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광장 검색결과

  • 숲의 산사태 방지 효과, 수치로 증명한다
    식생이 풍부한 건강한 숲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이 이번 장마 기간에 나무와 식생이 풍부하고 수십 년간 녹화된 숲이 훼손된 숲보다 약 85배 이상의 토사유출 방지효과를 발휘했다고 밝혔다. 숲이 잘 보전되고 건강한 숲(엽면적지수 1.7)은 토사유출량이 27.5kg/ha인 반면, 숲이 거의 없는(엽면적지수 0.3) 곳의 토사유출량은 2,340kg/ha으로 분석되었다.     *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 : 숲에서 나뭇잎이 차지하는 비율 이러한 결과는 올해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산불 지역을 중심으로 불에 안 탄 건강한 숲과 산불로 타버린 숲을 대상으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숲 안의 나무와 식생들이 여름철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흙이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고 산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정량적 수치를 통해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훼손된 숲_올해 산불이 발생한 안동 지역   한편, 우리나라는 매년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지난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산사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사방댐 설치와 같은 사방사업과 더불어 숲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산사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숲이 주는 산사태 방지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피해방지에 효율적인 지능형 숲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번 토사유출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사태에 강한 숲 만들기 등 지능형 숲 관리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숲은 나무의 우산효과와 뿌리의 말뚝효과 및 그물효과로 토사유출과 산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숲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산사태 피해를 줄이는데 중요하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9-02

산림산업 검색결과

  • 숲의 산사태 방지 효과, 수치로 증명한다
    식생이 풍부한 건강한 숲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이 이번 장마 기간에 나무와 식생이 풍부하고 수십 년간 녹화된 숲이 훼손된 숲보다 약 85배 이상의 토사유출 방지효과를 발휘했다고 밝혔다. 숲이 잘 보전되고 건강한 숲(엽면적지수 1.7)은 토사유출량이 27.5kg/ha인 반면, 숲이 거의 없는(엽면적지수 0.3) 곳의 토사유출량은 2,340kg/ha으로 분석되었다.     *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 : 숲에서 나뭇잎이 차지하는 비율 이러한 결과는 올해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산불 지역을 중심으로 불에 안 탄 건강한 숲과 산불로 타버린 숲을 대상으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숲 안의 나무와 식생들이 여름철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흙이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고 산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정량적 수치를 통해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훼손된 숲_올해 산불이 발생한 안동 지역   한편, 우리나라는 매년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지난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산사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사방댐 설치와 같은 사방사업과 더불어 숲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산사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숲이 주는 산사태 방지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피해방지에 효율적인 지능형 숲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번 토사유출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사태에 강한 숲 만들기 등 지능형 숲 관리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숲은 나무의 우산효과와 뿌리의 말뚝효과 및 그물효과로 토사유출과 산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숲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산사태 피해를 줄이는데 중요하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9-02
  • 대형산불지 2차 피해 막는 사방사업, 과학적으로 추진한다
    2002년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발생한 산사태 피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형산불 피해지역에서는 산사태 발생확률이 증가해 산불 발생 후 2차 피해 대비는 필수적이다.  실제로 국립산림과학원 조사 결과, 2000년 동해안 대형산불 이후 2년 후 찾아온 태풍 ‘루사’로 인해 강원지역 산불피해지에서는 일반산지보다 약 10배 더 많은 산사태 피해가 있었다. 또한, 2009년 경북 칠곡 산불피해지에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계곡으로 흘러오는 토사량을 분석한 결과, 산불피해 3년간 토사량이 급증하였으며, 일반산지보다 4.2배 많은 토사가 유입되었다.     * LiDAR : 3D 레이저 스캐너(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여름철 장마와 태풍에 대비해 대형산불 피해지역의 집중호우에 의한 토사 유출·산사태 등 2차 피해방지를 위해 과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1-경사 '심'   산불피해지의 토사 유출·산사태 등 2차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사방사업*이 가장 효과적이며 매년 산림청과 지자체에서는 대형산불피해가 발생하면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적절한 사방사업을 시행하여 2차 피해 최소화에 크게 기여해 왔다.     *사방사업: 산지사면의 붕괴, 흙·나무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 설치나 식물 등을 식재하는 사업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 산불피해지의 사방사업 시행지와 미 시행지의 토사 유출량은 약 3∼20배 차이가 났으며 대형산불피해가 잦았던 강원지역에 사방사업을 시행한 곳은 이틀간 200mm 이상의 강우에도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사방사업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피해지의 과학적 복구체계 마련을 위해 산불피해 강도별 토사 유출량을 조사하고자 올해 안동에서 발생한 1,944ha의 대형산불피해지에 산불피해 강도 심·중과 일반산지에 각 4개소씩 실트펜스*를 설치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      *실트펜스: 산지사면에 설치하여 유출되는 토사를 포착하는 장치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2-경사 '심'   향후 산불피해 강도별 모니터링 결과는 사방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2차 피해 위험성 평가와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대상지 결정 시스템 개발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산불피해 강도별 정량적 토사 유출량을 산정하여 시급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등 2차 피해방지 대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4-경사 '중'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31-경사 '중'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7-13

