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023년 1월 6일 김명종(58)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김명종 소장은 전북 전주 출신으로 1988년 공직생활을 시작해 산림청 법무감사담당관실, 산림보호국, 단양ㆍ영주국유림관리소장, 국회연락관, 대통령직속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 위원회 파견, 독일 산림연구기관 파견, 임업기계훈련원 교관 등을 두루 거친 산림정책업무에서 최일선 현장 업무까지 정통한 산림행정의 전문가이다. 앞으로 전국 45개 국립자연휴양림을 책임지고 이끌어갈 김명종 신임 소장은, ‘지역환경과 특성에 맞는 시설보완 및 현대화’, ‘고품질 산림휴양 서비스 제공’,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산림휴양 산업화’, ‘안전이 확보된 휴양림 서비스 구축’ 등을 강조하며 책임운영기관장으로서 각오를 밝혔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취임사에서 “국립자연휴양림은 공공재로서 국민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휴식처 역할을 다하고, 가용자원과 역량을 국민에게 최대한 제공하여 국립자연휴양림에서 숲으로 잘사는 산림르네상스를 실행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지난 10월 초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다양한 숲가꾸기 우수 사례를 널리 알려 전국의 숲가꾸기 사업 현장 곳곳에 적용하기 위해 지난 9월 30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 및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우수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우수 사업지 선정은 각 기관에서 제출한 대상지에 대한 1차 서류평가(50점)와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참여하는 2차 현장평가(50점) 점수를 합산하여 선정하는 방법으로, 숲가꾸기 사업 추진부터 완료까지 사업 전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올해 제출된 10개 사업지를 대상으로 평가를 거쳐 최종 4개 사업지를 선정하였으며, 최우수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공주시, 장려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경상북도 청송군이 각각 선정되었다. 선정된 4개 기관에는 포상금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에는 산림청장 상장과 상패가 수여된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평소 지역주민의 방문이 많은 등산로 주변이며, 송진이 많아 산불에 취약한 잣나무 단순림이 주로 분포하여 재해 예방을 위한 숲 관리 필요성이 높은 지역이다. 이에, 인제국유림관리소는 산불에 강한 숲 조성을 목표로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등산로에 인접한 산림을 핵심구역으로 설정해 잣나무 위주로 솎아베기를 실시하고, 벌채된 산물을 전량 수집하여 향후 산불 발생 시 연료 물질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대형산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또한, 가지가 많은 잣나무의 특성상 숲 하층에서 다양한 식생이 자라나기 어려웠으나, 잣나무를 솎아베어 줌으로써 다른 나무가 생육할 수 있는 공간과 충분한 빛을 확보해주어 하층에 현사시나무 및 아까시나무가 생육하는 등 점차 산불에 강한 다층혼합림으로 발달하도록 유도하였다. 우수 사업지로는 사업 추진 단계부터 산주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산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사업 만족도를 높이고, 숲가꾸기 산물을 매각해 산주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는 등 산림기능과 산주의 필요를 모두 고려해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한 ‘충청남도 공주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목재생산 기능과 휴양 기능을 함께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숲가꾸기를 실시한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와 생활권과 도로 연접지역에 대해 소나무류 밀도를 조절하여 산불에 강한 숲으로 유도한 ‘경상북도 청송군’이 장려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산림청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산림의 기능에 따라 차별화된 숲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전국 산림 현장에서 숲가꾸기 사업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 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앞으로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10일 경북 청송 임업인종합연수원에서 「제1회 드론 및 모바일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대회에는 5개 지방산림청에서 재해・경영・자원 등 업무 담당자들로 구성된 14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특히 참가자의 42%는 임용 2년 미만의 신임 공무원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대회는 산림 현장에서 스마트(지능형) 기술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으며, 산림조사 대상지 선정에서 결과 도출까지의 과정에 드론, 산림공간정보시스템, 스마트(지능형)항공사진 및 스마트(지능형) 현장 기록지(야장) 등 활용 능력을 겨루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지방청 및 소속 국유림관리소에 보급된 산림드론이 산불, 병해충 등 재난 분야에서 산림경영, 자원조사 및 재산관리 등 산림사업 분야로 활용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으며, 단순 비행 또는 촬영에만 그치지 않고 영상 데이터를 가공,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경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4개 참가팀 가운데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팀이 최우수 팀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우수팀 외에도 우수 2팀, 장려 4팀을 선정하여 격려하였다. 산림청 강대익 정보통계담당관은 “본 대회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 친숙한 엠지(MZ) 세대 공무원들이 스마트(지능형) 산림 기술의 업무 활용 방안을 익히고, 활용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 디지털 기반의 산림행정이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원경)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7일 ‘2022년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은 2019년 처음 시작해 올해 4회째이며, 산림경영목표를 고려한 맞춤형 조림(적지적수, 適地適樹)과 체계적인 관리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을 조성한 조림지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평가는 각 국유림관리소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지 10년 이상 경과한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9월 서류 및 현장평가를 실시해 최종 6개소를 선정하였다. ’19년에는 대면적(5ha이상) 조림지, ’20년에는 활엽수 조림지, ’21년에는 밀원수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 최우수 조림지로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가 선정되었다. * 최우수(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우수(북부지방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중부지방산림청 단양국유림관리소), 장려(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전라남도 장성군) 산림청 우수조림지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근경)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는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일원에 위치하며, 2011년 조림한 지역으로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적절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난대지역의 기후 특성 및 산림의 기능 구분에 따라 산림을 조성에 적절한 수종을 선정하였으며, 주민설명회 및 현장설명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는 점이 높게 평가되었다.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탄소흡수원이자 저장고인 산림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일”이라며, “조림 목적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우수조림지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숲을 보다 건강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가는 구심점으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이창재)은 제15차 세계산림총회 개최를 맞아 비대면 산림복지 콘텐츠 및 PC 기증 행사를 5월 2일 서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산림복지를 통한 공적개발원조(ODA)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영주국유림관리소 임직원 등 20여 명이 함께 참여했다. 기증 물품은 지난 3월 대국민 공모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선정한 산림복지 영상 콘텐츠 4점, 비대면 산림복지·치유 프로그램 키트 400인분, 재활용 PC 60여 대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통해 캄보디아 등 개발도상국에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비대면 키트는 전국의 산림복지시설에서 지역 중·소상공인과 함께 기획하였으며, 중·소상공인의 다양한 판로개척 등에 시범적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국외 개발도상국 취약계층의 산림치유와 산림복지 협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재 원장은 “이번 기증식은 PC를 재활용을 통해 탄소절감을 실천하고, 우수한 산림복지 콘텐츠를 해외로 전파하여 세계인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라며 “아시아 지역의 산림복지 협력관계가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낙엽송 조림지 작업후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지난 10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의 우수사례를 찾아 알리고 건강한 산림조성을 위한 숲 관리 방향 제시 등을 위해 지난 9월 29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산림 기능에 따른 우수 숲가꾸기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선정 대상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실행한 숲가꾸기(경제림가꾸기, 공익림가꾸기, 산불예방숲가꾸기)실행지로, 설계와 감리 모두 용역으로 시행한 큰나무가꾸기 사업 완료지이다. * 경제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산물수집을 200㎥ 이상 실행한 침엽수림 * 공익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주기능을 5대 공익기능으로 선정하여 추진한 개소 * 산불예방숲가꾸기는 생활권 대형 산불 등 재해예방을 위한 작업을 추진한 개소 지원 서류를 제출한 12개소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협회 전문가들의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5개 사업장이 선정되었다. 올해 선정된 우수사업장은 ▲최우수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서산시, 전라남도 장성군 ▲장려 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영주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영주시 봉현면 국립산림치유원에 있는 산림휴양림으로 치유원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휴식처를 제공할 목적으로 경관수종, 지역특색수종 등이 다양하게 어우러짐으로 경관적 가치와 휴양적 기능이 높게 요구되는 지역이다.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활엽수 집단생육지 작업후 국립산림치유원 이용객들에게 다채로운 경관과 볼거리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숲에서 다양한 체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숲으로 조성하기 위한 여러 모형, 세부 작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숲가꾸기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지 못한 세부 작업법까지 사업 추진 담당자의 노력으로 구현하여, 향후 산림공무원, 산림기술자들에게 휴양기능 증진을 위한 숲가꾸기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적극행정, 정부혁신 우수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사업지로는 생활권 연접지역으로 주변 등산로와 산림욕장이 위치해 지역주민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산림에 대한 숲가꾸기로 경관미를 높이고 쾌적한 환경을 최대한 제공한 ‘전라남도 장성군’과 중ㆍ상층목 밀도 조절을 통한 생태적 활력도 제고로 산림의 대기정화, 미세먼지 흡수 기능 등을 더욱 강화한 ‘충청남도 서산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수원함양 기능 증진을 위해 시행한 ‘정선국유림관리소’와 수목장림에 대한 체계적 숲 관리 선도적 사례를 보여준 ‘부여국유림관리소’가 장려로 선정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5개 기관은 포상금과 함께 내년도 해외연수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은 산림청장 상장 및 상패가 수여된다. 전덕하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기능별 산림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향후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1년 우수사업지 장려상 정선국유림관리소 자작나무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남부지방산림청(청장 조병철)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 산불대응태세 강화를 위해 29일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특별교육을 실시한다. 교육대상은 남부지방산림청 및 경상권역을 담당하는 5개 국유림관리소(영주, 영덕, 구미, 울진, 양산)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 기계화진화대 및 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 전문예방진화대의 경우 가을철 산불에 대비해 적극행정 차원에서 현재 조기선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은 ▲ 산불이론 ▲ 산불취약지 예방관리 ▲ 산불 예측분석 시스템 활용 ▲ 현장지휘본부 운영 및 협업대응 등 대형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위한 핵심사항을 다룰 예정이며, 교육강사는 국립산림과학원 안희영 산불예측․분석센터장, 차준희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이 진행한다. 한편, 2020년 4월 발생한 안동 대형산불(피해면적 1,944ha, 피해금액 794억원) 피해지는 산사태 방지를 위한 긴급벌채 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산불에 강한 산벚나무 수종 식재 등 산림복구를 진행중이다. 조병철 남부지방산림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산불발생 시기가 연중화 되고 있으며, 특히 경북지역은 대형산불 위험도가 높아 산불 예방활동과 산불 발생시 신속·정확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교육을 통해 산불현장 대응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여 산불위험에 항시 대비하고, 산불방지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
산림청 인사
- □ 부이사관 승진 및 전보 ▲ 서부지방산림청장 권장현(權長鉉) □ 과(팀)장급 전보 ▲ 코로나19 긴급대응반장 장영신(張永信) ▲ 법무감사담당관 김명종(金明鍾) ▲ 임업통상팀장 정연국(鄭然國) ▲ 정원팀장 송영림(宋榮林) ▲ 영주국유림관리소장 차준희(車俊熙)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인사
-
-
산림청인사 (21.7.27.)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행정지원과임업주사 안우진(安佑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동부지역팀전산주사 정지영(鄭芝英)기획조정관실 근무를 명함산림복지국 산림휴양등산과임업주사 고분아(高粉芽)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 이석원(李碩元)국제산림협력관실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주사 이상현(李相賢)운영지원과 근무를 명함산림보호국 산불방지과임업주사 오태봉(吳泰鳳) 남북산림협력단임업주사 이호영(李浩榮)산림산업정책국 근무를 명함산림산업정책국 산림자원과임업주사 김영곤(金永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휴양사업과임업주사 정은상(鄭恩相) 산림청(휴직복직)임업주사 백길전(白吉錢)산림복지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행정주사 김재기(金載基) 남부지방산림청 울진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 이미영(李美英)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임업연구사 김동갑(金東甲)산림보호국 근무를 명함서부지방산림청 산림재해안전과임업주사 이남식(李南植)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산림병해충연구과임업연구사 이선근(李宣勤)남북산림협력단 근무를 명함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서부지역팀행정주사 방승하(方承夏)산림항공본부 근무를 명함산림보호국 산불방지과임업주사보 장현석(張賢錫)임업주사에 임함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근무를 명함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산림생명정보연구과임업주사 한태원(韓兌源)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행정주사 유재훈(柳在勳)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세계산림총회준비기획단임업주사보 김기령(金技伶)임업주사에 임함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산림교육원 재해방지교육과행정주사보 장영숙(張英淑)행정주사에 임함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산림재해안전과임업주사보 강성호(姜成浩)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보 황판수(黃販守)임업주사에 임함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산림재해안전과행정주사보 황경숙(黃敬淑)행정주사에 임함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행정주사 김미성(金美星)남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서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주사보 김범석(金範錫)임업주사에 임함남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남부지역팀임업주사 류종호(柳鍾浩)남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산림복지국 도시숲경관과임업주사 채웅(蔡熊)중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주사 정영희(鄭永熙)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북부지역팀행정주사 김승룡(金承龍)서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기획조정관실 정보통계담당관실전산주사보 전영진(全永鎭)전산주사에 임함국립산림과학원 근무를 명함남북산림협력단임업연구사 박소영(朴昭映)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북부지역팀임업주사 김장식(金長植)국립산림과학원 근무를 명함산림보호국 산림환경보호과임업연구사 김혁진(金赫鎭)국립수목원 근무를 명함산림항공본부 진천산림항공관리소임업주사 이진수(李璡洙)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임업주사 송인종(宋仁鍾)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전산주사 박영란(朴英蘭)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수원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보 이응범(李應範)세계산림총회준비기획단 근무를 명함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임업주사보 정성갑(鄭成甲)산림산업정책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주사보 김영진(金榮鎭)산림복지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보 민경수(閔庚秀)산림보호국 근무를 명함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행정주사보 유영호(劉永浩)산림항공본부 근무를 명함산림보호국 산림환경보호과임업서기 채요한(蔡요한)임업주사보에 임함산림항공본부 근무를 명함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임업주사보 안현지(安賢智)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근무를 명함산림산업정책국 산림일자리창업팀임업주사보 유주희(柳周希)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산림항공본부 항공지원과임업서기 설진명(薛眞明)임업주사보에 임함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양양국유림관리소행정주사보 문성준(文成準)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서부지방산림청 정읍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 박보현(朴寶賢)임업주사보에 임함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임업주사보 이민수(李敏洙)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남부지방산림청 구미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 이성경(李聖京)임업주사보에 임함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산림항공본부 양산산림항공관리소임업주사보 신유리(申洧利)남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평창국유림관리소임업주사보 이준호(李俊昊)국립수목원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서기 김동환(金東煥)산림산업정책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서기 이한나(李한나)산림보호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 최정근(崔汀根)산림교육원 근무를 명함서부지방산림청 산림재해안전과방송통신서기보 고서형(高瑞享)산림항공본부 근무를 명함산림교육원 교육기획과임업서기 이현민(李賢旻)북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산림산업정책국 산림자원과임업서기 심양훈(沈亮勳)동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임업서기 봉혜진(奉惠眞)중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동부지방산림청 양양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보 이한솔(李한솔)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임업서기보 김지헌(金志憲)서부지방산림청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수원국유림관리소행정서기 김재환(金在桓)국립산림과학원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보 이시형(李始炯)임업서기에 임함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근무를 명함북부지방산림청 홍천국유림관리소임업서기 윤성현(尹星?) 국립산림과학원 운영지원과임업서기 하유나(河裕娜)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근무를 명함2021. 7. 27.산 림 청 장. 끝.
