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북한산림복구를 위한 작지만 큰 첫걸음 내딛어

- 국립산림과학원, 농업∙환경분야와 협업으로 통일대비 북한 산림정보 구축 -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5.10.12 17:0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전세계 산림황폐화 지수 3위의 북한(출처 : maplecroft)>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지난 8일 북한 산림의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 전문가 회의를 갖고 부처 간 협업으로 통일 대비 북한 기본공간정보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산림은 전 세계 산림황폐화 순위에서 3위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과학적인 북한산림의 복원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북한산림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접근불능지역인 북한의 산림 실태 조사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원격탐사 기술의 활용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번 전문가 회의는 그동안 상호 정보 공유가 어려웠던 3개 부처(산림청, 농촌진흥청, 환경부)연구기관의 북한 원격탐사 연구 현황과 향후 연구 계획을 공유하고 연구 역량을 집약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1996년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산림자원량조사를 시작으로 남북간 산림·임업분야의 교류·협력과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를 위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산림과학원은 위성영상을 통해 분석한 양강도 혜산시의 산림황폐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북한 산림 황폐화의 심각성을 소개했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위성 영상을 활용해 북한 전체 논 면적 산정을 마쳤고 현재 밭에 대한 분류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북한의 경우 산지를 개간하여 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북한 농경지 분석과 관련된 기준 마련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아리랑3호 영상을 이용하여 도시개발, 자연환경보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북한토지피복지도 제작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999 혜산시 산림황폐지도(좌) 및 2014 혜산시 산림황폐지도(우). 출처:국립산림과학원>

이날 회의에서는 앞으로 3개 부처가 협업과제를 통해 북한 개간산지 정보 구축과 같은 부처간 공동 이슈를 해결하고 통일 대비 북한 기본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국립산림과학원 김경민 박사는 “정확한 북한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서는 다락밭, 비탈밭 등 개간산지를 농경지로 볼 것인가? 산림황폐지로 볼 것인가? 와 같은 질문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며, “산림․농업․환경 분야가 함께 고민하여 상호 합의된 기준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산림황폐화는 1970년대 자연5대개조사업을 통해 경사 15도 이상의 경사지에 다락밭과 비탈밭을 조성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1990년대 국제적 고립과 수년간의 자연재해로 인한 ‘고난의 행군’ 시절을 겪으면서 식량 증산을 위한 산지개간, 땔나무 채취와 과도한 벌채 등으로 인해 산림황폐화가 가속화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북한 전역에 대한 산림 황폐지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북한 산림 실태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북한산림복구를 위한 작지만 큰 첫걸음 내딛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