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광장 검색결과

  •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상 지역 재설정 국제학술지 발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남한 전지역에서 수집된 식물 표본의 좌표 자료와 인공 신경 회로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기법으로 식물상 지역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관련 내용이 국제학술지 “생태 그리고 진화 (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되었다.   ○ 논문제목 : 고해상도 식물 표본 자료 및 자기 조직화 지도법을 활용한 한반도의 식물상 지역 재설정(https://doi.org/10.1002/ece3.6790). 이번 분석 결과 추출된 지역은 전반적인 온대 기후, 계절성 및 대륙성 기후, 여름 몬순, 그리고 반도 특성 같은 한반도의 지리 조건 및 식생기후 체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랭온대 (Cold temperate), 상량온대 (Cool temperate), 온난온대 (Warm temperate), 그리고 연안성 온난온대 (Maritime warm temperate)의 4개 지역으로 명명하였다.  식물상 지역의 과학적 추출은 추출 공간의 종 구성을 밝힘으로써 탐사 전략 수립 (분포 및 진화 생태) 및 유형화 (희귀성 및 고유성), 그리고 중요도 (서식지 및 종 보전) 설정의 바탕이 된다. 자료 축적이 적었던 과거에는, 대표적으로 지역적 고유성 (endemism) 또는 제한된 식물상 목록을 활용하였으며, 한반도를 8개 식물상 지역으로 구분한 도면(나까이 다께노신, 1919)을 주로 사용하였다. 최근 식물의 분포 같은 공간 자료의 지속적인 축적, 그리고 공간 통계 도구의 발달을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아시아식물분포연구회 등과 전국에서 수집한 북한에만 자라는 식물을 제외한 2,954 분류군에 걸친 309,333 건의 식물 표본의 좌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 회로망의 일종인 자기 조직화 지도법 (Self-Organizing Maps, SOMs)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된 4개 식물상 지역은 직접 기후 요인 (연평균 기온 및 연강수량) 및 간접 기후 요인 (온난지수 및 한랭지수) 모두 서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반암 같은 물리적 요인 역시 식물상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장 김재현 임업연구관은 “우리 연구 성과는 한반도 식물의 분화 및 분포 양상 변화를 이해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의 변동 같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및 관련 행정 활동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0-22

산림행정 검색결과

  •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상 지역 재설정 국제학술지 발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남한 전지역에서 수집된 식물 표본의 좌표 자료와 인공 신경 회로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기법으로 식물상 지역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관련 내용이 국제학술지 “생태 그리고 진화 (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되었다.   ○ 논문제목 : 고해상도 식물 표본 자료 및 자기 조직화 지도법을 활용한 한반도의 식물상 지역 재설정(https://doi.org/10.1002/ece3.6790). 이번 분석 결과 추출된 지역은 전반적인 온대 기후, 계절성 및 대륙성 기후, 여름 몬순, 그리고 반도 특성 같은 한반도의 지리 조건 및 식생기후 체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랭온대 (Cold temperate), 상량온대 (Cool temperate), 온난온대 (Warm temperate), 그리고 연안성 온난온대 (Maritime warm temperate)의 4개 지역으로 명명하였다.  식물상 지역의 과학적 추출은 추출 공간의 종 구성을 밝힘으로써 탐사 전략 수립 (분포 및 진화 생태) 및 유형화 (희귀성 및 고유성), 그리고 중요도 (서식지 및 종 보전) 설정의 바탕이 된다. 자료 축적이 적었던 과거에는, 대표적으로 지역적 고유성 (endemism) 또는 제한된 식물상 목록을 활용하였으며, 한반도를 8개 식물상 지역으로 구분한 도면(나까이 다께노신, 1919)을 주로 사용하였다. 최근 식물의 분포 같은 공간 자료의 지속적인 축적, 그리고 공간 통계 도구의 발달을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아시아식물분포연구회 등과 전국에서 수집한 북한에만 자라는 식물을 제외한 2,954 분류군에 걸친 309,333 건의 식물 표본의 좌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 회로망의 일종인 자기 조직화 지도법 (Self-Organizing Maps, SOMs)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된 4개 식물상 지역은 직접 기후 요인 (연평균 기온 및 연강수량) 및 간접 기후 요인 (온난지수 및 한랭지수) 모두 서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반암 같은 물리적 요인 역시 식물상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장 김재현 임업연구관은 “우리 연구 성과는 한반도 식물의 분화 및 분포 양상 변화를 이해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의 변동 같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및 관련 행정 활동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0-22