-
- 뉴스광장
- 동정/인사
-
산림청인사 (21.7.27.)
-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4일, 5월의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경북 봉화군 소천면 고선리 일대의 청옥산 생태경영 숲을 선정했다. 청옥산(해발 1,277m)은 백두대간에서 가지 쳐 나간 산자락이 봉화군에서 불끈 치솟아, 산세가 험하고 오지인 곳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보기 힘든 산나물 ‘청옥’이 많이 자라 산 이름으로 따왔다고도 하고, 산 아래 옥(玉) 광산에서 푸른 옥이 많이 나 지어졌다고도 한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일대에 1,000m가 넘는 산이 9개나 될 정도로 산세가 힘차며, 어떠한 산에도 뒤지지 않은 빼어난 풍경을 갖추고 있다. 산림청은 이곳을 금강소나무 육성을 위해 생태경영림으로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곳의 숲길은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될 만큼 이름나 있다. 소나무의 형질이 우수하며 참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산림 수종이 생육하여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 중이다. 2014년도 민간에서 주최한 아름다운 숲길 상을 받았으며, 정상까지 계곡을 따라 3.5km의 거리를 편안히 산책하듯 오를 수 있다. 청옥산 계곡 인근에는 소나무 우량 숲으로 여느 곳에 뒤지지 않고 야영하기 좋은 최고의 휴양림인 ‘국립청옥산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다. 해발 800m에 자리 잡고 있는 휴양림 주변에는 수령이 100년도 넘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송 등이 울창하다. 봄철 계곡 부위에 자생하는 함박꽃나무의 꽃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철엔 피톤치드가 가득한 울창한 숲에서 산림욕하기에 알맞은 장소이다. 특히, 휴양림 내에는 캠핑 애호가들이 전국 최고로 꼽는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 사계절 야영에 불편이 없도록 온수와 전기도 제공된다. 자세한 방문·체험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0) 또는 국립 청옥산자연휴양림(☎054-672-1051)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주요원 국유림경영과장은 “봄철 녹음 짙은 숲에서의 편안한 활동은 몸과 마음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라며, “인근의 백천계곡 등 지역 명소도 찾아가보고 한적한 숲에서 거리 두기 휴식을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4월 15일(목)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금강소나무 숲(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산림유전자원보호 및 다중이용 시설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산림치유원과 함께 산불진화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산불 발생 시 유관기관 간 공조 체계와 산불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하였으며, 내실 있는 훈련을 위해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전문 강사도 참여하였다. 진화훈련에는 산불지휘차 1대, 산불진화차 3대,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3세트, 진화인력(60여 명)이 투입되어 산불 신고·접수, 산불현장지휘본부 설치 및 운영, 지상 진화 초동대응까지 실전과 같은 훈련을 하였다. 영주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등 산불진화장비 숙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자체 초동 진화가 가능하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훈련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초동진화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이 협업하여 긴밀한 공조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선제적인 산림보호 활동 수행과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 일자리 마련을 위해 오는 4월 16일까지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산림보호지원단 5명을 추가 모집한다. * 산림보호지원단 : 재정일자리사업의 일환, 산림특별사법경찰을 보조해 산림 내 불법행위 계도·단속에 참여하고 산림정화 등 각종 산림보호 활동 수행 본 사업은 3월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신청일 기준 영주국유림관리소 관내(영주, 안동, 문경, 의성, 예천, 봉화)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은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저소득층,「한가족 지원법」에 따른 보호대상자 등 취업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자를 우선 선발할 방침이며, 다만 신체적 정신적으로 산림보호 활동 수행이 곤란한 자, 대학교 등 재학생, 재정일자리 창출사업에 참여 중인 자는 지원이 제한된다. 모집공고는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 일모아시스템(www.ilmo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서는 4월 16일까지 영주국유림관리소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 가능하며 관련 지침에 따라 1차 서류심사를 실시하고,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2차 면접을 실시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할 방침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워진 지역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산림보호에 관심 있는 국민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5일 11월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황금빛 단풍이 가득한 경북 봉화군 춘양면 우구치리 일대 낙엽송 숲을 선정했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은 대규모 낙엽송 조림을 성공한 국유림으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며, 임도를 따라 걷기 좋은 숲이다. 산림청에서는 1984년 이 지역에 대규모 낙엽송을 조림한 후 잘 가꾸고 관리하여 지금은 약 8만1천여 그루의 낙엽송이 나무 높이 16~24m로 즐비하여 장대한 숲을 이루고 있다. 낙엽송은 수간이 통직하여 목재용도로 활용이 많이 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조림 수종이다. 단일수종으로는 소나무 다음으로 많이 자라고 있는 낙엽송은 우리나라 숲의 272천ha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낙엽송은 초봄 연두색 신록과 가을의 황금빛 단풍이 아름다워 숲을 더욱 풍성한 색감으로 물들인다. 낙엽송 숲이 펼쳐진 임도를 따라 걷다보면 백두대간 등산로와 만나게 된다. 도래기재에서 옥돌봉을 지나 박달령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 등산로이다. 박달령에서 오전리 마을로 내려오면 톡 쏘는 청량한 약수 ‘오전약수탕’이 있어 갈증을 해소하기 좋다. 박달령은 옛날부터 경북 봉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부보상(負褓商)들이 많이 다녔다고 한다. 그 부보상들에 의하여 물맛 좋기로 유명한 탄산성분이 많이 함유된 오전약수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성종 때 가장 물맛이 좋은 초정(椒井)을 뽑는 전국대회에서 최고의 약수로 뽑혔으며 유리탄산, 망간, 마그네슘이온, 철분 등이 함유되어 위장병과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인근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산림 생물자원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 2018년 조성되었으며,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기 충분하다. 다채로운 식물자원과 아름다운 전시원, 백두대간의 상징인 백두산호랑이, 세계 최초의 야생 식물종자 저장시설인 시드볼트를 보유한 아시아 최고 수준의 수목원이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의 자세한 방문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1)로, 백두대간수목원 방문 안내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054-679-1000)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박현재 국유림경영과장은 “황금빛 낙엽이 저녁노을처럼 펼쳐지는 한적한 우구치리 골짜기에서 백두대간 등산로를 따라 늦가을 숲 여행을 즐겨보시길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1일 올해 3분기 국민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정을 수행한 ‘민원 우수 공무원’ 5명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공무원은 손인영 주무관(정원팀), 황진영, 이정식 주무관(산지정책과), 윤희원 주무관(산림환경보호과), 이기욱 주무관(영주국유림관리소)이 선정됐다. 이날 오전 11시 정부대전청사에서 시상식을 하고, 간담회를 통해 민원정보분석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 및 코로나19 상황이 민원 처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유하였다. 산림청은 민원 담당자의 사기 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민원 우수 공무원을 선발하여 격려와 포상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민원 우수공무원’은 국민신문고에서 처리한 민원 중 민원답변충실도, 처리건수, 처리기간 단축, 민원만족도 등을 합산한 결과 분기별 5명을 선정한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으로 민원 담당자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 상담, 치유프로그램 운영 등이 제한적임에 따라 이달부터 각 부서(소속기관)에서 선정한 민원 담당자 30명에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제공,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에 노력하고 있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코로나19 상황 등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으니 민원인들의 마음을 헤아려 더욱 친절하고 적극적인 민원처리로 국민의 불편을 해소해 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
(국감)숲 가꾸기 및 임도 사업, 경북 지역 예산 홀대 받고 있다고 지적
- 자유한국당 강석호 의원(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군)은 14일 산림청 국정감사에서 봉화군 산림사업을 위한 봉화국유림관리소 신설 필요성을 주장했다. 또 산림청 숲 가꾸기 및 임도 사업 등의 경북 지역 예산이 홀대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유림관리소는 산림 보호를 위해 산불방지 및 진화, 산림환경보호 단속 및 산림정화, 산림병해충 방제, 수해복구 및 산림재해 예방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산림자원의 조성 및 육성을 위해 조림, 숲 가꾸기 등과 관련된 업무수행과 함께 임산물의 생산 및 이용을 위해 목재 및 기타 임산물(송이, 수액 등) 생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봉화군은 영주국유림관리소가 관장한다.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의성군, 예천군이 포함돼 있다. 관장 면적은 총 9만342ha로 이중 봉화군은 50.3%인 4만9305ha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인근 지역인 울진국유림관리소의 관할 구역인 4만9432ha와 비슷한 수준이며, 구미(3만3730ha), 양산(2만6852ha) 관할구역보다 넓다. 민원 사무량도 전체 1309건 중 735건으로 전체의 56%에 달하며, 2019년 9월 현재 전체 328건 중 205건으로 가장 많은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강석호 의원은 "봉화군은 인근 울진·구미·양산 국유림관리소와 비교하면 충분한 국유림 면적과 사업량을 갖추었다"며 "산림청은 봉화군민들의 공공 편의를 위한 국유림관리소 신설을 적극 검토해야 될 것이다"고 촉구했다. 이에 산림청은 "국유림관리소 신설을 위해 행정구역, 산림관리면적, 산림사업량, 민원사무량 등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강 의원은 산림청 숲 가꾸기 및 임도 사업 등의 경북 지역 예산이 홀대 받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산림청이 강석호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이후 숲 가꾸기 및 공공산림가꾸기 인원, 임도사업 등 경북 지역 예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사업은 지자체가 산림청에 사업계획을 요청하면 예산을 5대5로 매칭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국 지역별 산림면적의 경우 강원도가 137만1643ha(21.7%) 로 가장 넓고, 경북이 133만7741ha(21.1%), 경남 70만1903ha(11.4%), 경기 52만68ha(8.2%), 전남 69만237ha(10.9%) 순이다. 사유림은 경북이 96만6702ha로 가장 넓고, 경남이 57만5259ha, 전남 56만7998ha, 강원 48만5779ha 등 이다. 정책숲 가꾸기 사업예산은 2019년도 전체 994억 원 중 전남지역이 170억 원으로 전체의 17.2%에 달했고, 강원도와 경북지역이 각각 158억 원(15.9%)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예산은 전체 1301억 원 중 전남지역이 245억 원으로 전체 24.5%로 가장 높았고, 경북이 215억 원(16.5%), 강원이 201억 원(15.5%) 순이었다. 공공산림 가꾸기(숲 가꾸기 패트롤, 숲 가꾸기 자원조사단,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 인원수는 지난해 전남이 275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262명, 경남 188명, 경북 153명 순이다. 올해는 강원 249명, 전남 233명, 경남 178명, 경북 140명으로 나타났다. 임도시설 보수 및 유지관리 사업 예산은 지역 편차가 극명해 지난해 경북지역 예산은 3억7000만 원으로 전년 12억7000만 원의 약 25% 수준에 불과했다. 이에 산림청은 "지자체별 사업량 수요조사 결과, 지역별 특수성, 사업 수행의지, 최근 배정량 및 사업 실적, ‘18년 예산확보 규모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배정했다"며 "공공산림 가꾸기의 경우 전체 예산 감소와 지자체별 수요량을 감안했다"고 답변했다. 경북 지역은 산림의 비중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고 특히 사유림의 경우 면적이 가장 넓으며, 사업 신청량과 사업 의지도 다른 지자체에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 정책숲 가꾸기 사업의 경북지역 신청 및 배정량을 보면 △2019년 3만7907ha 신청에 1만9380ha, △2018년 4만3136ha 신청에 2만6585ha 배정받았다. 강 의원은 “문재인 정부 이후 정책숲 가꾸기 사업, 공공산림 가꾸기, 임도시설 사업 등이 지역별 산림면적 및 신청량 등과 관계없이 특정지역의 예산이 확대되고 있다”며 “산림청은 관련 사업의 예산이 균형 있고 공정하게 집행되어야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
- 뉴스광장
- 산림정책
-
(국감)숲 가꾸기 및 임도 사업, 경북 지역 예산 홀대 받고 있다고 지적
-
-
영주국유림관리소, 고용노동부 합동 안전사고예방 교육 실시
-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는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및 독충류(벌, 뱀, 진드기 등) 등 산림사업장 내 안전사고 위험에 대비하여 “여름철 산림사업장 안전사고예방교육”을 7월 18일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은 고용노동부 영주고용노동지청 근로감독관과 안전보건공단 안전교육 전문가를 초빙하여 영주국유림관리소 회의실에서 국유림영림단, 숲가꾸기패트롤 등 15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여름철 폭염 시 작업장에서 많이 발생하는 온열질환(일사병, 열사병, 열경련 등)의 증상과 예방법 및 작업중 안전사고 발생시 응급처치요령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7∼8월은 독충류에 신체부위 노출이 큰 만큼 피해 예방법 및 대처법에 대한 교육도 병행실시하였다. 영주국유림관리소 자원조성팀 김기한 팀장은 “안전사고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산림사업은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사고 발생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근로자들의 안전 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이에 필요한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고용노동부 합동 안전사고예방 교육 실시
-
-
영주시, 산불예방을 위한 유관기관‧단체 합동 캠페인 실시
- 경북 영주시는 4월 안전점검의 날을 맞아 지난 17일 소백산국립공원 희방매표소 입구에서 산불예방을 위한 유관기관‧단체 합동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실시했다. 영주시를 비롯한 영주국유림관리소, 영주소방서, 소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등 10개 기관‧단체 100여명이 참여한 이번 캠페인은 기온이 상승하면서 산을 찾는 등산객 및 상춘객의 증가 등으로 산불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산불예방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참여의식을 확신시키고자 마련됐다. 이날 캠페인은 ‘산불 없는 영주 만들기’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소백산 국립공원 내 산림훼손행위 단속 및 산지정화활동을 실시해 산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영주시 관계자는 “소중한 산림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산행 시 화기물 소지금지, 야영 및 취사행위금지 등 산불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산불예방활동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영주시, 산불예방을 위한 유관기관‧단체 합동 캠페인 실시