산림환경 검색결과

  • 숲의 산사태 방지 효과, 수치로 증명한다
    식생이 풍부한 건강한 숲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이 이번 장마 기간에 나무와 식생이 풍부하고 수십 년간 녹화된 숲이 훼손된 숲보다 약 85배 이상의 토사유출 방지효과를 발휘했다고 밝혔다. 숲이 잘 보전되고 건강한 숲(엽면적지수 1.7)은 토사유출량이 27.5kg/ha인 반면, 숲이 거의 없는(엽면적지수 0.3) 곳의 토사유출량은 2,340kg/ha으로 분석되었다.     *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 : 숲에서 나뭇잎이 차지하는 비율 이러한 결과는 올해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산불 지역을 중심으로 불에 안 탄 건강한 숲과 산불로 타버린 숲을 대상으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숲 안의 나무와 식생들이 여름철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흙이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고 산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정량적 수치를 통해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훼손된 숲_올해 산불이 발생한 안동 지역   한편, 우리나라는 매년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지난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산사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사방댐 설치와 같은 사방사업과 더불어 숲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산사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숲이 주는 산사태 방지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피해방지에 효율적인 지능형 숲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번 토사유출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사태에 강한 숲 만들기 등 지능형 숲 관리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숲은 나무의 우산효과와 뿌리의 말뚝효과 및 그물효과로 토사유출과 산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숲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산사태 피해를 줄이는데 중요하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9-02

포토뉴스 검색결과

  • 숲의 산사태 방지 효과, 수치로 증명한다
    식생이 풍부한 건강한 숲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이 이번 장마 기간에 나무와 식생이 풍부하고 수십 년간 녹화된 숲이 훼손된 숲보다 약 85배 이상의 토사유출 방지효과를 발휘했다고 밝혔다. 숲이 잘 보전되고 건강한 숲(엽면적지수 1.7)은 토사유출량이 27.5kg/ha인 반면, 숲이 거의 없는(엽면적지수 0.3) 곳의 토사유출량은 2,340kg/ha으로 분석되었다.     *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 : 숲에서 나뭇잎이 차지하는 비율 이러한 결과는 올해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산불 지역을 중심으로 불에 안 탄 건강한 숲과 산불로 타버린 숲을 대상으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숲 안의 나무와 식생들이 여름철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흙이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고 산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정량적 수치를 통해 입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훼손된 숲_올해 산불이 발생한 안동 지역   한편, 우리나라는 매년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지난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산사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사방댐 설치와 같은 사방사업과 더불어 숲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산사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숲이 주는 산사태 방지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피해방지에 효율적인 지능형 숲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번 토사유출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사태에 강한 숲 만들기 등 지능형 숲 관리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숲은 나무의 우산효과와 뿌리의 말뚝효과 및 그물효과로 토사유출과 산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숲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산사태 피해를 줄이는데 중요하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9-02
  • 대형산불지 2차 피해 막는 사방사업, 과학적으로 추진한다
    2002년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발생한 산사태 피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형산불 피해지역에서는 산사태 발생확률이 증가해 산불 발생 후 2차 피해 대비는 필수적이다.  실제로 국립산림과학원 조사 결과, 2000년 동해안 대형산불 이후 2년 후 찾아온 태풍 ‘루사’로 인해 강원지역 산불피해지에서는 일반산지보다 약 10배 더 많은 산사태 피해가 있었다. 또한, 2009년 경북 칠곡 산불피해지에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계곡으로 흘러오는 토사량을 분석한 결과, 산불피해 3년간 토사량이 급증하였으며, 일반산지보다 4.2배 많은 토사가 유입되었다.     * LiDAR : 3D 레이저 스캐너(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여름철 장마와 태풍에 대비해 대형산불 피해지역의 집중호우에 의한 토사 유출·산사태 등 2차 피해방지를 위해 과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1-경사 '심'   산불피해지의 토사 유출·산사태 등 2차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사방사업*이 가장 효과적이며 매년 산림청과 지자체에서는 대형산불피해가 발생하면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적절한 사방사업을 시행하여 2차 피해 최소화에 크게 기여해 왔다.     *사방사업: 산지사면의 붕괴, 흙·나무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 설치나 식물 등을 식재하는 사업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 산불피해지의 사방사업 시행지와 미 시행지의 토사 유출량은 약 3∼20배 차이가 났으며 대형산불피해가 잦았던 강원지역에 사방사업을 시행한 곳은 이틀간 200mm 이상의 강우에도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사방사업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피해지의 과학적 복구체계 마련을 위해 산불피해 강도별 토사 유출량을 조사하고자 올해 안동에서 발생한 1,944ha의 대형산불피해지에 산불피해 강도 심·중과 일반산지에 각 4개소씩 실트펜스*를 설치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      *실트펜스: 산지사면에 설치하여 유출되는 토사를 포착하는 장치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2-경사 '심'   향후 산불피해 강도별 모니터링 결과는 사방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2차 피해 위험성 평가와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대상지 결정 시스템 개발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서준표 박사는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산불피해 강도별 정량적 토사 유출량을 산정하여 시급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긴급조치 및 응급복구 등 2차 피해방지 대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 4-경사 '중'   실트펜스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조사31-경사 '중'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7-1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