산림산업 검색결과

  •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상 지역 재설정 국제학술지 발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남한 전지역에서 수집된 식물 표본의 좌표 자료와 인공 신경 회로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기법으로 식물상 지역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관련 내용이 국제학술지 “생태 그리고 진화 (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되었다.   ○ 논문제목 : 고해상도 식물 표본 자료 및 자기 조직화 지도법을 활용한 한반도의 식물상 지역 재설정(https://doi.org/10.1002/ece3.6790). 이번 분석 결과 추출된 지역은 전반적인 온대 기후, 계절성 및 대륙성 기후, 여름 몬순, 그리고 반도 특성 같은 한반도의 지리 조건 및 식생기후 체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랭온대 (Cold temperate), 상량온대 (Cool temperate), 온난온대 (Warm temperate), 그리고 연안성 온난온대 (Maritime warm temperate)의 4개 지역으로 명명하였다.  식물상 지역의 과학적 추출은 추출 공간의 종 구성을 밝힘으로써 탐사 전략 수립 (분포 및 진화 생태) 및 유형화 (희귀성 및 고유성), 그리고 중요도 (서식지 및 종 보전) 설정의 바탕이 된다. 자료 축적이 적었던 과거에는, 대표적으로 지역적 고유성 (endemism) 또는 제한된 식물상 목록을 활용하였으며, 한반도를 8개 식물상 지역으로 구분한 도면(나까이 다께노신, 1919)을 주로 사용하였다. 최근 식물의 분포 같은 공간 자료의 지속적인 축적, 그리고 공간 통계 도구의 발달을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아시아식물분포연구회 등과 전국에서 수집한 북한에만 자라는 식물을 제외한 2,954 분류군에 걸친 309,333 건의 식물 표본의 좌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 회로망의 일종인 자기 조직화 지도법 (Self-Organizing Maps, SOMs)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된 4개 식물상 지역은 직접 기후 요인 (연평균 기온 및 연강수량) 및 간접 기후 요인 (온난지수 및 한랭지수) 모두 서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반암 같은 물리적 요인 역시 식물상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장 김재현 임업연구관은 “우리 연구 성과는 한반도 식물의 분화 및 분포 양상 변화를 이해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의 변동 같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및 관련 행정 활동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0-22
  • 피톤치드의 나무 편백, 어느 지역까지 자랄 수 있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피톤치드가 풍부해 많은 사랑을 받는 편백의 조림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편백 조림가능 지역 지도’를 제작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재 편백이 식재되어 동해(凍害) 입은 지역과 생존하고 있는 지역 2,358곳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대규모 조사(2013∼2018년)를 시행하였다. 기온과 강수량 등 기상인자에 따른 조림목의 생존율 통계분석을 통해 생존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편백조림 생존율을 보여주는 지도를 제작하였다. 편백의 생존률과 가장 관계가 깊은 기상인자로는 연강수량과 한랭지수(coldness index)*로 나타났으며, 연구팀은 이 지도에서 40% 미만의 생존율을 보이는 지역은 편백 조림을 지양할 것을 권장하였다.     * 한랭지수 : 식물분포와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지수로, 월평균 기온이 5℃ 이하인 달의 월평균 기온에서 5℃를 뺀 값을 모두 합친 값. 편백은 온난대 기후에서 잘 자라는 수종이며, 우리나라는 남부지방과 제주도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편백은 추위에 약한 수종인 관계로 우리나라 중부지역 이북에 조림할 시 동해를 입기 쉬우며, 제대로 된 생육이 어렵다.    진주 월아시험림에서 생육중인 편백   하지만 피톤치드를 내뿜어 건강을 이롭게 한다는 장점이 있어, 치유를 위한 공간 조성 등의 목적으로 중부 및 북부지방까지도 편백을 조림하는 실정이었다.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2008년에 편백 조림 면적은 1,622ha였으나 2018년에는 5,746ha까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자체 및 산주들은 지역을 불문하고 조림 시 가장 선호하는 편백을 식재하고 있어, 편백식재 가능지역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과거 편백 조림지역 선행연구는 성공조림지의 지위지수에 근거한  결과였던 반면, 이번 자료는 기상자료와 조림지의 생존율에 근거한 광역적인 자료로 진전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편백은 국민 모두가 좋아하는 나무이나, 생존율이 낮은 지역에 조림할 시 실패할 확률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면서 “현재의 생존율 예측모형이 고도의 정확성을 갖지는 않으나, 앞으로의 편백 조림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6-02