-
-
영주시, 제73회 식목일 기념 나무심기 행사
- 영주시(시장 장욱현)는 제73회 식목일을 맞아 4월 5일 오전 10시30분부터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산43번지 일원 임야 2.0ha에서 소나무 수고 1.2∼1.5m정도 2,000본을 식재하는 나무심기 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나무심기 행사는 영주시청 공무원과 영주시산림조합,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산양산산삼약초홍보교육관, 근로복지공단영주지사, 지역기관단체 임직원 등 200여명이 참여했다. 앞서 시는 3월 29일 서천둔치 영주교 아래에서 영주국유림관리소와 합동으로 시민이 함께하는 나무심기 분위기 조성을 위해 시민들에게 1인당 5그루씩 나무 나누어 주기 행사를 개최해 큰 호응을 얻었다. 영주시는 나무심기 기간 중 벌채 허가지를 중심으로 수종 갱신지 등 38ha를 대상으로 경제수, 특용수 등 7만여 그루를 식재하여 산림의 공익적 기능과 경제·환경적 가치를 증진시킴은 물론 나무심기를 통해 산림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고 탄소 흡수원도 확보하여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시민들의 이용이 많은 생활권 주변에 많은 나무를 심고 쾌적한 녹색공간을 지속적으로 조성하여 ‘시민이 행복한 숲’ 힐링중심, 행복영주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영주시, 제73회 식목일 기념 나무심기 행사
-
-
영주시, 아지동에 ‘유아숲체험원 조성’
- 경북 영주시에서도 유아들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유아숲 체험원’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영주시(시장 장욱현)는 올해 아지동 청소년야영장 주변 시유림(아지동 산17번지 일원)에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영주시는 유니세프 인증 아동친화도시와 더불어 산림휴양 복지도시를 만들기 위해 2016년부터 유아숲체험원 조성을 추진했다. 지난해 지역특별회계 예산 2억 원을 확보해 올해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유아숲체험원은 아이들이 숲속에서 마음껏 뛰놀고 오감을 통해 자연을 교감하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생태놀이, 관찰학습 등 야외생태학습 공간을 조성하고 대피시설, 안전시설, 휴게시설 등을 갖춘다. 또, 숲 체험을 인위적인 학습이 아닌 자연 그대로 생태환경을 최대한 유지하고 다양한 놀이체험활동이 가능한 자연 시설물을 설치해 숲과 자연이 하나가 되는 소중한 시간을 배우는 체험공간으로 조성된다. 특히, 산림교육 전문가(유아숲지도사)를 현장에 배치해 숲체험을 원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계절별 차별화된 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전국의 유아숲체험원 선진 시설을 견학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학부모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최대한 의견을 반영할 예정이다. 현재 영주 지역에는 영주국유림관리소가 운영하는 유아숲체험장과 부석에 위치한 산양산삼·산약초 홍보교육관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을 하는 누리과정 교육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관내 유아의 수에 비해 수용할 수 있는 시설 및 프로그램이 한정되어 있어 모든 유아들에게 산림교육의 기회가 골고루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주시 관계자는 “숲은 아이들이 맘껏 뛰어놀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최고의 교육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관내 아이들이 평등하게 누리지 못했던 숲에서의 교육을 올해부터는 많은 아이들이 누릴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유아숲체험원 조성이 ‘힐링중심, 행복영주!’와 더불어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한 ‘아동친화도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영주시, 아지동에 ‘유아숲체험원 조성’
-
-
영주시, 아지동에 ‘유아숲 체험원’ 조성
- 경북 영주시에서도 유아들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유아숲 체험원’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영주시는 올해 아지동 청소년야영장 주변 시유림(아지동 산17번지 일원)에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영주시는 유니세프 인증 아동친화도시와 더불어 산림도시에 걸 맞는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2016년부터 유아숲체험원 조성을 계획했다. 지난해 지역특별회계 예산 2억원을 확보해 올해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유아숲체험원은 아이들이 숲속에서 마음껏 뛰놀고 오감을 통해 자연을 교감하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생태놀이, 관찰학습 등 야외생태학습 공간을 조성하고 대피시설, 안전시설, 휴게시설 등을 갖춘다. 또 숲 체험을 인위적인 학습이 아닌 자연 그대로 생태환경을 최대한 유지하고 다양한 놀이체험활동이 가능한 자연 시설물을 설치해 숲과 자연이 하나가 되는 소중한 시간을 배우는 체험공간으로 조성된다. 특히, 산림교육 전문가(유아숲지도사)를 현장에 배치해 숲체험을 원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계절별 차별화된 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전국의 유아숲체험원 선진 시설을 견학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학부모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최대한 의견을 반영할 예정이다. 현재 영주 지역에는 영주국유림관리소가 운영하는 유아숲체험장과 부석에 위치한 산양산삼·산약초 홍보교육관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을 하는 누리과정 교육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관내 유아의 수에 비해 수용할 수 있는 시설 및 프로그램이 한정돼 있어 모든 유아들에게 산림교육의 기회가 골고루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주시 관계자는 “숲은 아이들이 맘껏 뛰어놀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최고의 교육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관내 아이들이 평등하게 누리지 못했던 숲에서의 교육을 올해부터는 많은 아이들이 누릴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유아숲체험원 조성이 ‘힐링중심, 행복영주!’와 더불어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한 ‘아동친화도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3p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영주시, 아지동에 ‘유아숲 체험원’ 조성
산림행정 검색결과
-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023년 1월 6일 김명종(58)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김명종 소장은 전북 전주 출신으로 1988년 공직생활을 시작해 산림청 법무감사담당관실, 산림보호국, 단양ㆍ영주국유림관리소장, 국회연락관, 대통령직속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 위원회 파견, 독일 산림연구기관 파견, 임업기계훈련원 교관 등을 두루 거친 산림정책업무에서 최일선 현장 업무까지 정통한 산림행정의 전문가이다. 앞으로 전국 45개 국립자연휴양림을 책임지고 이끌어갈 김명종 신임 소장은, ‘지역환경과 특성에 맞는 시설보완 및 현대화’, ‘고품질 산림휴양 서비스 제공’,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산림휴양 산업화’, ‘안전이 확보된 휴양림 서비스 구축’ 등을 강조하며 책임운영기관장으로서 각오를 밝혔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취임사에서 “국립자연휴양림은 공공재로서 국민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휴식처 역할을 다하고, 가용자원과 역량을 국민에게 최대한 제공하여 국립자연휴양림에서 숲으로 잘사는 산림르네상스를 실행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지난 10월 초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다양한 숲가꾸기 우수 사례를 널리 알려 전국의 숲가꾸기 사업 현장 곳곳에 적용하기 위해 지난 9월 30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 및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우수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우수 사업지 선정은 각 기관에서 제출한 대상지에 대한 1차 서류평가(50점)와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참여하는 2차 현장평가(50점) 점수를 합산하여 선정하는 방법으로, 숲가꾸기 사업 추진부터 완료까지 사업 전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올해 제출된 10개 사업지를 대상으로 평가를 거쳐 최종 4개 사업지를 선정하였으며, 최우수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공주시, 장려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경상북도 청송군이 각각 선정되었다. 선정된 4개 기관에는 포상금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에는 산림청장 상장과 상패가 수여된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평소 지역주민의 방문이 많은 등산로 주변이며, 송진이 많아 산불에 취약한 잣나무 단순림이 주로 분포하여 재해 예방을 위한 숲 관리 필요성이 높은 지역이다. 이에, 인제국유림관리소는 산불에 강한 숲 조성을 목표로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등산로에 인접한 산림을 핵심구역으로 설정해 잣나무 위주로 솎아베기를 실시하고, 벌채된 산물을 전량 수집하여 향후 산불 발생 시 연료 물질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대형산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또한, 가지가 많은 잣나무의 특성상 숲 하층에서 다양한 식생이 자라나기 어려웠으나, 잣나무를 솎아베어 줌으로써 다른 나무가 생육할 수 있는 공간과 충분한 빛을 확보해주어 하층에 현사시나무 및 아까시나무가 생육하는 등 점차 산불에 강한 다층혼합림으로 발달하도록 유도하였다. 우수 사업지로는 사업 추진 단계부터 산주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산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사업 만족도를 높이고, 숲가꾸기 산물을 매각해 산주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는 등 산림기능과 산주의 필요를 모두 고려해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한 ‘충청남도 공주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목재생산 기능과 휴양 기능을 함께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숲가꾸기를 실시한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와 생활권과 도로 연접지역에 대해 소나무류 밀도를 조절하여 산불에 강한 숲으로 유도한 ‘경상북도 청송군’이 장려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산림청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산림의 기능에 따라 차별화된 숲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전국 산림 현장에서 숲가꾸기 사업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 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앞으로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10일 경북 청송 임업인종합연수원에서 「제1회 드론 및 모바일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대회에는 5개 지방산림청에서 재해・경영・자원 등 업무 담당자들로 구성된 14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특히 참가자의 42%는 임용 2년 미만의 신임 공무원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대회는 산림 현장에서 스마트(지능형) 기술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으며, 산림조사 대상지 선정에서 결과 도출까지의 과정에 드론, 산림공간정보시스템, 스마트(지능형)항공사진 및 스마트(지능형) 현장 기록지(야장) 등 활용 능력을 겨루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지방청 및 소속 국유림관리소에 보급된 산림드론이 산불, 병해충 등 재난 분야에서 산림경영, 자원조사 및 재산관리 등 산림사업 분야로 활용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으며, 단순 비행 또는 촬영에만 그치지 않고 영상 데이터를 가공,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경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4개 참가팀 가운데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팀이 최우수 팀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우수팀 외에도 우수 2팀, 장려 4팀을 선정하여 격려하였다. 산림청 강대익 정보통계담당관은 “본 대회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 친숙한 엠지(MZ) 세대 공무원들이 스마트(지능형) 산림 기술의 업무 활용 방안을 익히고, 활용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 디지털 기반의 산림행정이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원경)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7일 ‘2022년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은 2019년 처음 시작해 올해 4회째이며, 산림경영목표를 고려한 맞춤형 조림(적지적수, 適地適樹)과 체계적인 관리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을 조성한 조림지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평가는 각 국유림관리소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지 10년 이상 경과한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9월 서류 및 현장평가를 실시해 최종 6개소를 선정하였다. ’19년에는 대면적(5ha이상) 조림지, ’20년에는 활엽수 조림지, ’21년에는 밀원수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 최우수 조림지로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가 선정되었다. * 최우수(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우수(북부지방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중부지방산림청 단양국유림관리소), 장려(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전라남도 장성군) 산림청 우수조림지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근경)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는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일원에 위치하며, 2011년 조림한 지역으로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적절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난대지역의 기후 특성 및 산림의 기능 구분에 따라 산림을 조성에 적절한 수종을 선정하였으며, 주민설명회 및 현장설명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는 점이 높게 평가되었다.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탄소흡수원이자 저장고인 산림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일”이라며, “조림 목적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우수조림지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숲을 보다 건강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가는 구심점으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이창재)은 제15차 세계산림총회 개최를 맞아 비대면 산림복지 콘텐츠 및 PC 기증 행사를 5월 2일 서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산림복지를 통한 공적개발원조(ODA)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영주국유림관리소 임직원 등 20여 명이 함께 참여했다. 