왔다. 이러한 표본들을 국가기관이 소장하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국내외 연구자들은 지의류 연구를 위해서라면 누구나 표본을 열람할 수 있다.    지의류 연구의 발전을 위해 표본을 기증하는 허재선 교수는 ‘보길도단추지의(Caloplaca bogilana Y. Joshi & Hur)’ 등 신종으로 기재한 53종 등 증거표본 17,892점을 선뜻 내놓았다. 국내 지의류 9,297점은 물론, 국외 지의류 표본 8,595점 중 남극과 북극에서 직접 채집한 표본도 380여점 포함되어 있다.    한편, 국립수목원은 그간의 연구 결과로 「한국산 지의류 도감 I」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한국산 지의류 중 287종의 거대지의류에 대한 설명과 사진, 종을 식별할 수 있는 분류키, 화학 성분, 분포 정보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한국산 지의류 도감 시리즈의 첫 번째 판이며 이어 미소지의류에 대한 도감을 연이어 출간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이번에 기증 받은 지의류 증거표본들은 국내외 지의류 분류학 연구의 기반이다. 또한 이 증거표본을 근거로 발간한 「한국산 지의류 도감」 시리즈는 지의류 연구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 뉴스광장
    • 수목/과학
    2016-12-1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