포토뉴스 검색결과

  •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상 지역 재설정 국제학술지 발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남한 전지역에서 수집된 식물 표본의 좌표 자료와 인공 신경 회로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기법으로 식물상 지역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관련 내용이 국제학술지 “생태 그리고 진화 (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되었다.   ○ 논문제목 : 고해상도 식물 표본 자료 및 자기 조직화 지도법을 활용한 한반도의 식물상 지역 재설정(https://doi.org/10.1002/ece3.6790). 이번 분석 결과 추출된 지역은 전반적인 온대 기후, 계절성 및 대륙성 기후, 여름 몬순, 그리고 반도 특성 같은 한반도의 지리 조건 및 식생기후 체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랭온대 (Cold temperate), 상량온대 (Cool temperate), 온난온대 (Warm temperate), 그리고 연안성 온난온대 (Maritime warm temperate)의 4개 지역으로 명명하였다.  식물상 지역의 과학적 추출은 추출 공간의 종 구성을 밝힘으로써 탐사 전략 수립 (분포 및 진화 생태) 및 유형화 (희귀성 및 고유성), 그리고 중요도 (서식지 및 종 보전) 설정의 바탕이 된다. 자료 축적이 적었던 과거에는, 대표적으로 지역적 고유성 (endemism) 또는 제한된 식물상 목록을 활용하였으며, 한반도를 8개 식물상 지역으로 구분한 도면(나까이 다께노신, 1919)을 주로 사용하였다. 최근 식물의 분포 같은 공간 자료의 지속적인 축적, 그리고 공간 통계 도구의 발달을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아시아식물분포연구회 등과 전국에서 수집한 북한에만 자라는 식물을 제외한 2,954 분류군에 걸친 309,333 건의 식물 표본의 좌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 회로망의 일종인 자기 조직화 지도법 (Self-Organizing Maps, SOMs)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된 4개 식물상 지역은 직접 기후 요인 (연평균 기온 및 연강수량) 및 간접 기후 요인 (온난지수 및 한랭지수) 모두 서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반암 같은 물리적 요인 역시 식물상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장 김재현 임업연구관은 “우리 연구 성과는 한반도 식물의 분화 및 분포 양상 변화를 이해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의 변동 같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및 관련 행정 활동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2020-10-22
  • 피톤치드의 나무 편백, 어느 지역까지 자랄 수 있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피톤치드가 풍부해 많은 사랑을 받는 편백의 조림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편백 조림가능 지역 지도’를 제작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재 편백이 식재되어 동해(凍害) 입은 지역과 생존하고 있는 지역 2,358곳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대규모 조사(2013∼2018년)를 시행하였다. 기온과 강수량 등 기상인자에 따른 조림목의 생존율 통계분석을 통해 생존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편백조림 생존율을 보여주는 지도를 제작하였다. 편백의 생존률과 가장 관계가 깊은 기상인자로는 연강수량과 한랭지수(coldness index)*로 나타났으며, 연구팀은 이 지도에서 40% 미만의 생존율을 보이는 지역은 편백 조림을 지양할 것을 권장하였다.     * 한랭지수 : 식물분포와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지수로, 월평균 기온이 5℃ 이하인 달의 월평균 기온에서 5℃를 뺀 값을 모두 합친 값. 편백은 온난대 기후에서 잘 자라는 수종이며, 우리나라는 남부지방과 제주도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편백은 추위에 약한 수종인 관계로 우리나라 중부지역 이북에 조림할 시 동해를 입기 쉬우며, 제대로 된 생육이 어렵다.    진주 월아시험림에서 생육중인 편백   하지만 피톤치드를 내뿜어 건강을 이롭게 한다는 장점이 있어, 치유를 위한 공간 조성 등의 목적으로 중부 및 북부지방까지도 편백을 조림하는 실정이었다.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2008년에 편백 조림 면적은 1,622ha였으나 2018년에는 5,746ha까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자체 및 산주들은 지역을 불문하고 조림 시 가장 선호하는 편백을 식재하고 있어, 편백식재 가능지역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과거 편백 조림지역 선행연구는 성공조림지의 지위지수에 근거한  결과였던 반면, 이번 자료는 기상자료와 조림지의 생존율에 근거한 광역적인 자료로 진전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편백은 국민 모두가 좋아하는 나무이나, 생존율이 낮은 지역에 조림할 시 실패할 확률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면서 “현재의 생존율 예측모형이 고도의 정확성을 갖지는 않으나, 앞으로의 편백 조림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6-0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