기증 물품은 지난 3월 대국민 공모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선정한 산림복지 영상 콘텐츠 4점, 비대면 산림복지·치유 프로그램 키트 400인분, 재활용 PC 60여 대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통해 캄보디아 등 개발도상국에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비대면 키트는 전국의 산림복지시설에서 지역 중·소상공인과 함께 기획하였으며, 중·소상공인의 다양한 판로개척 등에 시범적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국외 개발도상국 취약계층의 산림치유와 산림복지 협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재 원장은 “이번 기증식은 PC를 재활용을 통해 탄소절감을 실천하고, 우수한 산림복지 콘텐츠를 해외로 전파하여 세계인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라며 “아시아 지역의 산림복지 협력관계가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낙엽송 조림지 작업후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지난 10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의 우수사례를 찾아 알리고 건강한 산림조성을 위한 숲 관리 방향 제시 등을 위해 지난 9월 29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산림 기능에 따른 우수 숲가꾸기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선정 대상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실행한 숲가꾸기(경제림가꾸기, 공익림가꾸기, 산불예방숲가꾸기)실행지로, 설계와 감리 모두 용역으로 시행한 큰나무가꾸기 사업 완료지이다. * 경제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산물수집을 200㎥ 이상 실행한 침엽수림 * 공익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주기능을 5대 공익기능으로 선정하여 추진한 개소 * 산불예방숲가꾸기는 생활권 대형 산불 등 재해예방을 위한 작업을 추진한 개소 지원 서류를 제출한 12개소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협회 전문가들의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5개 사업장이 선정되었다. 올해 선정된 우수사업장은 ▲최우수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서산시, 전라남도 장성군 ▲장려 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영주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영주시 봉현면 국립산림치유원에 있는 산림휴양림으로 치유원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휴식처를 제공할 목적으로 경관수종, 지역특색수종 등이 다양하게 어우러짐으로 경관적 가치와 휴양적 기능이 높게 요구되는 지역이다.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활엽수 집단생육지 작업후 국립산림치유원 이용객들에게 다채로운 경관과 볼거리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숲에서 다양한 체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숲으로 조성하기 위한 여러 모형, 세부 작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숲가꾸기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지 못한 세부 작업법까지 사업 추진 담당자의 노력으로 구현하여, 향후 산림공무원, 산림기술자들에게 휴양기능 증진을 위한 숲가꾸기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적극행정, 정부혁신 우수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사업지로는 생활권 연접지역으로 주변 등산로와 산림욕장이 위치해 지역주민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산림에 대한 숲가꾸기로 경관미를 높이고 쾌적한 환경을 최대한 제공한 ‘전라남도 장성군’과 중ㆍ상층목 밀도 조절을 통한 생태적 활력도 제고로 산림의 대기정화, 미세먼지 흡수 기능 등을 더욱 강화한 ‘충청남도 서산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수원함양 기능 증진을 위해 시행한 ‘정선국유림관리소’와 수목장림에 대한 체계적 숲 관리 선도적 사례를 보여준 ‘부여국유림관리소’가 장려로 선정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5개 기관은 포상금과 함께 내년도 해외연수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은 산림청장 상장 및 상패가 수여된다. 전덕하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기능별 산림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향후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1년 우수사업지 장려상 정선국유림관리소 자작나무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남부지방산림청(청장 조병철)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 산불대응태세 강화를 위해 29일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특별교육을 실시한다. 교육대상은 남부지방산림청 및 경상권역을 담당하는 5개 국유림관리소(영주, 영덕, 구미, 울진, 양산)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 기계화진화대 및 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 전문예방진화대의 경우 가을철 산불에 대비해 적극행정 차원에서 현재 조기선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은 ▲ 산불이론 ▲ 산불취약지 예방관리 ▲ 산불 예측분석 시스템 활용 ▲ 현장지휘본부 운영 및 협업대응 등 대형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위한 핵심사항을 다룰 예정이며, 교육강사는 국립산림과학원 안희영 산불예측․분석센터장, 차준희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이 진행한다. 한편, 2020년 4월 발생한 안동 대형산불(피해면적 1,944ha, 피해금액 794억원) 피해지는 산사태 방지를 위한 긴급벌채 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산불에 강한 산벚나무 수종 식재 등 산림복구를 진행중이다. 조병철 남부지방산림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산불발생 시기가 연중화 되고 있으며, 특히 경북지역은 대형산불 위험도가 높아 산불 예방활동과 산불 발생시 신속·정확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교육을 통해 산불현장 대응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여 산불위험에 항시 대비하고, 산불방지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
산림청 인사
- □ 부이사관 승진 및 전보 ▲ 서부지방산림청장 권장현(權長鉉) □ 과(팀)장급 전보 ▲ 코로나19 긴급대응반장 장영신(張永信) ▲ 법무감사담당관 김명종(金明鍾) ▲ 임업통상팀장 정연국(鄭然國) ▲ 정원팀장 송영림(宋榮林) ▲ 영주국유림관리소장 차준희(車俊熙)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인사
-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4일, 5월의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경북 봉화군 소천면 고선리 일대의 청옥산 생태경영 숲을 선정했다. 청옥산(해발 1,277m)은 백두대간에서 가지 쳐 나간 산자락이 봉화군에서 불끈 치솟아, 산세가 험하고 오지인 곳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보기 힘든 산나물 ‘청옥’이 많이 자라 산 이름으로 따왔다고도 하고, 산 아래 옥(玉) 광산에서 푸른 옥이 많이 나 지어졌다고도 한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일대에 1,000m가 넘는 산이 9개나 될 정도로 산세가 힘차며, 어떠한 산에도 뒤지지 않은 빼어난 풍경을 갖추고 있다. 산림청은 이곳을 금강소나무 육성을 위해 생태경영림으로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곳의 숲길은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될 만큼 이름나 있다. 소나무의 형질이 우수하며 참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산림 수종이 생육하여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 중이다. 2014년도 민간에서 주최한 아름다운 숲길 상을 받았으며, 정상까지 계곡을 따라 3.5km의 거리를 편안히 산책하듯 오를 수 있다. 청옥산 계곡 인근에는 소나무 우량 숲으로 여느 곳에 뒤지지 않고 야영하기 좋은 최고의 휴양림인 ‘국립청옥산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다. 해발 800m에 자리 잡고 있는 휴양림 주변에는 수령이 100년도 넘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송 등이 울창하다. 봄철 계곡 부위에 자생하는 함박꽃나무의 꽃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철엔 피톤치드가 가득한 울창한 숲에서 산림욕하기에 알맞은 장소이다. 특히, 휴양림 내에는 캠핑 애호가들이 전국 최고로 꼽는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 사계절 야영에 불편이 없도록 온수와 전기도 제공된다. 자세한 방문·체험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0) 또는 국립 청옥산자연휴양림(☎054-672-1051)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주요원 국유림경영과장은 “봄철 녹음 짙은 숲에서의 편안한 활동은 몸과 마음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라며, “인근의 백천계곡 등 지역 명소도 찾아가보고 한적한 숲에서 거리 두기 휴식을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4월 15일(목)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금강소나무 숲(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산림유전자원보호 및 다중이용 시설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산림치유원과 함께 산불진화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산불 발생 시 유관기관 간 공조 체계와 산불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하였으며, 내실 있는 훈련을 위해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전문 강사도 참여하였다. 진화훈련에는 산불지휘차 1대, 산불진화차 3대,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3세트, 진화인력(60여 명)이 투입되어 산불 신고·접수, 산불현장지휘본부 설치 및 운영, 지상 진화 초동대응까지 실전과 같은 훈련을 하였다. 영주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등 산불진화장비 숙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자체 초동 진화가 가능하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훈련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초동진화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이 협업하여 긴밀한 공조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선제적인 산림보호 활동 수행과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 일자리 마련을 위해 오는 4월 16일까지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산림보호지원단 5명을 추가 모집한다. * 산림보호지원단 : 재정일자리사업의 일환, 산림특별사법경찰을 보조해 산림 내 불법행위 계도·단속에 참여하고 산림정화 등 각종 산림보호 활동 수행 본 사업은 3월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신청일 기준 영주국유림관리소 관내(영주, 안동, 문경, 의성, 예천, 봉화)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은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저소득층,「한가족 지원법」에 따른 보호대상자 등 취업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자를 우선 선발할 방침이며, 다만 신체적 정신적으로 산림보호 활동 수행이 곤란한 자, 대학교 등 재학생, 재정일자리 창출사업에 참여 중인 자는 지원이 제한된다. 모집공고는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 일모아시스템(www.ilmo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서는 4월 16일까지 영주국유림관리소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 가능하며 관련 지침에 따라 1차 서류심사를 실시하고,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2차 면접을 실시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할 방침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워진 지역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산림보호에 관심 있는 국민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5일 11월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황금빛 단풍이 가득한 경북 봉화군 춘양면 우구치리 일대 낙엽송 숲을 선정했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은 대규모 낙엽송 조림을 성공한 국유림으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며, 임도를 따라 걷기 좋은 숲이다. 산림청에서는 1984년 이 지역에 대규모 낙엽송을 조림한 후 잘 가꾸고 관리하여 지금은 약 8만1천여 그루의 낙엽송이 나무 높이 16~24m로 즐비하여 장대한 숲을 이루고 있다. 낙엽송은 수간이 통직하여 목재용도로 활용이 많이 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조림 수종이다. 단일수종으로는 소나무 다음으로 많이 자라고 있는 낙엽송은 우리나라 숲의 272천ha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낙엽송은 초봄 연두색 신록과 가을의 황금빛 단풍이 아름다워 숲을 더욱 풍성한 색감으로 물들인다. 낙엽송 숲이 펼쳐진 임도를 따라 걷다보면 백두대간 등산로와 만나게 된다. 도래기재에서 옥돌봉을 지나 박달령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 등산로이다. 박달령에서 오전리 마을로 내려오면 톡 쏘는 청량한 약수 ‘오전약수탕’이 있어 갈증을 해소하기 좋다. 박달령은 옛날부터 경북 봉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부보상(負褓商)들이 많이 다녔다고 한다. 그 부보상들에 의하여 물맛 좋기로 유명한 탄산성분이 많이 함유된 오전약수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성종 때 가장 물맛이 좋은 초정(椒井)을 뽑는 전국대회에서 최고의 약수로 뽑혔으며 유리탄산, 망간, 마그네슘이온, 철분 등이 함유되어 위장병과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인근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산림 생물자원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 2018년 조성되었으며,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기 충분하다. 다채로운 식물자원과 아름다운 전시원, 백두대간의 상징인 백두산호랑이, 세계 최초의 야생 식물종자 저장시설인 시드볼트를 보유한 아시아 최고 수준의 수목원이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의 자세한 방문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1)로, 백두대간수목원 방문 안내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054-679-1000)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박현재 국유림경영과장은 “황금빛 낙엽이 저녁노을처럼 펼쳐지는 한적한 우구치리 골짜기에서 백두대간 등산로를 따라 늦가을 숲 여행을 즐겨보시길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
2020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지난 11월 6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의 우수사례를 찾아 알리고 건강한 산림조성을 위한 숲 관리 방향 제시 등을 위해 지난 10월 28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산림 기능에 따른 우수 숲가꾸기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선정 대상은 2019년 하반기 이후 실행한 숲가꾸기(경제림가꾸기, 공익림가꾸기)실행지로, 설계와 감리 모두 용역으로 시행한 큰나무가꾸기 사업 완료지이다. * 경제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산물수집을 200㎥ 이상 실행한 침엽수림 * 공익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주기능을 5대 공익기능으로 선정하여 추진한 개소 지원 서류를 제출한 12개소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협회 전문가들의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5개 사업장이 선정되었다. 올해 선정된 우수사업장은 ▲최우수 동부지방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 ▲우수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경상북도 예천군 ▲장려 북부지방산림청 홍천국유림관리소, 전라북도 완주군이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삼척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삼척시 도계읍 백두대간보호구역에 위치한 자연환경보전림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산림자원이 건강하게 보전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산림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지역이다. 삼척국유림관리소는 백두대간보호구역에 분포하는 낙엽송 인공림에 대한 천연 식생으로 유도, 수종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작업 구현 등 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숲가꾸기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지 못한 세부 작업법까지 사업 추진 담당자의 노력과 적극적인 행정추진을 통해 구현하여, 향후 산림공무원, 산림기술자들에게 보호구역 내 숲가꾸기 등 산림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모형림으로의 역할과 적극행정 추진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사업지로는 공원 연접지역으로 산림 휴양객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산림에 대한 숲가꾸기로 경관미를 제고하고 쾌적한 환경과 휴식처를 최대한 제공한 ‘영주국유림관리소’와 수자원 확보와 더불어 휴양기능 증진을 연계하여 숲가꾸기를 실행한 ‘경상북도 예천군’이 선정되었다. 특히, 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영주국유림관리소와 예천군은 국·사유림 구분 없이 양 기관 협업 등 기관 간 ‘칸막이 없는 적극행정’을 통한 완결 사업으로 추진한 점 등이 아주 좋은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그 외 편백나무 숲 치유 기능 증진을 위해 시행한 ‘전라북도 완주군’과 횡성치유원 연접 산림에 대한 적정 숲 관리로 이용객의 휴양적 기능을 최대한 제공한 ‘홍천국유림관리소’가 장려로 선정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5개 기관은 포상금과 함께 내년도 해외연수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은 산림청장 상장 및 상패가 수여된다. 산림청 황성태 산림자원과장은 “기능별 산림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향후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0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1일 올해 3분기 국민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정을 수행한 ‘민원 우수 공무원’ 5명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공무원은 손인영 주무관(정원팀), 황진영, 이정식 주무관(산지정책과), 윤희원 주무관(산림환경보호과), 이기욱 주무관(영주국유림관리소)이 선정됐다. 이날 오전 11시 정부대전청사에서 시상식을 하고, 간담회를 통해 민원정보분석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 및 코로나19 상황이 민원 처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유하였다. 산림청은 민원 담당자의 사기 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민원 우수 공무원을 선발하여 격려와 포상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민원 우수공무원’은 국민신문고에서 처리한 민원 중 민원답변충실도, 처리건수, 처리기간 단축, 민원만족도 등을 합산한 결과 분기별 5명을 선정한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으로 민원 담당자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 상담, 치유프로그램 운영 등이 제한적임에 따라 이달부터 각 부서(소속기관)에서 선정한 민원 담당자 30명에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제공,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에 노력하고 있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코로나19 상황 등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으니 민원인들의 마음을 헤아려 더욱 친절하고 적극적인 민원처리로 국민의 불편을 해소해 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
