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3(토)

산림청 국립수목원, 외래식물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

- 이제 산림생태계 침입하는 외래식물 관리 쉬워질 듯 -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6.10.06 16:1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보호구역 등 현장에서 활용성이 높은 「외래식물 침입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침입한 외래식물은 자원이 되는 토착식물과 직접적으로 경쟁하여 교란을 일으켜 생태적, 경제적 손실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국립수목원은 「외래식물의 산림생태계 침입성 연구」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동안 외래식물의 종류와 분포, 확산 속도 등의 문제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국내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관리 현장에서 필요한 침입성 분석과 예측 도면과 같은 공간정보에 대한 시도는 부족했었다.

그러나 이번 국립수목원의 연구결과로 외래식물의 확산 억제와 관리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예측 모델을 구축한 것이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3년간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외래식물의 다양성과 분포 특성을 조사한 후, 습윤지수 및 태양복사량과 같은 외래식물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변수를 조합하여 산림생태계 침입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위성영상으로 나뭇잎에 반사되는 햇빛을 분석하는 정규식생지수(NDVI), 숲의 나이, 도로로부터의 거리 등 인간간섭변수와 해발 고도, 경사도, 사면 방향, 지형위치지수, 지형습윤지수, 수계로부터의 거리 등 산림 지형변수 등 다양한 환경변수를 분석하여 만들어진 모델로써, 높은 정확도와 예측력을 보인다.

외래식물은 주로 기후 변화, 화재, 병해충, 토지 이용의 변화, 지역 간의 무역 및 운송, 인간의 여행 등의 요인에 의해 교란이 발생한 지역에 침입하는데, 도로와 계곡, 개울은 햇빛이 잘 들고 토착식물이 적어 영양분 경쟁에서 유리하며 바람길이 형성되어 씨앗 확산이 쉽기 때문에 외래식물 침입이 쉽다.

울진 소광리의 외래식물 침입 예측 또한 임도, 탐방로와 같이 인위적으로 교란된 장소와 계곡, 개울과 인접한 지역에 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외래식물이 번식하기 전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지역 현장에서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도면이 개발됨으로써 산림생태계 보전 관리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하며, “울진 소광리 뿐만 아니라, 다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이어나가 외래식물 관리 효율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림청 국립수목원, 외래식물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