제20대 한창술 서부지방산림청장 취임
- 제20대 서부지방산림청장으로 산림청 한창술 산림자원과장이 1일 새로 취임하였다. 한 청장은 전북 남원 출신으로 전북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산림자원과 및 해외조림 등을 맡아 산림조성의 기반을 마련하고, 정읍국유림관리소장, 영주국유림관리소장, 북부청 산림재해안전과장, 산림자원과장을 역임하는 등 산림정책·현장 업무까지 두루 정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산림행정
- 서부지방청
-
제20대 한창술 서부지방산림청장 취임
-
-
산림청 안동산림항공관리소,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교육훈련 실시
- 산림청 안동산림항공관리소(소장 김위동)는 6월 15일 남부지방산림청(12명), 구미국유림관리소(11명), 영주국유림관리소(11명)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34명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훈련은 올해 4월 말에 발생한 안동산불의 현장 상황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시작으로 산불진화 이론, 헬기 물 투하 시 대피요령, 응급처치 이론·실습을 병행하며, 산불 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진화방법에 대해서 실습 교육을 진행했다. 김위동 소장은“이번 교육훈련은 특수진화대원들이 실제 산불 현장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산불진화를 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에 집중하여 교육훈련을 실시했다.”라며, “적극행정을 통해 우리 안동산림항공관리소 뿐만 아니라 지방청 특수진화대원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산불 확산을 저지하고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항공본부
-
산림청 안동산림항공관리소,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교육훈련 실시
-
-
산림청 인사
- ▲산림병해충방제과장 강혜영(姜惠英) ▲혁신행정담당관 김기현(金祺峴) ▲국제협력담당관 안병기(安炳岐) ▲해외자원담당관 함태식(咸泰植) ▲산림정책과장 하경수(河京秀) ▲산림복지정책과장 정철호(鄭徹鎬) ▲백두대간보전팀장 김주미(金珠美) ▲영주국유림관리소장 김명종(金明鍾)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인사
-
-
산림청, 올해 민원만족도 높인 으뜸 민원공무원 선정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2월 17일 올 한해 국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민원행정을 수행한 ‘올해의 으뜸 민원공무원’ 6명과 4분기 민원 우수공무원 5명 등 총 11명을 선정했다. ‘올해의 으뜸 민원공무원’과 ‘4분기 민원 우수공무원’은 국민신문고에서 처리한 민원 중 민원답변충실도, 처리건수, 민원만족도 등을 합산한 결과로 선정됐다. 산림청은 민원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담당자 사기증진을 위해 민원 우수 공무원을 선발하여 격려를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의 으뜸 공무원으로 선정된 공무원은 이기욱 주무관(영주국유림관리소), 김동성 주무관(영덕국유림관리소), 박혜령 주무관(남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 손인영·임재운 주무관(산지정책과), 이상직 주무관(산림자원과)이며, 종합순위 1위인 이기욱 주무관에게는 산림청장 표창을 수여하였다. 4분기 민원 우수공무원은 안진호 주무관(산불방지과), 정경득 주무관(사유림경영소득과), 정남림 주무관(산림일자리창업팀), 이윤희 주무관(산지정책과), 송년용 주무관(부여국유림관리소) 이다. 시상식과 간담회는 17일 오전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렸으며, 올 한해 관심 민원과 고충민원 처리사례 등을 공유하였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직무대리)은 “앞으로도 적극적인 민원처리로 최상의 민원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올해 민원만족도 높인 으뜸 민원공무원 선정
-
-
가을철 산불을 대비한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산불진화 및 안전교육
-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안동산림항공관리소(소장 김위동)는 25일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24명(남부지방산림청 특수진화대·10명, 영주국유림관리소 특수진화대·14명)대상으로 산불진화 교육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훈련은 남부지방산림청과 영주국유림관리소의 요청으로 실시하게 되었으며,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특수진화대의 지상진화 역량을 강화하고 산불진화시 헬기안전·안전장비 사용방법과 진화선 구축 및 산불현장안전 등 효율적인 진화요령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김위동 소장은 “이번 교육훈련으로 산림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각 기관의 산불진화 경험과 노하우 교류를 통해 산불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산불진화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항공본부
-
가을철 산불을 대비한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산불진화 및 안전교육
-
-
선도 산림경영단지 기본계획 수립 위해 한자리에 모여
- 평창국유림관리소(소장 김만제)는 규모화 된 산림경영을 통한 경영 성공모델 개발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고 2019. 11. 18일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기본계획 수립은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수립(2018-2037)에 따른 전략 변경 등 경영환경을 반영한 계획수립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국유림 선도 산림경영단지는 전국적으로 5개소이며, 평창국유림관리소는 평창군 봉평면 일원의 8,609ha의 국유림을 봉평 선도산림경영단지로 운영하고 있다. 국유림 선도 산림경영단지(5개소) : 가리산(홍천국유림관리소), 봉평(평창국유림관리소), 장군봉(영주국유림관리소), 샘봉산(보은국유림관리소), 민주지산(무주국유림관리소) 이번 선도 산림경영단지 기본계획 수립은 국유림 5개 선도 산림경영단지가 동시에 추진함으로 전문기관 컨설팅을 통하여 실현가능한 목표 수립과 실행전략 도출 등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하고자 한다. 김만제 평창국유림관리소장은 “선도단지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산림자원순환경제 등 사업성과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계획수립을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동부지방청
-
선도 산림경영단지 기본계획 수립 위해 한자리에 모여
산림산업 검색결과
-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지난 10월 초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다양한 숲가꾸기 우수 사례를 널리 알려 전국의 숲가꾸기 사업 현장 곳곳에 적용하기 위해 지난 9월 30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 및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우수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우수 사업지 선정은 각 기관에서 제출한 대상지에 대한 1차 서류평가(50점)와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참여하는 2차 현장평가(50점) 점수를 합산하여 선정하는 방법으로, 숲가꾸기 사업 추진부터 완료까지 사업 전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올해 제출된 10개 사업지를 대상으로 평가를 거쳐 최종 4개 사업지를 선정하였으며, 최우수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공주시, 장려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경상북도 청송군이 각각 선정되었다. 선정된 4개 기관에는 포상금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에는 산림청장 상장과 상패가 수여된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평소 지역주민의 방문이 많은 등산로 주변이며, 송진이 많아 산불에 취약한 잣나무 단순림이 주로 분포하여 재해 예방을 위한 숲 관리 필요성이 높은 지역이다. 이에, 인제국유림관리소는 산불에 강한 숲 조성을 목표로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등산로에 인접한 산림을 핵심구역으로 설정해 잣나무 위주로 솎아베기를 실시하고, 벌채된 산물을 전량 수집하여 향후 산불 발생 시 연료 물질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대형산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우수 사업지-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 또한, 가지가 많은 잣나무의 특성상 숲 하층에서 다양한 식생이 자라나기 어려웠으나, 잣나무를 솎아베어 줌으로써 다른 나무가 생육할 수 있는 공간과 충분한 빛을 확보해주어 하층에 현사시나무 및 아까시나무가 생육하는 등 점차 산불에 강한 다층혼합림으로 발달하도록 유도하였다. 우수 사업지로는 사업 추진 단계부터 산주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산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사업 만족도를 높이고, 숲가꾸기 산물을 매각해 산주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는 등 산림기능과 산주의 필요를 모두 고려해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한 ‘충청남도 공주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목재생산 기능과 휴양 기능을 함께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숲가꾸기를 실시한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와 생활권과 도로 연접지역에 대해 소나무류 밀도를 조절하여 산불에 강한 숲으로 유도한 ‘경상북도 청송군’이 장려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산림청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산림의 기능에 따라 차별화된 숲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전국 산림 현장에서 숲가꾸기 사업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 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앞으로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2년 숲가꾸기 우수 사업지 선정
-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10일 경북 청송 임업인종합연수원에서 「제1회 드론 및 모바일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대회에는 5개 지방산림청에서 재해・경영・자원 등 업무 담당자들로 구성된 14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특히 참가자의 42%는 임용 2년 미만의 신임 공무원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대회는 산림 현장에서 스마트(지능형) 기술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으며, 산림조사 대상지 선정에서 결과 도출까지의 과정에 드론, 산림공간정보시스템, 스마트(지능형)항공사진 및 스마트(지능형) 현장 기록지(야장) 등 활용 능력을 겨루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지방청 및 소속 국유림관리소에 보급된 산림드론이 산불, 병해충 등 재난 분야에서 산림경영, 자원조사 및 재산관리 등 산림사업 분야로 활용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으며, 단순 비행 또는 촬영에만 그치지 않고 영상 데이터를 가공,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경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4개 참가팀 가운데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팀이 최우수 팀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우수팀 외에도 우수 2팀, 장려 4팀을 선정하여 격려하였다. 산림청 강대익 정보통계담당관은 “본 대회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 친숙한 엠지(MZ) 세대 공무원들이 스마트(지능형) 산림 기술의 업무 활용 방안을 익히고, 활용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 디지털 기반의 산림행정이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공무원, 스마트(지능형) 산림기술 활용 역량 겨룬다
-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원경)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7일 ‘2022년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가 키운 우수조림지’ 선정은 2019년 처음 시작해 올해 4회째이며, 산림경영목표를 고려한 맞춤형 조림(적지적수, 適地適樹)과 체계적인 관리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을 조성한 조림지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평가는 각 국유림관리소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지 10년 이상 경과한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9월 서류 및 현장평가를 실시해 최종 6개소를 선정하였다. ’19년에는 대면적(5ha이상) 조림지, ’20년에는 활엽수 조림지, ’21년에는 밀원수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 최우수 조림지로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가 선정되었다. * 최우수(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우수(북부지방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중부지방산림청 단양국유림관리소), 장려(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전라남도 장성군) 산림청 우수조림지 -영암국유림관리소 조림지(근경)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의 조림지는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일원에 위치하며, 2011년 조림한 지역으로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적절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난대지역의 기후 특성 및 산림의 기능 구분에 따라 산림을 조성에 적절한 수종을 선정하였으며, 주민설명회 및 현장설명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는 점이 높게 평가되었다. 전덕하 산림자원과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탄소흡수원이자 저장고인 산림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일”이라며, “조림 목적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우수조림지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숲을 보다 건강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가는 구심점으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목적과 지역 특성에 맞게 잘 가꾼 숲은 여기!
-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낙엽송 조림지 작업후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지난 10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에 대한 선정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의 우수사례를 찾아 알리고 건강한 산림조성을 위한 숲 관리 방향 제시 등을 위해 지난 9월 29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시·군)와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을 대상으로 산림 기능에 따른 우수 숲가꾸기 사업지를 사전 공모했다. 선정 대상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실행한 숲가꾸기(경제림가꾸기, 공익림가꾸기, 산불예방숲가꾸기)실행지로, 설계와 감리 모두 용역으로 시행한 큰나무가꾸기 사업 완료지이다. * 경제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산물수집을 200㎥ 이상 실행한 침엽수림 * 공익림가꾸기는 면적 10ha 이상으로 주기능을 5대 공익기능으로 선정하여 추진한 개소 * 산불예방숲가꾸기는 생활권 대형 산불 등 재해예방을 위한 작업을 추진한 개소 지원 서류를 제출한 12개소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협회 전문가들의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5개 사업장이 선정되었다. 올해 선정된 우수사업장은 ▲최우수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우수 충청남도 서산시, 전라남도 장성군 ▲장려 동부지방산림청 정선국유림관리소,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다. 최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영주국유림관리소의 숲가꾸기 사업지’는 영주시 봉현면 국립산림치유원에 있는 산림휴양림으로 치유원 방문객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휴식처를 제공할 목적으로 경관수종, 지역특색수종 등이 다양하게 어우러짐으로 경관적 가치와 휴양적 기능이 높게 요구되는 지역이다. 최우수 영주국유림관리소 활엽수 집단생육지 작업후 국립산림치유원 이용객들에게 다채로운 경관과 볼거리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숲에서 다양한 체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숲으로 조성하기 위한 여러 모형, 세부 작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숲가꾸기 관련 지침에서 제시하지 못한 세부 작업법까지 사업 추진 담당자의 노력으로 구현하여, 향후 산림공무원, 산림기술자들에게 휴양기능 증진을 위한 숲가꾸기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적극행정, 정부혁신 우수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사업지로는 생활권 연접지역으로 주변 등산로와 산림욕장이 위치해 지역주민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산림에 대한 숲가꾸기로 경관미를 높이고 쾌적한 환경을 최대한 제공한 ‘전라남도 장성군’과 중ㆍ상층목 밀도 조절을 통한 생태적 활력도 제고로 산림의 대기정화, 미세먼지 흡수 기능 등을 더욱 강화한 ‘충청남도 서산시’가 선정되었다. 그 외 산림의 수원함양 기능 증진을 위해 시행한 ‘정선국유림관리소’와 수목장림에 대한 체계적 숲 관리 선도적 사례를 보여준 ‘부여국유림관리소’가 장려로 선정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우수 사업지로 선정된 5개 기관은 포상금과 함께 내년도 해외연수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우수기관은 산림청장 상장 및 상패가 수여된다. 전덕하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기능별 산림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지방산림청으로 널리 알리고 향후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1년 우수사업지 장려상 정선국유림관리소 자작나무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2021년 숲가꾸기 우수사업지 선정
-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남부지방산림청(청장 조병철)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 산불대응태세 강화를 위해 29일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특별교육을 실시한다. 교육대상은 남부지방산림청 및 경상권역을 담당하는 5개 국유림관리소(영주, 영덕, 구미, 울진, 양산)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 기계화진화대 및 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 전문예방진화대의 경우 가을철 산불에 대비해 적극행정 차원에서 현재 조기선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은 ▲ 산불이론 ▲ 산불취약지 예방관리 ▲ 산불 예측분석 시스템 활용 ▲ 현장지휘본부 운영 및 협업대응 등 대형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위한 핵심사항을 다룰 예정이며, 교육강사는 국립산림과학원 안희영 산불예측․분석센터장, 차준희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이 진행한다. 한편, 2020년 4월 발생한 안동 대형산불(피해면적 1,944ha, 피해금액 794억원) 피해지는 산사태 방지를 위한 긴급벌채 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산불에 강한 산벚나무 수종 식재 등 산림복구를 진행중이다. 조병철 남부지방산림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산불발생 시기가 연중화 되고 있으며, 특히 경북지역은 대형산불 위험도가 높아 산불 예방활동과 산불 발생시 신속·정확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교육을 통해 산불현장 대응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여 산불위험에 항시 대비하고, 산불방지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남부지방산림청, 비대면 산불진화인력 온라인 교육 실시
-
-
산림청 인사
- □ 부이사관 승진 및 전보 ▲ 서부지방산림청장 권장현(權長鉉) □ 과(팀)장급 전보 ▲ 코로나19 긴급대응반장 장영신(張永信) ▲ 법무감사담당관 김명종(金明鍾) ▲ 임업통상팀장 정연국(鄭然國) ▲ 정원팀장 송영림(宋榮林) ▲ 영주국유림관리소장 차준희(車俊熙)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인사
-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4월 15일(목)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금강소나무 숲(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산림유전자원보호 및 다중이용 시설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산림치유원과 함께 산불진화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산불 발생 시 유관기관 간 공조 체계와 산불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하였으며, 내실 있는 훈련을 위해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전문 강사도 참여하였다. 진화훈련에는 산불지휘차 1대, 산불진화차 3대,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3세트, 진화인력(60여 명)이 투입되어 산불 신고·접수, 산불현장지휘본부 설치 및 운영, 지상 진화 초동대응까지 실전과 같은 훈련을 하였다. 영주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산불진화기계화시스템 등 산불진화장비 숙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자체 초동 진화가 가능하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훈련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초동진화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이 협업하여 긴밀한 공조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유관기관 합동 대형산불 진화훈련 실시
-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선제적인 산림보호 활동 수행과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 일자리 마련을 위해 오는 4월 16일까지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산림보호지원단 5명을 추가 모집한다. * 산림보호지원단 : 재정일자리사업의 일환, 산림특별사법경찰을 보조해 산림 내 불법행위 계도·단속에 참여하고 산림정화 등 각종 산림보호 활동 수행 본 사업은 3월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재정일자리사업으로 신청일 기준 영주국유림관리소 관내(영주, 안동, 문경, 의성, 예천, 봉화)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은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저소득층,「한가족 지원법」에 따른 보호대상자 등 취업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자를 우선 선발할 방침이며, 다만 신체적 정신적으로 산림보호 활동 수행이 곤란한 자, 대학교 등 재학생, 재정일자리 창출사업에 참여 중인 자는 지원이 제한된다. 모집공고는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 일모아시스템(www.ilmo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서는 4월 16일까지 영주국유림관리소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 가능하며 관련 지침에 따라 1차 서류심사를 실시하고,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2차 면접을 실시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할 방침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워진 지역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산림보호에 관심 있는 국민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보호 분야 녹색일자리 확대
-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1일 올해 3분기 국민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정을 수행한 ‘민원 우수 공무원’ 5명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공무원은 손인영 주무관(정원팀), 황진영, 이정식 주무관(산지정책과), 윤희원 주무관(산림환경보호과), 이기욱 주무관(영주국유림관리소)이 선정됐다. 이날 오전 11시 정부대전청사에서 시상식을 하고, 간담회를 통해 민원정보분석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 및 코로나19 상황이 민원 처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유하였다. 산림청은 민원 담당자의 사기 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민원 우수 공무원을 선발하여 격려와 포상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민원 우수공무원’은 국민신문고에서 처리한 민원 중 민원답변충실도, 처리건수, 처리기간 단축, 민원만족도 등을 합산한 결과 분기별 5명을 선정한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으로 민원 담당자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 상담, 치유프로그램 운영 등이 제한적임에 따라 이달부터 각 부서(소속기관)에서 선정한 민원 담당자 30명에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제공,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해소에 노력하고 있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코로나19 상황 등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으니 민원인들의 마음을 헤아려 더욱 친절하고 적극적인 민원처리로 국민의 불편을 해소해 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민원 우수 공무원 포상
-
-
제재목, 목재 등급구분사 양성
- 한국임업진흥원에서는 올해 개정된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재목에 대하여 육안으로 규격·품질검사를 하는 등급구분사를 양성할 계획이다. 영주관리소 관내에는 안동·영주·문경·봉화·의성 지역 약 30여개의 제재업체가 등록돼 있으며, 내년부터 개정된 법률, 지침에 따라 목재제품 품질을 단속할 계획이다. 제재목의 규격과 품질기준(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17-9호)에서 규정하는 제재목의 구분은 판재와 각재, 원주재로 나뉘며, 용도로는 내장재나 가구재 등 외관이 중요한 용도로 사용되는 수장용재와 건축물 및 공작물의 구조내력상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되는 구조용재, 그리고 일반적인 용도에 사용되는 제재목과 포장용 목재 및 데크용 목재 판재 등을 일컫는 일반용재로 나뉜다. 이러한 제재목은 등급구분기계에 의한 휨탄성계수나 함수율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제재목의 표면을 관찰하여 결점의 크기 및 분산 정도에 따른 육안으로 등급을 구분할 수도 있다. 제재목의 경우 목재제품을 생산한 자는 규격·품질검사를 공장 내 자체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육안으로 등급을 구분하는 자를 등급구분사라 부르며 이들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장(강성철)은 “관내 모든 제재목 생산업체가 자제검사공장으로 지정받아 질 높은 등급구분사 양성되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재목 분야 산업이 더욱 발전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제재목, 목재 등급구분사 양성
-
-
한국임업진흥원, 「산양산삼 ․ 산약초 홍보교육관」전문임업인 육성 위한 교육과정 본격 운영!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김남균)은 3월 24일(목), 지난해 새로이 개관한 산양산삼․산약초 홍보교육관에서 <제1회 교육과정별 합동입학식>을 시작함으로써 전문임업인 육성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운영된다고 밝혔다. 이날 입학식에는 김남균 한국임업진흥원장을 비롯하여 김현수 남부지방산림청장, 김종연 영주국유림관리소장 등 임업관련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내빈과 교육생 등 1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본식 시작 전 임산물을 이용한 약선요리 교실 공개 시범교육으로 산양산삼 삼계탕 조리교육이 진행됐다. 약선요리 교육과정은 약선요리를 통하여 임산물의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부가가치 향상을 위하여 로컬푸드문화 확산 및 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으로 임업분야의 체험과 6차 산업 활성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한국임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산양산삼·산약초 홍보교육관은 고품질의 교육서비스제공을 통하여 전문지식과 경영능력을 갖춘 정예 임업경영인을 양성하여 임산물 산업을 이끌어나갈 인재창출을 목적으로 본격적인 교육에 들어간다. 김남균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우수한 임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품목별 전문교육과 지속적인 생산기술 확산이 필요한 때”임을 강조하며, “교육생들에게 최선을 다해 교육에 임하여 주길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산양산삼·산약초 홍보교육관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산양산삼 최고경영자 과정(34명), 단기임산물(산약초․산나물중심) 최고경영자 과정(25명), 임산물을 이용한 약선요리 교육과정(24명) 및 각종 임업관련 자격증취득과정(75명) 등 전문임업인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운영될 계획으로 지역주민들의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산양산삼 ․ 산약초 홍보교육관」전문임업인 육성 위한 교육과정 본격 운영!
산림복지 검색결과
-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023년 1월 6일 김명종(58)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김명종 소장은 전북 전주 출신으로 1988년 공직생활을 시작해 산림청 법무감사담당관실, 산림보호국, 단양ㆍ영주국유림관리소장, 국회연락관, 대통령직속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 위원회 파견, 독일 산림연구기관 파견, 임업기계훈련원 교관 등을 두루 거친 산림정책업무에서 최일선 현장 업무까지 정통한 산림행정의 전문가이다. 앞으로 전국 45개 국립자연휴양림을 책임지고 이끌어갈 김명종 신임 소장은, ‘지역환경과 특성에 맞는 시설보완 및 현대화’, ‘고품질 산림휴양 서비스 제공’,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산림휴양 산업화’, ‘안전이 확보된 휴양림 서비스 구축’ 등을 강조하며 책임운영기관장으로서 각오를 밝혔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취임사에서 “국립자연휴양림은 공공재로서 국민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휴식처 역할을 다하고, 가용자원과 역량을 국민에게 최대한 제공하여 국립자연휴양림에서 숲으로 잘사는 산림르네상스를 실행하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
김명종 제7대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취임
-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이창재)은 제15차 세계산림총회 개최를 맞아 비대면 산림복지 콘텐츠 및 PC 기증 행사를 5월 2일 서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산림복지를 통한 공적개발원조(ODA)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영주국유림관리소 임직원 등 20여 명이 함께 참여했다. 기증 물품은 지난 3월 대국민 공모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선정한 산림복지 영상 콘텐츠 4점, 비대면 산림복지·치유 프로그램 키트 400인분, 재활용 PC 60여 대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통해 캄보디아 등 개발도상국에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비대면 키트는 전국의 산림복지시설에서 지역 중·소상공인과 함께 기획하였으며, 중·소상공인의 다양한 판로개척 등에 시범적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국외 개발도상국 취약계층의 산림치유와 산림복지 협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재 원장은 “이번 기증식은 PC를 재활용을 통해 탄소절감을 실천하고, 우수한 산림복지 콘텐츠를 해외로 전파하여 세계인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라며 “아시아 지역의 산림복지 협력관계가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산림복지진흥원, 아시아 산림복지 협력을 위한 기증식 개최
-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4일, 5월의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경북 봉화군 소천면 고선리 일대의 청옥산 생태경영 숲을 선정했다. 청옥산(해발 1,277m)은 백두대간에서 가지 쳐 나간 산자락이 봉화군에서 불끈 치솟아, 산세가 험하고 오지인 곳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보기 힘든 산나물 ‘청옥’이 많이 자라 산 이름으로 따왔다고도 하고, 산 아래 옥(玉) 광산에서 푸른 옥이 많이 나 지어졌다고도 한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일대에 1,000m가 넘는 산이 9개나 될 정도로 산세가 힘차며, 어떠한 산에도 뒤지지 않은 빼어난 풍경을 갖추고 있다. 산림청은 이곳을 금강소나무 육성을 위해 생태경영림으로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곳의 숲길은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될 만큼 이름나 있다. 소나무의 형질이 우수하며 참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산림 수종이 생육하여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 중이다. 2014년도 민간에서 주최한 아름다운 숲길 상을 받았으며, 정상까지 계곡을 따라 3.5km의 거리를 편안히 산책하듯 오를 수 있다. 청옥산 계곡 인근에는 소나무 우량 숲으로 여느 곳에 뒤지지 않고 야영하기 좋은 최고의 휴양림인 ‘국립청옥산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다. 해발 800m에 자리 잡고 있는 휴양림 주변에는 수령이 100년도 넘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송 등이 울창하다. 봄철 계곡 부위에 자생하는 함박꽃나무의 꽃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철엔 피톤치드가 가득한 울창한 숲에서 산림욕하기에 알맞은 장소이다. 특히, 휴양림 내에는 캠핑 애호가들이 전국 최고로 꼽는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 사계절 야영에 불편이 없도록 온수와 전기도 제공된다. 자세한 방문·체험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0) 또는 국립 청옥산자연휴양림(☎054-672-1051)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주요원 국유림경영과장은 “봄철 녹음 짙은 숲에서의 편안한 활동은 몸과 마음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라며, “인근의 백천계곡 등 지역 명소도 찾아가보고 한적한 숲에서 거리 두기 휴식을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숲 향기 들이마시고, 근심 걱정은 내쉬고.
-
-
옥녀봉자연휴양림, 교육·치유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
-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한창술)는 경북 영주시 봉현면 테라피로 124번지 국립산림치유원 내 (구)옥녀봉자연휴양림 시설물 리모델링 사업을 12월 13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영주국유림관리소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국립산림치유원 등 여러 관계기관 회의·검토를 거쳐 6월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8월부터 공사에 착수하였다. 이번 사업을 통해 단독산막 8동 중 5동을 개선·보완하고 단독산막 3동, 취사장, 화장실 등 노후·부패가 심한 시설물은 철거하여 주차장 등 꼭 필요한 시설로 거듭났다. 그 외에도 목재데크 난간, 경관 정비 등 부대공사도 함께 실시했다. 특히, 단독산막과 산책로 주변에 설치한 목재가로등은 산림청에서 연구개발한 제품으로, 기술이전 후 도시숲, 공원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한창술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은 “국립산림치유원 내 (구)옥녀봉자연휴양림 시설물 환경 개선을 통해 앞으로 치유·교육을 위한 장기 투숙객 활용 공간 등으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리모델링 사업대상인 (구)옥녀봉자연휴양림은 1997년에 준공, 개장하여 영주시에서 운영·관리해 오다가 지난 2013년 산림청에서 인수한 재산이다.
-
- 산림복지
- 휴양림관리소
-
옥녀봉자연휴양림, 교육·치유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
산림환경 검색결과
-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15일 11월 추천 국유림 명품숲으로 황금빛 단풍이 가득한 경북 봉화군 춘양면 우구치리 일대 낙엽송 숲을 선정했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은 대규모 낙엽송 조림을 성공한 국유림으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며, 임도를 따라 걷기 좋은 숲이다. 산림청에서는 1984년 이 지역에 대규모 낙엽송을 조림한 후 잘 가꾸고 관리하여 지금은 약 8만1천여 그루의 낙엽송이 나무 높이 16~24m로 즐비하여 장대한 숲을 이루고 있다. 낙엽송은 수간이 통직하여 목재용도로 활용이 많이 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조림 수종이다. 단일수종으로는 소나무 다음으로 많이 자라고 있는 낙엽송은 우리나라 숲의 272천ha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낙엽송은 초봄 연두색 신록과 가을의 황금빛 단풍이 아름다워 숲을 더욱 풍성한 색감으로 물들인다. 낙엽송 숲이 펼쳐진 임도를 따라 걷다보면 백두대간 등산로와 만나게 된다. 도래기재에서 옥돌봉을 지나 박달령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 등산로이다. 박달령에서 오전리 마을로 내려오면 톡 쏘는 청량한 약수 ‘오전약수탕’이 있어 갈증을 해소하기 좋다. 박달령은 옛날부터 경북 봉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부보상(負褓商)들이 많이 다녔다고 한다. 그 부보상들에 의하여 물맛 좋기로 유명한 탄산성분이 많이 함유된 오전약수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성종 때 가장 물맛이 좋은 초정(椒井)을 뽑는 전국대회에서 최고의 약수로 뽑혔으며 유리탄산, 망간, 마그네슘이온, 철분 등이 함유되어 위장병과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인근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산림 생물자원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 2018년 조성되었으며,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기 충분하다. 다채로운 식물자원과 아름다운 전시원, 백두대간의 상징인 백두산호랑이, 세계 최초의 야생 식물종자 저장시설인 시드볼트를 보유한 아시아 최고 수준의 수목원이다. 우구치리 낙엽송 숲의 자세한 방문 안내는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0-4031)로, 백두대간수목원 방문 안내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054-679-1000)으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청 박현재 국유림경영과장은 “황금빛 낙엽이 저녁노을처럼 펼쳐지는 한적한 우구치리 골짜기에서 백두대간 등산로를 따라 늦가을 숲 여행을 즐겨보시길 권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1월의 국유림 명품숲, 봉화군 ‘우구치리 낙엽송숲’ 선정
-
-
안동시 일직면 산정상부‘산불’, 잔불진화 완료
-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불이 17일 19시 15분 안동시 일직면 용각리 산103번지에서 발생하였고, 진화에 나선 산림당국의 빠른 대처로 인하여 불은 국유림 0.2ha를 태운 뒤 18일 04시 10분경 잔불정리까지 진화종료 되었다고 밝혔다. 산불이 발생하자 영주국유림관리소 공무원,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원, 안동시 공무원, 소방, 경찰 등 진화인력 100여명이 동원되어 주불 진화 및 방화선 구축을 완료하고 야간진화 작업을 벌인 결과 현재 완전진화 되었으며, 민가나 인명 피해는 없고 국유림 0.2ha가 소실되었다. 영주국유림관리소 소장(강성철)은 “잔불정리까지 완료 되었지만 날씨가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산림청 소속 1개 전문진화대와 산림청 담당자 등 20명이 남아 뒷불감시까지 철저히 하여 재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시 하였다고 전했다. 한편, 산림당국은 산불조사감식 전문가를 투입하여 “산불발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안동시 일직면 산정상부‘산불’, 잔불진화 완료
-
-
영주국유림관리소 2017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대책본부 운영
-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강성철)는 산림병해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6월부터 8월 31일까지 ‘지역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대책본부’를 설치․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솔잎혹파리, 참나무시들음병 등 주요 산림병해충에 대한 사전 예찰을 강화하고, 적기 방제 추진으로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유관기관 및 관할 경찰서와 공조하여 소나무류 취급업체, 화목농가 등 소나무류 이동 단속을 실시하여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인위적인 확산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한편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와 관련하여 영주국유림관리소에서는 3월 말까지 소나무류 고사목 1만1천8백여 그루를 제거하였고, 예방나무주사사업 25ha를 실시하는 등 적기방제를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였으며, 지상(연막)방제 사업을 8월까지 6회에 걸쳐 562ha(연면적)를 실시할 계획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강성철)는 “산림병해충 집중 발생기간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예찰 및 방제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병해충 피해가 의심되는 나무를 발견할 경우 영주국유림관리소 보호팀(054-630-4010∼5)으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영주국유림관리소 2017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대책본부 운영
-
-
영주 부석면 소백산 중턱‘산불’, 잔불진화 완료
-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불이 4일 23시 37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산48번지에서 발생하였고, 진화에 나선 산림당국의 빠른 대처로 인하여 불은 국유림 0.3ha를 태운 뒤 5일 11시 28분경 잔불정리까지 진화종료 되었다고 밝혔다. 산불이 발생하자 진화인력 130여명이 갈퀴와 등짐펌프로 밤새 방화선을 구축하였고, 날이 밝자 긴급 투입된 산림청 헬기 3대와 영주시 임차헬기 1대로 진화를 완료 하였다. 영주국유림관리소 소장(강성철)은 “날씨가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산림헬기에게 충분히 물을 뿌려줄 것을 당부 하였고, 잔불정리까지 완료 되었지만 산림청 소속 1개 전문진화대와 산림청 담당자 등 30명이 남아 뒷불감시까지 철저히 하여 재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시 하였다고 전했다. 한편, 산림당국은 산불조사감식 전문가를 투입하여 “산불발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전하였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영주 부석면 소백산 중턱‘산불’, 잔불진화 완료
-
-
안동시 소나무재선충병 총력방제 추진
- 안동시는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와 함께 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영주국유림관리소의 11개 영림단과 안동시 산림사업법인 및 직영방제단 등을 포함 하루 평균 26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3월 말까지 고사목을 전량 제거하기 위한 총력방제에 나서고 있다.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전염되는 재선충병은 소나무, 잣나무, 해송 등이 한번 감염되면 3개월 내외에 100% 죽게 만드는 병이다. 특히, 매개충의 애벌레가 성충이 되는 3월 말까지 전량 고사목을 훈증, 파쇄, 소각 등 방제 처리해야 한다. 이에 안동시는 올해 39억원의 사업비로 고사목 방제 작업을 3월 말까지 완료하고, 재선충병 예방을 위해 항공․지상방제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뿐만 아니라 주요 소나무 우량임지에 대해서는 예방나무주사사업을 시행하는 등 재선충병 방제에 전 행정력을 동원할 방침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인위적인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재선충병 훈증처리된 목재 및 천막의 임의훼손 행위와 반출금지구역 내에서 화목농가 등의 불법 소나무류 이동, 사용 행위를 절대 금지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안동시 소나무재선충병 총력방제 추진
-
-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 실시
-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최수천)는 솔잎혹파리 피해가 심한 지역(방제면적 2,500ha)에 1일 400명을 투입해 솔잎혹파리의 밀도를 감소시키고 피해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솔잎혹파리방제 나무주사사업을 5월 29일부터 착수하여 6월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제대상지는 솔잎혹파리피해가 심한 지역으로 봉화군(1,261ha), 영주시 (367ha), 문경시(778ha), 안동시(94ha) 등 총 방제면적은 2,500ha이다. 이에 앞서 방제효과를 높이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작업요령 및 안전사고예방교육을 한국국학진흥원 대강당에서 5월 29일 14시에 실시하였다. 교육내용은 솔잎혹파리방제를 위한 나무주사 사업 필요성, 사업 전반에 관한 사항, 작업 요령, 고독성 농약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 등이며 사업 참여자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아울러,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은 사용약제가 맹독성이므로 솔잎, 산나물, 약초 등의 채취는 안전을 위하여 금하여 줄 것과 최대한 솔잎혹파리방제지역의 입산을 삼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 실시
-
-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 주민설명회 개최
-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최수천)는 관내 분포하는 소나무를 살리기 위한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에 1일 400명을 투입해 2,502ha의 면적을 6월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며, 이에 앞서 작업방법에 대한 안내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주민설명회를 5월 25일 월요일 오후 8시 30분 영주시 순흥면 배점2리 마을회관에서 실시하였다. 이날 참석인원은 마을주민 이외에 사업 실행업체인 영주시산림조합 등 총 40여명이며, 나무주사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설명 및 고독성농약을 약제로 사용하는 만큼 안전사고 예방교육,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 순으로 진행되었고, 식수원 보호 등에 관련된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는 고독성 농약을 사용하게 되므로 해당 지역에서의 솔잎, 산나물, 약초 등의 채취와 섭취는 안전을 고려하여 금하여 줄 것과 최대한 솔잎혹파리방제지역의 입산을 삼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솔잎혹파리방제(나무주사)사업 주민설명회 개최
-
-
녹색일자리로 희망을 찾은 사람들 ②
- 경북 영주군 현동면에서 '산불감시'를 하며 행복한 일자리를 얻은 장용진 씨. 산촌에서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농사지을 땅도 없어 어떤 일자리든 상관없이 일자리만 구하면 닥치는 대로 열심히 일할 각오를 하고 있던 지난해 초에 산림청의 ‘산림보호감시원' 일자리를 얻어 올해까지 2년째 일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강원도 영주군 현동면 일대에서 산불감시 업무를 수행하면서 일하는 맛에 신바람이 나있는 장용진 씨는 "이만한 일자리는 하늘의 별따기에요"라고 털어놓는다. 지난해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에서 공개 모집하는 '산림보호감시원'에 응모하여 합격한 장용진(55세)씨는 올해도 3:1의 경쟁을 뚫고 합격하여 2년째 일하고 있다. 노모(老母)를 모시고 살면서 결혼을 늦게 하여 고등학생이 있는 가장으로 어떤 일이든지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실정에 있기 때문에 일자리를 갖게 된 것만으로도 장씨는 행복해 했다. 10여 년 전 외환위기로 광업소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부터 닥치는 대로 일을 해왔지만 일용직 일자리마저 구하기가 어려워 공치는 날이 많았다. 객지로 떠나서 일용직 일을 해봤으나 돈벌이는 신통치 않았고 몸 고생 마음고생만 늘어갔다. 그러나 부지런함과 성실함을 타고난 장 씨는 어느 일자리에서나 환영받는 일꾼으로 남다른 보람을 느끼며 일하는 생활을 해왔다. 장 씨의 이런 근면ㆍ성실함이 지난해 산림청 국유림관리소에서 공개 모집하는 '산림보호감시원’에 발탁된 것이다. 장씨는 산불조심 10만명 서명운동 서명서를 언제나 옆구리에 끼고 다닌다. 산골에 사람이 많지 않지만 만나는 사람마다 붙잡고 산불조심 계도 활동을 하면서 서명도 받는다. 장 씨는 지난해 산림보호감시원으로 1년 동안 일하면서 배우고, 갈고 닦은 실력을 발휘하여 올해는 봄철 산불감시 업무가 끝나는 대로 투입될 산림병해충 예찰ㆍ방제 작업과 숲가꾸기 현장에서 작년보다 더 좋은 작업성과를 올릴 각오를 다지고 있다. 97세의 노모를 편히 모시면서 자녀들의 대학 뒷바라지를 하면서 행복한 가정을 이끌어 가는 당당한 가장이 되기 위해서 지금 뛰고 있는 행복한 일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희망의 나래를 펼쳐가고 있다.
-
- 산림환경
- 산림보호
-
녹색일자리로 희망을 찾은 사람들 ②
-
-
기후변화대처, 사유림 300ha 매수추진
- 남부지방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최수천)에서는 기후변화대처 및 산림자원의 증축과 산림의 공익적 기능증진을 위하여 12억원을 투입하여 관할지역 6개 시․군(안동.영주.문경시 봉화.예천.의성군)내의 사유림 300ha를 적극 매수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주국유림관리소에서는 기후변화 대처 및 산림자원의 증축과 산림의 공익적 기능증진, 국토의 보전을 위해 2008년도 11억원의 예산을 투입 관할 구역인 6개 시․군 사유림 270ha를 매수하였으며, 금년에도 12억원의 예산으로 300ha의 산림을 매수 계획중이며, 현재 매도승락된 170 ha에 대하여 현지조사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매수대상지는 국유림에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입지 여건이 국유림 경영관리에 적합한 산림을 우선적으로 매수할 계획이며, 국유림과 다소 떨어져 있더라도 임야 면적의 합이 10ha 이상인 대면적 산림을 대상으로 사유림 매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매수된 사유림은 기후변화대처 및 산림자원의 증축과 산림의 공익적 기능증진을 위하여 국유림의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연차적으로 숲가꾸기사업을 실행 후손에게 물여줄 건강한 숲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매수가격은 공인된 2개 감정평가 법인이 평가한 가격을 평균한 금액으로 결정한다고 하였으며, 기타 궁금한 사항은 영주국유림관리소(054-632-4251)에 문의 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산림환경
- 산림보호
-
기후변화대처, 사유림 300ha 매수추진
오피니언 검색결과
-
-
90년 역사를 토대로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윤영균 국립산림과학원장
- 꽃샘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3월의 어느 날, 본 지 창간 11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1월에 국립산림과학원장으로 취임한 윤영균 원장과의 인터뷰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을 방문하였다. 창간이래 몇 번 되지않는 발행인 인터뷰를 수행하고자 여러 번 과학원장실과 일정을 조율하였다. 취임 후 얼마되지 않은 기간동안 심포지엄,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로 많은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윤영균 국립산림과학원장의 업무능력을 새삼 탁월하다 감탄했다. - 원장취임 소감 등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 - 먼저 지금의 산림환경신문으로 발전하기까지 사랑과 정Z입니다. 하지만 그간의 업적을 돌아보고 나아갈 바를 생각할 때, 논어의 구절을 빌려 임중이도원(任重而道遠;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으로 소감을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 연구성과 활용도 제고와 사회적 환원체계에 대하여 말씀해주십시오. - 훌륭한 연구도 적절한 시기에 꼭 필요한 곳에 적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장의 소리를 반영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필요한 수준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완성도를 높여서 수요자가 만족하는 연구를 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추구하는 것처럼 과학적인 증거에 기반한 정책을 펼 수 있도록 산림과학 중기실행계획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안연구과제, 현장연구책임관제 등 각종 제도를 통해 연구성과가 현장에서 바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창조형 연구 체계구축과 지속가능한 기관 발전에 대하여 말씀해주십시오. - 창조형 연구체계 구축은 국가연구기관으로서 미래를 위해 체계적인 연구 추진계획을 편성ㆍ운영하는 것과 더불어 창의적인 연구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율적이면서도 책임감 있는 연구 추진 체계를 말합니다. 추적형(앞서가는 선진국의 기술을 좇아가는 형태) 연구를 탈피하여 선도형(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형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Blue ocean 창출 연구를 적극 지원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지식정보 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젊은 인재들을 폭넓은 기용, 첨단 연구장비와 시설 확보 등 인프라 강화를 위해 2013년에는 더욱 많은 투자를 할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기관 발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선도하는 기관으로서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관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것입니다. 글로벌 연구기관을 지향하는 만큼 해외 산림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조직도 강화하고, 내부에서 상생협력의 조직문화가 정착되도록 소통ㆍ화합의 변화관리체계가 안정되도록 PDCA(Plan-Do-Check-Act) 운영체계가 체질화되도록 할 것입니다. - 산림과학 기술 선도를 위한 글로벌 역량강화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 국립산림과학원은 2010년에 제23차 IUFRO(세계산림연구기관연합회) 세계총회를 주최한 바 있는데, IUFRO 120년 역사상 최고의 총회로 평가받았습니다. 내년에는 미국에서 제24차 총회가 개최되는데, 우리 산림과학원은 선배로서 미국의 총회 준비에 자문을 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 과학원은 세계에서 선진 산림연구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제는 실질적인 글로벌 리더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거듭나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Post-2010 IUFRO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국제 학술활동을 내실화하고 해외 우수 연구 인력을 확보와 교류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지난 해 위촉한 국제 자문위원단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특히 아시아 산림과학 R&D 허브로서의 역할을 증진하여 명실상부한 산림과학 기술 선도기관으로 위상을 정립해 나갈 것입니다. 세계 산림기구에 대한 투자 확대, 국제공동연구 강화,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에 대한 선진산림기술 보급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해 한국의 산림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며 산림한류(山林韓流) 붐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해외연수와 교육은 물론, 개인별 어학 향상에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 고객서비스 구현에 대하여 말씀해주십시오. - 우리 원의 2013년 고객서비스 목표는 SMART(Specific, Measurable, Attainable, Realistic, Timely)입니다.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고 밀착형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홍릉숲 프로그램을 내실있게 운영하여 남녀노소는 물론, 소외계층까지도 산림문화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우리 과학원 홈페이지에 공개될 프로그램을 가끔 확인하시면서 운영에 관심을 가져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연구 성과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해 고객 만족형 간행물을 발간하고 보급할 것입니다.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적당한 시기에 손에 잡히는 모습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저탄소 사회구현을 위한 목재이용기술에 대하여 말씀하신다면? -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때 이른 더위와 폭우가 예상된다는 기상예보가 있었는데, 이러한 기상이변의 근본적인 원인이 온실가스, 이산화탄소입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산업체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거나, 국제사회에서 유일하게 인정하고 있는 탄소 흡수원인 산림의 기능을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즉, 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나무, 숲을 잘 활용한다면 저탄소 사회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산림관리는 산사태를 막고 홍수를 조절하기 위한 녹화 위주이었지만, 이제는 녹화에 성공하면서 성숙한 숲으로 탄소저장고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우리 과학원은 이러한 시점에 맞추어 탄소 저장고인 나무를 제대로 사용하여 범지구 차원의 환경문제해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재자원의 순환 이용을 위하여 목구조(木構造) 교량, 목조건축물, 각종 목재가구, 폐목재 이용 등 다각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목재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로부터 나노섬유로 리듐이온전지 분리막을 만드는데 성공하였는데, 이 기술은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만들던 분리막을 천연원료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며, 그 시장규모는 연간 1조 2천억원에 달합니다. 이처럼 목재 이용기술은 앞으로 우리 인간의 미래를 위해 친환경인 소재로써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설립에 대하여 말씀해주세요. - 산림청은 산림의 천연자원을 활용하여 농산촌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국민건강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산림약용자원연구소를 설립할 계획입니다. 산림약용자원의 보고(寶庫)이며 산림치유단지, 백두대간수목원 등이 설립되고 있는 경북 영주시에 설립할 계획이며, 국립산림과학원 소속 연구기관으로 설립하고자 2013년에는 부지조성과 설계를 위한 12억의 예산이 배정된 상태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 영주시 관계자들을 포함하는 T/F팀을 만들어 2월 26일 Kick-off 미팅을 갖은 바 있으며, 금년 중에 실시설계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국가 산림연구 발전은 물론 지역의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연구기관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며, 2016년에는 건물 완공과 더불어 새로운 조직이 출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끝으로 ‘천년 전을 보면서 오늘을 실천하고, 백년 후를 그리며 내일을 준비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에 맞추어, 우리의 산림과 임업, 산촌, 그리고 국가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뷰를 마치면서 윤영균 국립산림과학원장의 업무에 대한 열정에 대한민국 산림환경대상 수상자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인터뷰를 마치고 바삐 다음 일정을 준비하는 과학원장님의 모습에서 선진임업과 발전된 산림과학기술이 가까워짐을 느꼈다.
-
- 오피니언
- 리더인터뷰
-
90년 역사를 토대로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윤영균 국립산림과학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